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 수입된 완제의약품은 금액기준 항암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ARB 복합제 수입금액은 1397억원으로 전체 고혈압 치료제 수입금액의 59.0%를 차지했다. 이어 칼슘채널 차단제(483억원), ARB 단일제(362억원), 베타차단제(67억원), ACEI 단일제(59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당뇨 치료제는 1형(소아)당뇨에 쓰이는 인슐린 및 유사체(580억원)에 비해 2형(성인)당뇨에 사용되는 경구용 혈당강하제가 1698억원(74.5%)으로 3배 가량 많았다.
반면 고지혈증 치료제는 복합제(524억원, 27.4%)보다 단일제(1389억원)의 수입물량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항종양 제제는 기타 항종양제가 3136억원으로 전체의 79.1%를 차지했다. 이어 대사길항제(538억원), 식물 알칼로이드 및 천연물(197억원), 알킬화제(96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팜스코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2014년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 자료 가운데 금액기준 상위 100대 ATC코드별 수입실적을 분석한 결과다. ATC(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코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치료제군별 국제적인 의약품 분류 코드로 많은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분석결과, 지난해 전체 완제의약품의 수입금액은 3조6989억원으로 분석됐다. ATC코드별로는 기타 항종양제가 313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면역억제제(2215억원),항바이러스제(2170억원), 혈당강하제(1698억원), 세균성백신(1480억원) 순이었다.
-2014년 완제의약품 금액상위 100대 ATC코드별 수입실적
(단위 : 백만원, %, 품목)
연번 | ATC | 수입금액 | 품목수 | |||
코드 | 명칭 | 금액 | 구성비 | 누적비 | ||
전체 | 3,698,855 | 100.00 | - | 2,117 | ||
1 | L01X | 기타 항종양제 | 313,563 | 8.48 | 8.48 | 77 |
2 | L04A | 면역억제제 | 221,523 | 5.99 | 14.47 | 55 |
3 | J05A | 항바이러스제 | 216,988 | 5.87 | 20.34 | 38 |
4 | A10B | 혈당강하제(인슐린 제외) | 169,818 | 4.59 | 24.93 | 50 |
5 | J07A | 세균성백신 | 148,036 | 4.00 | 28.93 | 16 |
6 | B02B | 비타민K 및 기타 지혈제 | 141,574 | 3.83 | 32.76 | 51 |
7 | C09D | ARB 복합제 | 139,698 | 3.78 | 36.54 | 32 |
8 | C10A | 고지혈증 단일제 | 138,937 | 3.76 | 36.54 | 28 |
9 | J07B | 바이러스성백신 | 138,048 | 3.73 | 44.03 | 26 |
10 | N03A | 뇌전증 치료제 | 88,050 | 2.38 | 46.41 | 39 |
11 | L02A | 호르몬 및 관련약물 | 63,290 | 1.71 | 48.12 | 16 |
12 | V08A | 요오드화 X선 조영제 | 59,087 | 1.60 | 49.72 | 25 |
13 | A02B | 위궤양 및 위-식도 역류질한 치료제 | 58,778 | 1.59 | 51.31 | 17 |
14 | A10A | 인슐린 및 유사체 | 58,028 | 1.57 | 52.88 | 23 |
15 | B05D | 복막 투석제 | 54,730 | 1.48 | 54.36 | 39 |
16 | L02B | 호르몬 길항제 및 관련약물 | 54,287 | 1.47 | 55.83 | 17 |
17 | L01B | 대사길항제 | 53,785 | 1.45 | 57.28 | 35 |
18 | C10B | 고지혈증 복합제 | 52,377 | 1.42 | 58.70 | 8 |
19 | G04C | 양성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 50,352 | 1.36 | 60.06 | 3 |
20 | C08C | 주로 혈관에 작용하는 선택적 칼슘채널 차단제 | 48,256 | 1.30 | 61.36 | 15 |
