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추위 시작 11월부터 뇌출혈 응급환자 급증...섣부른 민간요법 시행 장애발생률 높여

갑작스런 두통, 방향 감각 상실, 몸 한쪽 마비일 경우 병원 응급실 찾아야

날씨가 추워지면서 따뜻한 곳에서 갑자기 추운 곳으로 나가게 되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데, 혈관이 높아진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터져 뇌출혈이 발생 할 수 있다. 뇌출혈에 대해 항상 주의가 필요하지만 겨울철과 이른 봄에 특히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지난 5년간(2011년~2015년)의 응급의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뇌출혈(지주막하출혈*, 뇌실질내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11월부터 증가하여 12월에 2,17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적게 발생한 7월의 1,746명에 비해 평균 24.7%p(431명) 높은 수치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안명옥) 중앙응급의료센터는 추위가 시작되는 11월에 뇌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알렸다.
 

[표 1]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5개년 평균 환자 수(단위: 명)

구분

2011-2015년 평균

합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뇌출혈

23,798

2,097

1,935

2,110

2,073

2,003

1,789

1,746

1,772

1,897

2,086

2,115

2,177

 

(8.8%)

(8.1%)

(8.9%)

(8.7%)

(8.4%)

(7.5%)

(7.3%)

(7.4%)

(8.0%)

(8.8%)

(8.9%)

(9.1%)

지주막하출혈

7,314

634

561

642

630

619

566

548

563

583

651

656

663

 

(8.7%)

(7.7%)

(8.8%)

(8.6%)

(8.5%)

(7.7%)

(7.5%)

(7.7%)

(8.0%)

(8.9%)

(9.0%)

(9.1%)

뇌실질내출혈

16,484

1,463

1,374

1,468

1,443

1,384

1,223

1,198

1,208

1,314

1,435

1,459

1,514

 

(8.9%)

(8.3%)

(8.9%)

(8.8%)

(8.4%)

(7.4%)

(7.3%)

(7.3%)

(8.0%)

(8.7%)

(8.8%)

(9.2%)


 매년 평균 약 2만4천여명의 뇌출혈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고 있다.환자 연령별 분포는 50대(23.2%)와 70대(22.1%)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이 50대 이상(75.8%)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0대 이하 환자(9.2%)도 상당수 발생하고 있어 젊은 사람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환별로는 지주막하출혈 환자는 40대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50대에 가장 높았고, 뇌실질내출혈 환자는 50대부터 높아져 7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2]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연령별 환자 수(단위: 명)

연령별

연도별

5개년평균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

23,798

23,382

23,880

23,312

23,779

24,635

30대미만

950

1,081

982

938

901

849

(4.0%)

(4.6%)

(4.1%)

(4.0%)

(3.8%)

(3.4%)

30

1,246

1,259

1,321

1,204

1,247

1,197

(5.2%)

(5.4%)

(5.5%)

(5.2%)

(5.2%)

(4.9%)

40

3,573

3,663

3,665

3,464

3,474

3,599

(15.0%)

(15.7%)

(15.3%)

(14.9%)

(14.6%)

(14.6%)

50

5,509

5,462

5,478

5,363

5,539

5,704

(23.2%)

(23.4%)

(22.9%)

(23.0%)

(23.3%)

(23.2%)

60

4,617

4,749

4,668

4,451

4,454

4,763

(19.4%)

(20.3%)

(19.5%)

(19.1%)

(18.7%)

(19.3%)

70

5,252

4,923

5,202

5,377

5,409

5,351

(22.1%)

(21.1%)

(21.8%)

(23.1%)

(22.7%)

(21.7%)

80대이상

2,650

2,245

2,564

2,515

2,755

3,172

(11.1%)

(9.6%)

(10.7%)

(10.8%)

(11.6%)

(12.9%)


 성별 분포에서는 남성 52.6%, 여성 47.4%로 남성이 높았으며, 질환별로는 지주막하출혈은 남자 42.0%와 여자 58.0%, 뇌실질내출혈은 남자 57.25%, 여자 42.8%로 나타났다.


 

응급실에 내원하여 호소한 주증상은 두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방향감각상실, 편측마비, 의식변화, 어지럼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뇌실질내출혈은 지주막하출혈에 비해 편측마비의 증상이 많았으며, 구음장애(3,701명, 4.5%)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었다.


[표 3] 뇌출혈로 인한 응급실 내원 환자의 주증상(2011년-2015년 전체, 단위: 명)

 

주증상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뇌출혈 (전체)

두통

24,953

(21.0%)

방향감각상실

9,908

(8.3%)

편측마비

9,401

(7.9%)

의식변화

8,617

(7.2%)

어지럼증

5,089

(4.3%)

-지주막하출혈

두통

13,848

(37.9%)

방향감각상실

2,917

(8.0%)

의식변화

2,549

(7.0%)

어지럼증

1,367

(3.7%)

의식소실

1,243

(3.4%)

-뇌실질내출혈

두통

11,105

(13.5%)

편측마비

8,965

(10.9%)

방향감각상실

6,991

(8.5%)

의식변화

6,068

(7.4%)

어지럼증

3,722

(4.5%)

 

주증상이 두통인 환자는 방향감각․의식변화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 비해 최초 증상 발생 이후 응급실 방문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뇌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은 갑작스러운 두통을 무시하지 않고 상태를 면밀히 살피는 등 주의가 요구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윤순영 응급의학 전문의는 뇌출혈은 빠른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고 장애발생률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므로 민간요법 등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아야 하며,두통, 몸의 마비, 의식 변화 등 뇌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발생한 경우 지체 없이 119에 신고하여 응급실에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