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겨울철 각막손상 급증, 춥고 건조한 날씨에 안구도 비상!”

건조한 실내생활, 스마트기기사용, 겨울스포츠 인구 늘자 안구건조증 호소도 지속 증가

급격히 추워진 날씨, 찬 공기로 인한 감기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겨울철 안구 건강에도 비상이 걸렸다. 겨울철 눈에 반사된 강한 자외선과 차가운 바람이 우리의 각막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 각막은 안구의 가장 바깥쪽 표면으로 흔히 검은자위라 일컫는 곳인데 눈 가장 바깥쪽에 있기 때문에 공기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외상을 쉽게 당할 수 있고 여러 질환에 걸리기 쉽다.


각막손상을 가져오는 가장 대표적인 안질환으로는 눈물 분비의 감소나 불안정한 눈물 층으로 각막 표면이 건조해지는 안구건조증(건성각막염)과 그 외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원인이 돼서 나타나는 각막염을 꼽을 수 있으며 그 밖에 원추각막, 선천성 혼탁, 외상으로 인한 혼탁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안구건조증을 포함한 각막염 환자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안구건조 진료 인원은 2013년(2,118,931명)부터 2015년 (2,167,968명)까지 3년 사이에 5만명이 증가했다. 각막염 진료 인원은 2013년 (1,652,346명)부터 2015년 (1,782,199명)까지 3년 사이에 12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5년 각막염 진료 점유율을 보면 20대 15.6%, 30대 13% 40대 14.7% 50대 16.9%로 전 연령대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 각막염 환자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해 왔는데, 2011년 겨울 490,245명에서 2015년 겨울665,622명으로 약 36% 증가세를 보였다.



 시도때도 없이 눈물이 줄줄, 이것도 안구건조증이라고?
건조한 겨울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각막 질환의 하나가 안구건조증이다. 찬바람을 쐬면 눈물이 난다고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은 자극에 예민해진 각막 신경이 눈을 보호하려고 눈물을 만드는 일종의 방어현상으로 안구건조증의 한 증상이다.


 안구건조증은 현대인의 만성질환 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이며 렌즈 착용,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잦은 사용으로 점차 젊은층으로 확산되는 추세인데 특히 겨울철이면 안팎으로 건조한 환경과 난방을 하는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안구건조증 환자가 늘 수 밖에 없는 실정인 것. 하지만 초기의 안구건조증을 그대로 방치하면 만성안구건조증이 될 수 있고, 각막에 미세한 상처가 반복, 각막이 점점 뿌옇게 흐려지면서 심각한 각막궤양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겨울스포츠 즐기는 당신이라면 각막 질환 조심해야!
겨울철 추운 날씨로 실내 생활이 늘면서 자외선 걱정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겨울철 스포츠를 즐기는 당신이라면 자외선으로 인한 각막염을 조심해야 한다.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철 특히 스키장, 얼음빙판 위에 햇빛이 내리쬐면 주변이 온통 하얗기 때문에 자외선이 그대로 반사되어 각막에 자극을 주게 되는데, 겨울철 대표적인 각막질환으로 설맹증을 꼽을 수 있다.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www.bnviit.com) 김정섭 원장은 “야외스포츠를 즐길 때는 반드시 자외선차단 지수가 100%에 가까운 고글이나 선글라스 착용이 필요하며 손상된 각막으로 인한 충혈과 따끔거림, 눈의 피로를 보이는 설맹증 초기에 바로 안과를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면역력이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긴 시간 자외선을 쬐면 백내장, 황반변성과 같은 심각한 질환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김정섭 원장은 “각막염에 걸리면 눈이 시큰거리거나 충혈되고 눈부심, 시력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럴 때 의사 처방없이 함부로 안약을 눈에 넣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므로 전문의를 찾아 각막 손상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한 “겨울철 실내가 몹시 건조하므로 평소 충분한 수분섭취와 18~20도의 실내온도 및 40~60%의 습도 유지를 지키는 생활습관과 함께 평소 눈에 좋은 루테인, 오메가3, 비타민 등을 섭취해서 눈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