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동안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관련된 주사침 자상 사고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274건의 주사침 자상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의료원 주사침 자상 사고>
2014년  | 2015년  | 2016년  | 합계  | 
80  | 84  | 110  | 274  | 
특히 4대 혈액매개 질환(에이즈, C형간염, B형간염, 매독)의 주사침 자상 사고는 최근 3년간 총 114건으로 발생되었고,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관련 주사침 사고는 35건이 발생되었다.
<국립중앙의료원 혈액매개 질환 주사침 자상 사고>
       | 2014년  | 2015년  | 2016년  | 합계  | 
계  | 39  | 40  | 35  | 114  | 
HIV(에이즈)  | 5  | 16  | 14  | 35  | 
HCV(C형간염)  | 17  | 16  | 9  | 42  | 
HBV(B형간염)  | 5  | 2  | 6  | 13  | 
VDRL(매독)  | 12  | 6  | 6  | 24  | 
국립중앙의료원은 혈액매개 환자 입원병동 의료진을 대상으로 안전카테터 사용훈련을 시행하고, 야간 노출 시 응급의료센터에서 지정된 표준화된 처방을 받도록 하고 있다.
최도자 의원은 “혈액매개 환자 입원병동에서 주사침 자상 사고는 의료인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사침 자상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