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 폴리프로필렌(9,028건) 수입 크녹 증가

식약처,‘17년 상반기 수입식품 동향 발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금액 기준 15.9%, 중량 기준 7.7%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17년 상반기 수입식품 규모가 수입 금액으로는 128억5,300만달러, 중량으로는 935만2천톤, 건수로는 332,313건이며, 162개 국가로부터 수입되었다고 밝혔다.  
 

‘16년 상반기 대비 수입 금액은 15.9%(’16년상반기 110억8,800만달러), 중량은 7.7%(’16년상반기 868만5천톤), 수입 건수는 9.1%(’16년상반기 304,650건)가 늘었다. 
 
수입식품은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기구 및 용기·포장, 농·임산물, 수산물, 식품첨가물, 축산물 등 7개 품목군으로 구분된다.


올해 상반기 수입식품의 중량, 금액, 신고건수를 국가별로 분석하면, 수입 중량과 금액으로는 미국, 수입신고 건수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다.


-상반기 상위 30개 품목

순위

품목군

품목명

건수

중량(천톤)

(백만불)

전체

1,747 품목

332,313

9,352

12,853

30품목

89,107

(26.8%)

7,232

(77.3%)

6,126

(47.7%)

1

가공식품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

1,061

1,304

819

2

.임산물

513

1,216

272

3

.임산물

옥수수

376

1,143

234

4

.임산물

대두

420

793

377

5

축산물

돼지고기

15,348

297

931

6

.임산물

/매현미

81

290

197

7

.임산물

바나나

2,177

240

206

8

축산물

쇠고기

17,604

201

1,199

9

가공식품

맥주

4,001

159

119

10

가공식품

배추김치

7,383

136

61

11

.임산물

오렌지

2,213

131

205

12

가공식품

.채가공품

7,891

122

243

13

가공식품

정제소금

120

113

8

14

.임산물

고추

1,151

105

59

15

수산물

냉동명태

706

97

111

16

.임산물

보리/맥주맥

356

94

63

17

가공식품

천일염

103

76

4

18

가공식품

서류가공품

2,676

75

88

19

.임산물

커피

2,622

71

230

20

가공식품

연육

2,195

65

116

21

가공식품

곡류가공품

2,694

61

60

22

가공식품

식염절임

1,757

54

25

23

축산물

닭고기

2,134

52

97

24

.임산물

당근

1,307

51

21

25

가공식품

두류가공품

1,514

50

50

26

.임산물

양파

1,041

49

16

27

가공식품

기타가공품

4,403

48

145

28

가공식품

당류가공품

2,757

47

44

29

.임산물

카사바(타피오카)

50

46

12

30

수산물

냉동오징어

2,453

46

114


수입 중량의 경우 미국이 242만4천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호주(176만톤), 중국(144만7천톤), 러시아(52만8천톤), 브라질(33만7천톤)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입 금액은 미국이 30억2,100만달러로 가장 컸으며, 중국(20억2,400만달러), 호주(13억900만달러), 베트남(5억5,800만달러), 독일(4억7,600만달러) 순이었다. 
  

미국에서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중국에서는 스테인레스제 기구·용기·포장과 쌀, 호주에서는 쇠고기 및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식물성 유지 등), 베트남에서는 냉동새우와 냉동주꾸미, 독일에서는 돼지고기와 치즈가 주로 수입되었다.수입 신고건수는 중국 84,120건, 미국 48,159건, 일본 22,928건, 태국 14,130건, 프랑스 13,595건 순이었다.   


올해 상반기 주요 수입 품목을 중량, 금액, 신고건수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수입량이 많은 품목은 설탕 원료(원당), 미정제 옥수수유 등 정제·가공을 거쳐야 하는 식품원료(130만4천톤), 밀(121만6천톤), 옥수수(114만3천톤), 대두(79만3천톤), 돼지고기(29만7천톤) 순이었다.
  

품목군별 상위 10개 품목 중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식품용 폴리에틸렌제 용기·포장(183%), 쌀(129%), 기구류 중 목재류(127%), EPA, DHA 함유 유지(94%), 냉동오징어(89%) 등이었다.

      
수입 금액으로는 쇠고기(11억9,950만달러), 돼지고기(9억3,080만달러), 정제·가공용 식품원료(8억1,880만달러), 대두(3억7,660만달러), 밀(2억7,230만달러) 순으로 수입되었다.
  

품목군별 상위 10개 품목 중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 금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유리제 기구·용기(174%), 냉동오징어(167%), 양고기(163%), 폴리에틸렌제(143%), 쌀(102%) 등이었다.
 

수입 신고건수는 쇠고기(17,604건), 돼지고기(15,348건), 과실주(12,115건), 스테인레스제(11,393건), 폴리프로필렌(9,028건) 순이었다.  
  

품목군별 상위 10개 품목 중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수입 건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은 목재류(172%), 양고기(110%), 냉동오징어(88%), 가열양념육(57%), 양파(57%) 등이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위해성이 있는 품목들이 수입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들이 수입식품에 대해 안전하다고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