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산 의료기기 개발 트랜드 바뀌나?...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 접목 제품 주목

식약처,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전년 대비 3.9% 증가한 5조 8,232억원 기록 발표 하면서 첨단의료기기 개발 대비도 공개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은 전년 대비 3.9% 증가한  5조 8,232억원의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5조 8,232억원으로 `16년(5조 6,025억원) 대비 3.9%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8.4%로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생산실적(억원)은 ('13)42,241→('14)46,048→('15)50,016→('16)56,025→('17)58,232을 기록했다.
 

 `17년 의료기기 수출은 31.6억달러(3조 5,782억원)로 `16년 29.2억달러(3조 3,883억원) 대비 8.2% 늘어났으며, 수입은 35억 달러(3조 9,529억원)로 전년 31.5억달러(3조 6,572억원) 대비 11.1% 증가하여 무역적자는 3.3억달러(3,747억원)로 `16년(2.3억달러, 2,689억원)에 비해 43.5% 증가하였다.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면서 치과용 임플란트, 성형용 필러 등의 관련 제품 생산·수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치과용 임플란트 등 의료기기 생산 꾸준히 증가 >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전년(5조 6,025억원) 대비 3.9% 늘어난 5조 8,232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8.4%이다. 
 

또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 1,978억원으로 `16년(5조 8,713억원)에 비해 5.5% 증가하였으며, 매년 평균 성장률도 7.6%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치과용 임플란트(8,889억원)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951억원), 성형용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2,066억원) 순이었다.
    
치과용 임플란트 생산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인구 고령화와 치과용 임플란트 건강보험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주)(6,890억원), 삼성메디슨(주)(2,808억원), 한국지이초음파(유)(1,524억원) 순이었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생산의 29.9%(1조 7,393억원)를 차지하였다.
 

의료기기 업체 종사자는 ‘16년(77,885명) 대비 13.3% 증가한 88,245명이었으며, 관련 산업 성장에 맞추어 고용창출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고령화 및 성형 관련 의료기기 수출 증가 등>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이 가장 많았던 품목으로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51억달러, 6,226억원)였으며, 치과용 임플란트(2.03억달러, 2,296억원), 성형용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1.88억달러, 2,124억원),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1.53억달러, 1,728억원)가 뒤를 이었다. 


  -수출실적 상위 30위 품목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품목명

수출금액

비중

1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551,482

17.4

2

조직수복용생체재료

188,122

5.9

3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152,657

4.8

4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140,154

4.4

5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

132,871

4.2

6

의료영상획득장치

97,575

3.1

7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85,932

2.7

8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76,057

2.4

9

개인용온열기

71,349

2.3

10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62,524

2.0

11

혈관내진단용초음파프로브

52,415

1.7

12

HIV.HBV.HCV.HTLV면역검사시약

44,136

1.4

13

엔디야그레이저수술기

44,043

1.4

14

디지털치과진단용파노라마엑스선촬영장치

41,532

1.3

15

디지털진단용엑스선촬영장치

41,311

1.3

16

이동형디지털진단용엑스선촬영장치

40,136

1.3

17

임피던스체지방측정기

37,812

1.2

18

전동식모유착유기

32,471

1.0

19

수지형체외식초음파프로브

31,545

1.0

20

추간체고정재

29,931

0.9

21

암형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

29,538

0.9

22

면역화학검사시약

28,871

0.9

23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

27,479

0.9

24

안경렌즈

25,814

0.8

25

주사기

25,544

0.8

26

범용전기수술기

24,142

0.8

27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23,339

0.7

28

검안용굴절력측정기

23,303

0.7

29

개인용조합자극기(2등급)

22,003

0.7

30

담관용스텐트

21,832

0.7

2,205,919

69.7


특히 수출 상위 30개 품목 중 전년 대비 수출이 크게 늘어난 품목은 성형용 필러제품으로 `16년(1.39억 달러, 1,613억원) 대비 35.6% 증가하였으며, 이는 중국 성형시장이 성장하면서 중국으로 수출이 급증(39.7%)한데 따른 것이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도 `17년 2.03억 달러(2,296억원)로 전년(1.67억 달러, 1,938억원) 대비 21.6% 증가하였으며, 수출 상위 30개 국가 중 러시아(53%), 중국(14%)으로 수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압박용 밴드’와 같은 1등급 의료기기 수출은 `16년 2.8억달러(3,249억원)에서 `17년 2.3억달러(2,601억원)로 감소한 반면 ‘인공엉덩이관절’ 등 기술력이 요구되는 고부가가치인 4등급 제품은 `16년 2.3억달러(2,669억원), `17년 2.8억달러(3,166억원)로 수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입실적 상위 30위 품목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품목명

