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씨스팜 ‘관절팔팔’,2017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 수상

건강기능식품 전문 기업 ㈜씨스팜(대표 조정숙)은 ‘2017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초록입홍합추출오일 성분의 ‘관절팔팔’이 관절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 6회째를 맞이하는 ‘2017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은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진행되며, 소비자의 온라인 투표와 및 전문가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뚜렷한 브랜드 가치와 철학을 보여 준 부문별 최고의 브랜드를 선정한다.


‘관절팔팔’은 국내 최초로 식약처로부터 관절 기능성 개별 인정을 받은 초록입홍합추출오일이 주성분으로, 강력한 염증 유발 물질인 류코트리엔 생성을 억제해 통증 및 부종 감소 효과가 뛰어나다. 서울대•중앙대•전남대 등 주요 7개 대학병원에서 2개월 동안 골관절염환자 5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체실험 결과, 초록입홍합추출오일복합물을 4주와 8주 동안 섭취한 환자에게서 관절 통증•관절 기능이 각각 57%, 83.7%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유일의 경동맥 혈관벽 두께 감소 기능성을 인정 받은 씨스팜의 ‘혈관팔팔피부팔팔’은 2016년 건강기능식품 대상에서 혈행개선 부문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성분인 특허받은 칸탈로프 멜론 추출물은 혈관벽 두께 감소 효과 외에도 SCI 논문 10여 편과 50여 편에 달하는 해외 연구 논문을 통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DNA 손상방지, 종양억제, 시력 개선 등 노화방지와 기억력 및 집중력 향상 등의 효과를 입증했다.


씨스팜의 최희성 부장은 “최근 고령화 사회로 인해 관절 건강에 주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수상은 소비자들이 직접 관절팔팔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씨스팜은 관절팔팔 뿐만 아니라 혈관벽 두께 감소 기능성이 있는 혈관팔팔 등 뛰어난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제품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씨스팜은 ‘경동맥 혈관벽 두께 건강 지키기 캠페인’을 통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경동맥 혈관벽 두께 관리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문의 02-850-2525)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악성 복수 동반한 진행성 암 환자 ..."장·방광·복수액 미생물 및 면역 환경" 규명 암이 진행됨에 따라 일부 환자에서는 복강 내에 체액이 축적되는 ‘악성 복수’가 발생한다. 복수가 과도하게 쌓이면 복부 팽만, 통증, 호흡곤란 등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예후도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악성 복수의 발생 원인과 그에 따른 미생물학적·면역학적 특성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종양혈액내과 윤진아 교수 연구팀은 장, 방광, 복수액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악성 복수의 미생물 군집과 면역 환경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총 66명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악성 복수가 있는 환자군(20명)과 없는 환자군(46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장, 방광, 복수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해 16S rRNA 유전자 시퀀싱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시행하여 미생물 다양성과 면역세포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복수액 내 미생물 부하는 매우 낮아 대부분이 무균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장 및 방광 내 미생물 군집은 복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복막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염증 유발 세균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및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Gam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