21 | G04B | 진경제를 포함한 기타 비뇨기과 약물 | 46,150 | 1.25 | 62.61 | 17 |
22 | M01A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및 류마티스 치료제 | 43,735 | 1.18 | 63.79 | 13 |
23 | N06A | 항우울제 | 42,047 | 1.14 | 64.93 | 40 |
24 | B05B | 정맥주사제 | 39,384 | 1.06 | 65.99 | 56 |
25 | B01A | 항혈전제 | 39,145 | 1.06 | 67.05 | 38 |
26 | C09C | ARB 단일제 | 36,232 | 0.98 | 68.03 | 15 |
27 | R03D | 기타 전신작용 폐쇄성 기도 치료제 | 35,279 | 0.95 | 68.98 | 29 |
28 | N04B | 도파민 활성화제 | 34,324 | 0.93 | 69.91 | 39 |
29 | L03A | 면역자극제 | 33,505 | 0.91 | 70.82 | 29 |
30 | M05B | 골다공증 치료제 | 32,840 | 0.89 | 71.71 | 14 |
31 | V08C | MRI 조영제 | 32,634 | 0.88 | 72.59 | 30 |
32 | A16A | 기타 소화관 및 대사 작용약물 | 32,487 | 0.88 | 73.47 | 20 |
33 | R03B | 기타 폐쇄성 기도 치료에 사용되는 흡입제 | 32,308 | 0.87 | 74.34 | 16 |
34 | A04A | 진토제와 항오심제 | 31,636 | 0.86 | 75.20 | 19 |
35 | S01E | 녹내장 치료제 및 축동제 | 30,584 | 0.83 | 76.03 | 30 |
36 | J02A | 전신작용 항진균제 | 29,592 | 0.80 | 76.83 | 15 |
37 | D11A | 기타 피부과적 치료제 | 29,490 | 0.80 | 77.63 | 15 |
38 | S01X | 기타 안과 약물 | 28,872 | 0.78 | 78.41 | 37 |
39 | V03A | 모든 기타 치료제품 | 28,746 | 0.78 | 79.19 | 27 |
40 | H01A |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및 유사체 | 28,144 | 0.76 | 79.95 | 8 |
41 | R03A | 교감신경 작용 흡입제 | 27,970 | 0.76 | 80.71 | 18 |
42 | N05A | 항정신병제 | 25,342 | 0.69 | 81.40 | 45 |
43 | S01L | 눈 혈관질환 치료제 | 22,363 | 0.60 | 82.00 | 2 |
44 | D01A | 국소작용 항진균제 | 20,792 | 0.56 | 82.56 | 14 |
45 | L01C | 식물 알칼로이드 및 천연물 | 19,683 | 0.53 | 83.09 | 54 |
46 | V06D | 기타 영양소 | 19,447 | 0.53 | 83.62 | 3 |
47 | N06D | 치매치료제 | 19,194 | 0.52 | 84.14 | 9 |
48 | B05Z | 혈액투석제와 혈액여과제 | 18,738 | 0.51 | 84.65 | 15 |
49 | G03A | 전신투여 호르몬 피임제 | 18,119 | 0.49 | 85.14 | 14 |
50 | R06A | 전신성 항히스타민제 | 17,967 | 0.49 | 85.63 | 12 |
51 | V04C | 기타 진단시약 | 14,044 | 0.38 | 86.01 | 20 |
52 | N01A | 일반 마취제 | 13,924 | 0.38 | 86.39 | 7 |
53 | G03C | 에스트로겐 호르몬제 | 13,124 | 0.35 | 86.74 | 9 |
54 | G03G | 고나도트로핀 및 기타 배란촉진제 | 13,083 | 0.35 | 87.09 | 18 |
55 | H01C | 시상하부 호르몬 | 12,974 | 0.35 | 87.44 | 13 |
56 | M03A | 말초신경 작용 근이완제 | 12,920 | 0.35 | 87.79 | 11 |
57 | B03X | 기타 빈혈치료제 | 12,072 | 0.33 | 88.12 | 17 |
58 | A07E | 장내 염증 치료제 | 11,706 | 0.32 | 88.44 | 13 |
59 | J07C |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백신 복합제 | 11,495 | 0.31 | 88.75 | 2 |
60 | G03X | 기타 성호르몬 및 생식계의 조절인자 | 11,004 | 0.30 | 89.05 | 7 |
61 | H01B |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 10,425 | 0.28 | 89.33 | 11 |
