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2 (토)

  • 맑음동두천 16.7℃
  • 맑음강릉 22.9℃
  • 맑음서울 17.0℃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23.3℃
  • 맑음울산 23.5℃
  • 맑음광주 19.1℃
  • 맑음부산 19.4℃
  • 맑음고창 16.7℃
  • 맑음제주 20.5℃
  • 맑음강화 11.5℃
  • 맑음보은 19.7℃
  • 맑음금산 19.1℃
  • 맑음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23.8℃
  • 맑음거제 16.4℃
기상청 제공

피부재생 크림, 연고 등 의약외품 원료 대량 생산길 열리나... 양수유래 줄기세포의 증식과 빠른 재생력 확인

고려대 생명공학부 유승권 교수팀과 줄기세포 분야 벤처기업 스템랩 '셀레늄(selenium)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 이용' 공동 연구결과 발표 ,상품화까지는 2-3년 소요

양수유래 줄기세포를 피부재생 크림, 연고 등 의약외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대량생산의 길이 열렸다.

상품화까지는 식약처 허가와 생산공정 마련등으로 빠르면 2년에서 3년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고려대 생명공학부 유승권 교수팀과 줄기세포 분야 벤처기업 ㈜스템랩(258540 KONEX) 연구진은 항산화 작용으로 잘 알려진 셀레늄(selenium)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를 이용해 양수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및 성장인자 분비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대량생산을 통한 제품화에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인간 양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확장 및 파라크린 작용에 대한 기본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및 셀레늄의 부가적 효과)은 국제학술지 '줄기세포 연구 및 치료'(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에 최근 게재되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노화가 진행되어 세포의 증식이 제한되며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가장 어린 양수 줄기세포의 경우, 다른 중간엽 줄기세포 보다는 증식 능력이 우수하지만 세포의 노화는 피할 수는 없다. 연구진은 이러한 노화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수유래 줄기세포에 셀레늄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를 첨가했다.

 

셀레늄과 FGF를 첨가한 양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에서 생산한 배양액은 기존 배양액 보다 성장인자 (TGF-β, VEGF 등) 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처 난 피부에 처리했을 때 빠른 재생력을 보였다. 생체 내 상처 치유 분석을 위해 전체 두께의 피부 상처를 가진 ICR 생쥐를 사용했고 세포 시그널링 변화를 분석했다. (첨부 논문 13페이지 도표 8 참조)

 

또한 셀레늄은 글리코겐 대사 관여 효소인 GSK3β의 불활성화와 함께 AKT-ERK1/2, Smad2, Stat3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 양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증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FGF)와 함께 투여할 경우 인체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 축적억제 및 분화능력 유지에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첨부 논문 7페이지 도표 2 참조) 

 

스템랩 오동훈 대표이사는 "고려대 생명공학부와 스템랩 연구진이 공동 진행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셀레늄, FGF를 첨가한 양수줄기세포에서부터 생산한 배양액은 피부재생 크림, 연고와 같은 의약외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화상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박민수차관 "예측가능한 약가제도 개선 ” 노력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21일 보건복지부 박민수 차관을 초청한 가운데 2025년 제약바이오 CEO 조찬 간담회를 갖고, 산업 발전과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열린 간담회에는 윤웅섭 이사장(일동제약 부회장)을 비롯한 제약바이오기업 CEO 70여명이 참석, 1시간여 동안 2025년 복지부의 주요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현안 관련 활발한 문답을 주고 받았다. 노연홍 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투자 분위기 침체 등으로 산업계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산업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보건산업 진흥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와 건강보험 관리라는 두 가지 목표의 균형을 잡아나간다면, 산업계가 미래를 향한 과감한 도전으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 간담회는 정부와 산업계가 제약바이오사업 도약이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밑거름을 마련하는 뜻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박민수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보건복지부의 사명은 국민의 건강과 편안한 삶을 위해 보험과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