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뇌동맥류 환자 60%.. 고혈압이거나 흡연

전남대병원이 최근 5년간 뇌동맥류 환자 1,869명 분석 결과,여성이 남성보다 거의 두 배 많으며, 50~60대 연령층이 절반 이상을 차지

뇌혈관 질환인 뇌동맥류 환자 10명 중 6명은 고혈압이거나 흡연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거의 두 배 많으며, 50~60대 연령층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윤택림)이 최근 5년간(2010~2014년) 파열성 뇌동맥류(이하 파열성) 환자(836명)와 비파열성 뇌동맥류(이하 비파열성) 환자(1,033명) 등 뇌동맥류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1,869명(실인원)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뇌동맥류란 뇌동맥의 벽이 약해지면서 풍선(꽈리)모양으로 부푼 상태를 말하며 이 풍선처럼 부풀어 있는 뇌동맥류는 뇌의 지주막 아래에 있기 때문에 터지게 되면 뇌출혈의 종류중 하나인 뇌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뇌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하였을 때 극히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뇌동맥류가 터지기 전에 미리 발견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치료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고혈압이거나 담배 피우는 환자가 파열성 환자의 57.5%, 비파열성 환자의 60.9%를 각각 차지했다.

특히 고혈압은 비파열성 환자의 52.7%, 파열성 환자의 37%가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질환의 가장 위험한 요인인 것으로 입증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비파열성(695명)의 67.2%, 파열성(538명)의 64.3%를 각각 차지해 남성 보다 거의 두 배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파열성의 경우 남성은 40~50대(183명)가 61%, 여성은 50~60대(273명)가 51%를 각각 차지했다.

비파열성 경우에는 50~60대에서 남성(224명) 66%, 여성(416명) 60%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월별로 비교하면 파열성은 1월 8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2월(78명)・2월(77명) 순으로 비교적 겨울에 많이 발생했다.

최근에는 진단장비 발달과 조기검진 등으로 비파열성 환자의 진료 및 치료가 늘고 있고 전남대병원의 경우 비파열성으로 외래 진료받은 환자(실인원)가 2010년 973명에서 2014년 2,205명으로 5년새 무려 2.2배 증가했으며 비파열성으로 수술받은 환자는 지난 2010년 147명에서 2014년 262명으로 1.8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뇌동맥류 치료법 중 하나인 코일술을 받은 환자도 꾸준히 늘어 비파열성으로 코일술을 받은 환자가 2010년 55명에서 2014년 126명으로 집계됐다.

코일술은 머리를 열지 않고 혈관을 통해 미세관을 넣어 뇌동맥류 속으로 백금 코일을 채워서 뇌동맥류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머리를 열지 않는 장점 때문에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다.

전남대병원 신경외과 김태선 교수는 “고혈압과 흡연이 뇌동맥류 파열과 연관이 있으므로 뇌동맥류 환자에게 있어 혈압관리와 금연을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면서 “뇌동맥류의 가장 이상적인 치료 및 파열의 예방방법은 파열하기 전에 발견하여 수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최근 최첨단 의료장비 및 기술의 발전으로 수술 후 사망률이 매우 감소되었기 때문에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뇌혈관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토록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