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구건조증, 유행성 각결막염 등 봄철 급증하는 3대 안질환 주의보

원인과 증상 달라 철저한 생활습관으로 사전 예방하고 발병시에는 치료시기 놓치지 말자

날씨가 풀리면서 따뜻한 봄소식은 반갑지만 연이어 미세먼지, 황사가 계속되면서 안구건강에도 비상이 걸렸다.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꽃가루와 함께 각종 미세먼지 및 중금속으로 인한 대기오염은 눈처럼 예민한 기관에 자극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계속되는 건조한 날씨로 안구 표면의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눈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안구건조증은 대표적인 봄철 눈질환으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 환자수가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알레르기 결막염은 3년간 약 10%의 증가율을, 안구건조증은 환자수가 약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감염성 질환인 유행성 각결막염도 조심해야 할 안질환이다. 새학기에 적응하고, 단체생활에 익숙해진 아이들이 자기도 모르는 새에 눈병을 옮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봄철 3대 안질환, 원인과 증상도 제각각… 치료시기 놓치지 말아야!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결막에 접촉하여 결막에 알레르기성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라고 이른다. 증상으로는 눈꺼풀 가려움증, 결막 충혈, 눈에 전반적인 통증,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이 있으며, 결막 부종 등의 증상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유해물질이 많은 봄, 특히, 눈 화장을 하고, 렌즈를 끼고, 속눈썹 등을 붙이는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로 가려운 증상을 참지 못하고 눈을 비비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증상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습관이고, 알레르기 항원이 손에서 눈으로 옮겨 가면서 증상이 악화되어 이차적 결막 손상이 생길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안구건조증은 남녀노소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요즘처럼 건조한 봄철 스마트 기기 사용이 잦아져서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적어진다면 더욱 조심해야 한다. 흔히, 알레르기 결막염과 안구건조증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두 질환 모두 눈이 뻑뻑하고 따가운 느낌이 나는 공통점은 있지만 알레르기성 결막염에서만 충혈 증상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흔히 눈병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질환으로, 각막과 결막이 아데노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증상으로는 눈물 흘림, 충혈, 눈꺼풀 부종, 눈곱 끼임 등이 있다. 이 질환은 바이러스 잠복기가 있어 환자들이 자신의 질환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로 접촉하는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다니게 된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4월부터 여름인 7~9월까지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김정섭 원장(안과 전문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구건조증, 유행성 각결막염은 봄철에 흔히 발병하는 안질환들이기 때문에 무심코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방치했을 경우 심하게는 궤양이라든지 눈 속 염증으로까지 번지며 실명의 위험까지 이를 수 있는 질환이다” 라고 설명하며 “증상이 보이거나 눈이 불편하다고 느낀다면 빠른 시일 내에 안과를 방문하여 진찰을 받고 적절한 처방을 받는 것이 좋다” 고 조언했다.


 봄철 3대 안질환, 철저한 생활습관으로 예방 가능
봄철 안질환은 신체 얼굴 부위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생활에 불편함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조금만 주의한다면 어느 정도는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우선, 기본적으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렌즈보다는 안경을 써서 이물질이 눈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눈이 많이 건조할 때는 인공눈물을 사용하고 장기간 컴퓨터 사용시에는 보호경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손을 자주 씻어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되도록이면 눈에 손을 대지 않는 습관을 갖자.


김정섭 원장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손으로 눈을 최대한 만지지 않고 환부에 냉찜질을 하거나 안과에서 처방 받은 안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흔히 점안액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안약을 투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안구건조증에는 따뜻한 물수건을 자기 전에 눈 위에 올려두면 막혀있던 눈물샘 구멍이 뚫리면서 안구건조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인공 눈물이나 약물 치료를 받는 것도 한 방법인데 눈물막 지방층을 증가시켜 안구건조증에 효과가 있는 오메가3와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비타민B나 비타민C를 섭취하면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한편, 유행성 각결막염의 경우 봄에 발병되어 7~9월까지 유행인 눈병이므로 처음부터 잘 관리를 하고 예방하는 것이 좋다. 눈이 가려워서 병원을 찾으면 가려움 증상 완화를 위해서 안대를 처방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안대에 묻는 눈물과 분비물들로 인해 안대가 오염되어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이에 따라 김정섭 원장은 “유행성 각결막염은 전염성이 강하고 가려움과 충혈이 심한 질환이라서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안대를 착용할 수는 있지만, 자주 안대를 바꿔주어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수해발생 시 감염병 예방은? ....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와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해야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집중호우로 인하여 호우 위기경보 수준이「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하기 위하여 지자체에게 감염병 예방홍보, 발생 감시강화 및 모기 등 매개체 방제를 요청하였다(7.17). 풍수해 감염병에는 ❶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관감염증, A형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 등), ❷물 웅덩이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으로 인한 모기매개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❸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안과 감염병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➊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등), A형 간염,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조리 전· 후와 식사 전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 유방암 로봇수술 100례 달성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최근 로봇 유방 절제술 100례를 달성하고, 이를 기념해 지난 16일 수술실에서 공식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성과는 국내에서도 일부 상급종합병원에서만 달성된 수준으로, 유방암 분야에서 보기 드문 이정표로 평가된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국내 최초로 로봇수술을 도입한 세브란스병원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두 번째로 유방암 로봇수술을 시작한 김주흥 교수(유방외과)를 중심으로 한 숙련된 전문의들이 로봇 유방 수술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확립하고 있다. 또한 진단부터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까지 유방암 치료 전 과정을 한 기관 내에서 수행하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 환자에게 신속하고 통합적인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방암 로봇수술은 겨드랑이 부위를 통한 약 4cm 내외의 절개만으로도 기존 수술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절개 부위가 눈에 띄지 않아 외관 변화에 대한 부담이 큰 환자들에게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주흥 교수는 최근 외과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자마 서저리(JAMA Surgery)’에 로봇 및 내시경 기반 최소침습 수술이 기존 피부 절개 방식에 비해 유두 및 유륜 괴사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