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9.6℃
  • 구름많음강릉 10.9℃
  • 연무서울 10.4℃
  • 구름조금대전 7.2℃
  • 흐림대구 7.1℃
  • 흐림울산 9.3℃
  • 구름조금광주 8.2℃
  • 흐림부산 11.8℃
  • 맑음고창 11.2℃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강화 10.5℃
  • 구름많음보은 3.4℃
  • 맑음금산 4.6℃
  • 구름조금강진군 7.3℃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봄철 건강 챙기세요! 알레르기 행진 막는 비법 있어

가천 길병원 이상철교수,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경구 복용하여 점차 면역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치료

 

곳곳에 형형색색의 예쁜 꽃들이 만발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 때문에 재채기와 콧물로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봄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벚꽃이다 보니 꽃가루 알레르기 하면 떠오르는 게 벚꽃이지만, 벚꽃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인자는 아니다. 가천의대 길병원 호흡기내과 이상표 교수에게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리와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범이 벚꽃?
꽃가루 알레르기는 나무, 꽃 등이 뿜어내는 꽃가루가 원인이 돼 생기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가루를 많이 내뿜는 꽃일수록 알레르기를 쉽게 유발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알레르기 유발 여
부는 사실 가루가 우리 몸 속 점막을 얼마나 잘 투과하느냐에 달렸다.

꽃과 같은 충매화는 바람에 잘 날리는 꽂가루의 양이 많지않아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도 적다.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되는 것들은 대부분 풍매화이다. 자작나무나 오리나무, 밤나무, 참나무 등은 국내 환자들에게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 나무들이다. 이 나무들은 봄꽃이 피는 3~5월 많은 꽃가루를 내뿜고, 바람이 이를 확산시켜 알레르기 환자들을 곤욕스럽게 한다.

벚꽃놀이를 갔는데 꽃가루 알레르기가 증상이 나타났다면 이는 근처 산 등에서 날아온 풍매화 가루 때문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 꽃보다 유전, 유전보다 환경
알레르기 비염은 유전적 소인이 크게 작용하는 질환이다. 부모 중 한명이 질환을 갖고 있다면 자녀에게서 알레르기가 발병할 가능성이 50%, 부모가 둘 다 질환이 있다면 자녀 75%에게서 발병한다는 통계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꽃가루 알레르기를 비롯해 봄철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급증한 것은 황사와 온난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알레르기 유발 인자로부터 몸을 방어하는 점막이 비슷한 시기에 황사와 같은 오염 물질로 인해 1차 공격을 받은 후 꽃가루로 2차 공격을 받을 경우 증상은 더욱 빠르고,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온난화로 꽃이 피고, 가루가 날리는 기간이  길어지게 된 것도 알레르기 환자들에게는 달갑지 않은 일이다.

■‘행진’하는 알레르기를 그대로 두면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이 그렇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경우도 유발 인자와의 접촉을 가능한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

피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원인 물질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데, 환자 증상에 대한 문진과 피부 테스트, 혈액채취 등의 진단으로 원인 물질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나 회피하는 방법만으로 알레르기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는 없다.

우리 주변에는 환자 본인이 알게 모르게 수많은 원인 물질이 널려있기 때문에 회피방법은 언제든 증상을 악화시킬 소지를 안고 있다.

알레르기에 대한 원인을 파악했다면 질환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는 꽃가루에만 알레르기를 보이다가 다른 원인 물질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고, 결국 원인 물질이 하나씩 늘어 복합적인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알레르기 행진(allergy march)’이 계속되지 않도록 그 단계에서 멈추게 하는 치료를 늦춰서는 안되는 이유다.

최근 2~3년 전부터는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저농도부터 시작하여 경구 복용을 하게하는 편리한 면역치료법이 도입되었다. 반응을 보이지 않을 만큼 미량을 투입하면서 점차 양을 늘려가 면역력을 높이는 방식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아동학대 예방 위한 ‘2025 새싹지킴 캠페인’ 개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아동학대예방의 날(매년 11월 19일)을 맞아 21일 병원 4층 대강당에서 ‘2025 새싹지킴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아동권리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수준을 높이고, 학대 피해 아동 및 아동학대 대응 기관 종사자를 지지하고 격려하기 위해 마련했다. 행사에는 경기도 내 3개 시(용인‧이천‧여주)의 관공서, 민간 기관 및 단체 등 아동학대 대응 유관기관 관계자와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직원, 환자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용인세브란스병원 이기주 사회사업팀장의 인사말과 김은경 병원장의 환영사로 시작했다. 이어 1부에서는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희연 교수가 ‘아동학대의 정신과적 평가 및 치료’, 최대헌심리상담연구소 최대헌 소장이 ‘말 씨앗 – 사육과 양육의 경계’를 주제로 강연했다. 강연 후에는 경기도거점아동보호전문기관의 주관으로 대강당 앞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피켓 캠페인, 캘리그래피 이벤트 등 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2부에서는 아동학대 예방 홍보대사 위촉식과 ‘치유와 힐링’을 주제로 한 새싹지킴 콘서트가 이어졌다. 일렉바이올리니스트 유주, 그룹 V.O.S의 박지헌, 전태익 밴드가 무대에 올라 다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