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성조숙증 확진비율 10%지만.. 증가 추세 뚜렷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김신혜 교수팀, 8세 미만 여아, 9세 미만 남아 21,351명 분석 결과 발표

성조숙증이 의심돼 진료실을 찾는 아이가 늘고 있지만 10명 중 1명만 진짜 성조숙증(진성 성조숙증) 환자로 진단돼 치료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김신혜 교수팀이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성조숙증 진료를 받은 8세 미만 여아, 9세 미만 남아 21,351명을 분석한 결과 건강보험적용을 받아 사춘기 지연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는 평균 10.3%인 2,196명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건강보험코드를 입력해 진료한 인원만을 분석한 결과로, 정확한 우리나라 성조숙증 진료 인원과 보험적용 치료 아이, 발생률 추세를 알 수 있는 결과로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11월호에 게재됐다.   

2004년에는 성조숙증 진료 인원 중 7.5%가 확진 후 호르몬 치료를 받았으며, 2005년에는 6.8%, 2006년 5.7%, 2008년 9.3%, 2009년 9.6%, 2010년에는 15.8%가 치료받아 2004년 비해 2010년에 2배 이상 확진 비율이 증가했다. 성조숙증 진료는 여아가 94.6%(20,212명)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평균적인 성조숙증 확진비율은 남아에서는 2004년 12%에서 2010년 9.1%로 비율이 줄어든 반면, 여아에서는 7.3%에서 16.1%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진료 인원도 2004년 1,018명에서 2010년 5,573명으로 5배 이상 급증했다.

성조숙증 확진비율은 10%에 불과하지만, 발생률이 매년 증가추세를 보여 부모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성조숙증 발생률은 남아보다 여아에서 증가세가 뚜렷했다. 여아인 경우(10만 명당) 2004년 3.3명에서 2010년 50.4명으로 발생률이 15배 이상 크게 늘었고 남아인 경우 2004년 0.3명(10만 명당)에서 2010년 1.2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그래프 참조)

2010년 성조숙증 유병률은 남아(10만 명당 1.7명)보다 여아(10만 명당 55.9명)가 약 33배 높았다.

박미정교수는 "여아에서는 만8세 이전 가슴 몽우리가 생기거나 만 10세 전 초경이 시작된 경우, 남아는 만 9세 전 고환이 메추리알 크기 이상 커지면 성조숙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며 "성조숙증이 의심되면 전문의를 찾아 혈액검사, 성장판 검사, 성호르몬 분비자극 검사 등을 통해 확진 후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춘기 지연치료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춘기 지연치료는 늦어도 만 9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하고 골연령 12세 이전에 종료하는 것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신혜 교수는 "진성 성조숙증 발생률 추세에 관한 논문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다"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신뢰성 있는 자료를 이용해 국내성조숙증의 추이를 관찰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