62 | G03D | 프로게스토겐 호르몬제 | 9,784 | 0.26 | 89.59 | 14 |
63 | L01A | 알킬화제 | 9,644 | 0.26 | 89.85 | 10 |
64 | N01B | 국소 마취제 | 9,460 | 0.26 | 90.11 | 25 |
65 | C02K | 기타 고혈압치료제 | 9,449 | 0.26 | 90.37 | 3 |
66 | G03F | 프로게스토겐 및 에스트로겐의 조합 | 9,348 | 0.25 | 90.62 | 9 |
67 | J01X | 기타 항생제 | 9,178 | 0.25 | 90.87 | 9 |
68 | J01F | 항생제(마크로라이드, 린코사미드, 스트렙토그라민) | 8,679 | 0.23 | 91.10 | 10 |
69 | S01G | 충혈 완화제 및 항알레르기제(안과용) | 8,638 | 0.23 | 91.33 | 9 |
70 | M02A | 관절통 및 근육통을 위한 국소제제 | 8,416 | 0.23 | 91.56 | 33 |
71 | S01B | 항염증제(안과용) | 7,990 | 0.22 | 91.78 | 16 |
72 | R01A | 국소작용 비충혈제거제 및 기타 코 질환 치료제 | 7,737 | 0.21 | 91.99 | 12 |
73 | N07B | 의존증 치료제 | 7,693 | 0.21 | 92.20 | 12 |
74 | D07A | 단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7,537 | 0.20 | 92.40 | 12 |
75 | A07A | 장내 항감염제 | 7,280 | 0.20 | 92.60 | 2 |
76 | S01A | 항감염제(안과용) | 7,265 | 0.20 | 92.80 | 9 |
77 | C01D | 심장질환에 쓰이는 혈관확장제 | 7,264 | 0.20 | 93.00 | 13 |
78 | V07A | 모든 기타 비치료 제품 | 7,226 | 0.20 | 93.20 | 19 |
79 | J06B | 면역글로불린 | 7,221 | 0.20 | 93.40 | 4 |
80 | J01D | 기타 베타-락탐계열 항생제 | 7,073 | 0.19 | 93.59 | 11 |
81 | N06B | ADHD 및 치매에 사용하는 정신자극제 | 6,868 | 0.19 | 93.78 | 8 |
82 | G02C | 기타 비뇨생식기계 약물 | 6,834 | 0.18 | 93.96 | 5 |
83 | B03A | 철분제제 | 6,756 | 0.18 | 94.14 | 8 |
84 | C07A | 베타차단제 | 6,724 | 0.18 | 94.32 | 5 |
85 | A06A | 완하제 | 6,580 | 0.18 | 94.50 | 15 |
86 | D05A | 국소용 건선치료제 | 6,538 | 0.18 | 94.68 | 5 |
87 | C02C | 말초작용 교감신경 수용체 | 6,443 | 0.17 | 94.85 | 1 |
88 | H05B | 항부갑상선 약물 | 6,246 | 0.17 | 95.02 | 7 |
89 | V09F | 갑상선(진단용 방사성의약품) | 6,107 | 0.17 | 95.19 | 11 |
90 | C01B | CLASS I와 III 항부정맥제 | 6,050 | 0.16 | 95.35 | 10 |
91 | C09A | ACEI 단일제 | 5,945 | 0.16 | 95.51 | 8 |
92 | C01E | 기타 심장 의약품 | 5,685 | 0.15 | 95.66 | 9 |
93 | D03A | 외상치료제 | 5,662 | 0.15 | 95.81 | 6 |
94 | A11A | 멀티비타민 복합제 | 5,658 | 0.15 | 95.96 | 6 |
95 | A11E | 비타민 B 복합제 | 5,539 | 0.15 | 96.11 | 3 |
96 | J01M | 퀴놀론계 항생제 | 5,159 | 0.14 | 96.25 | 6 |
97 | G03B | 안드로겐 호르몬제 | 4,950 | 0.13 | 96.38 | 6 |
98 | N02B | 기타 해열진통제 | 4,913 | 0.13 | 96.51 | 7 |
99 | B05A | 혈액 및 관련제제 | 4,563 | 0.12 | 96.63 | 5 |
100 | R07A | 기타 호흡기계 약물 | 4,530 | 0.12 | 96.76 | 5 |
반면 수입금액이 가장 적었던 제제는 기타 호흡기계 약물이었다. 이 약물의 수입금액은 지난해 45억원에 불과했다. 이어 혈액 및 관련제제(46억원), 기타 해열진통제(49억원), 안드로겐 호르몬제(50억원), 퀴놀론계항생제(52억원) 순으로 수입금액이 낮았다.
한편 당뇨 치료제와 함께 우리나라 환자 수요가 가장 많은 고혈압 치료제는 ARB 복합제의 수입금액이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