수입금액

비중

1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120,309

3.4

2

관상동맥용스텐트

95,501

2.7

3

인공신장기용혈액여과기

85,461

2.4

4

면역화학검사시약

66,966

1.9

5

인공무릎관절

65,022

1.9

6

초전도자석식전신용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치

63,609

1.8

7

전신용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

55,376

1.6

8

안경렌즈

49,970

1.4

9

비흡수성체내용스태플

40,036

1.1

10

치료용하전입자가속장치

35,859

1.0

11

일회용손조절식전기수술기용전극

34,076

1.0

12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33,574

1.0

13

내분비물질검사시약

32,831

0.9

14

뇌혈관내색전촉진용보철재

32,153

0.9

15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32,073

0.9

16

의료용분리방식임상화학자동분석장치

29,102

0.8

17

HIV.HBV.HCV.HTLV면역검사시약

28,889

0.8

18

인공달팽이관장치

28,534

0.8

19

조직수복용생체재료

28,274

0.8

20

인공신장기용혈액회로

27,143

0.8

21

고투과성인공신장기

27,041

0.8

22

진공채혈관

26,475

0.8

23

거치형디지털식순환기용엑스선투시진단장치

24,978

0.7

24

다초점인공수정체

24,398

0.7

25

의료용면역발광측정장치

24,087

0.7

26

전극카테터

22,957

0.7

27

종양표지자면역검사시약

22,247

0.6

28

풍선확장식관상동맥관류형혈관형성술용카테터

22,152

0.6

29

의료용절삭기구

21,974

0.6

30

혈관내튜브·카테터

21,812

0.6

1,222,879

35.0


국가별로는 미국(5.12억달러, 5조 7,856억원), 중국(5.09억달러, 5조  7,517억원), 독일(2.38억달러, 2조 6,894억원) 순이었으며,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16년 대비 수출 증가율이 큰 국가로는 인도네시아(41.8%), 러시아(30.2%), 인도(28.4%)였다.  
 

업체별로는 한국지이초음파(유)(2.7억달러, 3,053억원), 삼성메디슨(2.2억달러, 2,488억원), ㈜에스디(1.3억달러, 1,470억원) 순으로 수출이 많았으며, 상위 10개사가 전체 수출의 35.4%(11.2억달러, 1조2,665억원)를 차지하였다.


식약처는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자료를 통해 의료기기 안전관리 및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 등 우수한 의료기기가 생산·수출될 수 있도록 기술적·제도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휴메딕스, 브라질 협력사 현장 초청 간담회..."파트너사인 이노바와 협력 관계 강화" 휴온스그룹 휴메딕스가 브라질 협력사와 의료진 등을 초청 현장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휴메딕스(대표 강민종)는 지난 21일 브라질 유통 협력사인 이노바(INNOVA Pharma) 임직원 및 브라질 현지 핵심 의료진(Key doctor) 등 총 60여 명이 성남 판교 본사와 제천 공장을 방문했다고 22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브라질 협력사와의 관계를 한층 강화하고 의료진에게 휴메딕스의 우수 경쟁력을 알리기 위해 방문 행사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외빈들은 이날 오전 휴메딕스 성남 판교 본사를 방문해 홍보관을 관람하고 휴온스그룹 및 휴메딕스에 대한 기업 설명을 청취했다. 오후에는 휴메딕스 공장이 있는 제천으로 이동해 공장투어를 진행했다. 브라질 방문단들은 엄격한 생산 관리 아래 브라질에 수출되는 히알루론산(HA) 필러 생산 모습 등과 다양한 대표 제품들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휴메딕스의 브라질 미용의료 유통 협력사인 이노바는 남미 전역의 병원과 클리닉에 미용 및 의료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특히,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미용 필러, 스킨부스터, 의료기기 등 다방면에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노바는 휴메딕스와 협력해 고품질 HA 필러를 브라질 시장에 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