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임신중 허리통증 , 출산 후 만성 허리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10월10일 ‘임산부의 날’,끊어질 듯한 허리통증은 체중 증가와 호르몬이 원인, 방치하면 출산 후에도 고통

10월 10일은 풍요의 달인 10월과 10개월간의 임신기간을 의미하는 임산부의 날이다. 임신과 출산은 가정의 큰 행복이지만 예비 엄마들은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남모를 고통에 시달린다.

그 중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것이 바로 허리통증. 임산부들은 허리통증이 있거나 아프다고 해도 태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약을 먹거나 파스를 붙이지 않고 그대로 고통을 감수하게 되는데, 이런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임신중 허리통증의 가장 큰 요인은 체중증가
임신 중 허리 통증의 주된 원인은 최소 13kg에서 최대 20kg까지 증가하는 체중이다. 임신 주기가 늘어날수록 복부가 팽창하면서 무거운 배를 지탱하기 위해 허리를 뒤로 젖혀 배를 앞쪽으로 내밀고 걷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몸의 균형을 흐트러트리고 척추와 등에 무리를 줘 등 전체부터 허리까지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또한 체중의 증가로 인해 척추가 뒤쪽으로 과도하게 휘어져 허리 척추관절의 뒷 부분이 늘어나 척추전만증이 생길 수 있는데, 심하면 척추 관절에 염증이 생겨 퇴행성 디스크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릴렉신 호르몬의 분비로 허리통증 심해질 수 있어.

임신 기간 중 분비되는 호르몬이 허리 통증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임신 5개월부터 분비되는 릴렉신(relaxin)호르몬은 커지는 자궁을 골반에서 무리 없이 받아들이도록 골반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임산부가 만삭이 되어 가면서 골반이 벌어지고 이때 허리근육으로 자극을 받으면서 허리통증이 심해지게 된다.

 

허리통증 줄이기 위해선 평소 바른 자세와 운동이 중요
임신 중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몸무게가 비정상적인 범위로 불어나지 않도록 균형 잡힌 식단과 가벼운 운동을 병행하고, 신체적 활동이나 허리 및 골반에 무리를 줄 수 있는 행동은 줄이고 효과적인 휴식을 자주 취하는 것이 좋다. 특히 체중의 증가로 인해 척추가 뒤쪽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척추전만증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바른 자세 유지와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관절·척추·통합치료 전문 사랑플러스병원(www.sarang-plus.com) 신경외과 서동상원장은 “임신 중 배를 무리하게 내 밀면 허리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평상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임신 중 허리 통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예방 및 완화를 위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출산 후 만성적인 허리 통증에 시달릴 수 있으므로 통증이 심할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