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중년 여성 스트레스 왜 많이 받나 봤더니...

50대 여성이 398명으로 가장 많아 … 전체 인구 평균 235명(201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정신 및 행동장애의 한 유형인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F43, 이하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7년 9만8,083명에서 2011년 11만5,942명으로 늘어났다.

2011년 기준, 진료환자는 남성이 4만5,568명, 여성이 7만374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가량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만2,430명과 2만1,903명으로 전체 진료환자(11만5,942명)의 38.2%를 차지하였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50대 여성이 39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60대 여성 354명, 40대 여성 341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동안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20대 남자로 연평균 8.8% 증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70세 이상 남자가 8.0%, 70세 이상 여자가 7.9% 증가하였다.

경제활동연령을 고려하여 20~60대 진료환자를 ‘직장인’과 ‘비(非)직장인’으로 구분해 분석해 본 결과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는 여성 비직장인 360명 > 여성 직장인 278명 > 남성 비직장인 206명 > 남성 직장인 181명 순(順)으로 나타나 ‘비(非)직장인’이 ‘직장인’보다 스트레스로 인한 진료환자수가 더 많았다.

그러나, 40대와 50대 남성은 ‘직장인’이 각각 197명, 228명으로  ‘비(非)직장인’ 177명, 196명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동안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비(非)직장인’은 성별에 따라 남성은 20대, 여성은 60대였다.

 

건강보험 ‘연령별’ 스트레스질환(F43) 진료 환자수(단위 : 명)

구분

진료환자수

10만명당 진료 환자수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07년

’08년

’09년

’10년

’11년

98,083

101,024

109,027

114,817

115,942

205

210

224

235

235

남자

36,626

38,041

41,434

44,194

45,568

152

157

169

179

184

여자

61,457

62,983

67,593

70,623

70,374

259

264

280

291

288

9세이하

2,947

2,664

2,586

2,489

2,373

58

54

54

53

52

남자

1,633

1,418

1,441

1,361

1,379

62

56

58

56

58

여자

1,314

1,246

1,145

1,128

994

54

53

49

50

45

10대

13,586

13,773

14,847

14,969

14,434

211

214

229

231

227

남자

6,754

6,878

7,406

7,399

7,339

198

202

216

216

219

여자

6,832

6,895

7,441

7,570

7,095

226

228

244

247

236

20대

13,671

13,921

14,925

15,556

15,193

186

191

211

226

224

남자

5,034

5,343

5,890

6,371

6,562

132

142

160

178

186

여자

8,637

8,578

9,035

9,185

8,631

243

244

265

278

266

30대

19,038

17,956

18,955

19,743

19,153

220

212

225

237

232

남자

6,356

6,181

6,808

7,161

7,152

143

142

157

167

168

여자

12,682

11,775

12,147

12,582

12,001

300

286

297

310

299

40대

21,371

21,490

22,290

22,694

22,430

256

253

260

265

260

남자

7,210

7,362

7,580

8,054

8,100

169

170

173

184

184

여자

14,161

14,128

14,710

14,640

14,330

347

340

351

350

341

50대

14,351

16,125

18,343

20,378

21,903

252

269

288

300

301

남자

4,965

5,467

6,239

6,962

7,438

174

182

196

205

205

여자

9,386

10,658

12,104

13,416

14,465

330

357

381

394

398

60대

8,192

9,196

10,292

11,225

11,768

224

243

265

282

293

남자

2,929

3,275

3,714

4,109

4,406

169

181

200

215

227

여자

5,263

5,921

6,578

7,116

7,362

274

300

326

345

354

70세이상

4,927

5,899

6,789

7,763

8,688

189

211

225

244

256

남자

1,745

2,117

2,356

2,777

3,192

176

197

202

223

239

여자

3,182

3,782

4,433

4,986

5,496

197

220

240

257

266

주: 1) 수진기준(진료실인원은 약국제외, 진료실적은 약국포함), 양방기준(한방제외)

2) 2011년은 2012년 6월 지급분 반영

3)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이며, 비급여는 제외

4) 요양기관에서 환자진료 중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일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 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7년 147억원에서 2011년 208억원으로 1.4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1년  급여비는 139억원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수희 교수는 ‘심한 스트레스 반응 및 적응장애(F43)’의 정의, 원인, 해소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종근당, 만성 심부전 치료제 ‘베르쿠보®’ 국내 독점 판매...치료 옵션 확대 주목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바이엘 코리아(대표 이진아)와 만성 심부전치료제 ‘베르쿠보®(성분명 베리시구앗)’의 국내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종근당은 10월부터 국내 병∙의원에서 베르쿠보®의 독점 유통 및 영업, 마케팅을 담당하게 된다. 베르쿠보®는 좌심실 박출률이 45% 미만으로 저하된 증상성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수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sGC, soluble Guanylate Cyclase) 자극제 중 세계 최초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허가된 약물이다. 산화질소–sGC–cGMP 경로를 직접 자극해 혈관 기능 개선과 심장 구조·기능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 약물은 표준치료에도 불구하고 심부전 악화를 경험한 고위험성 만성 심부전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 및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 감소 효과를 글로벌과 국내 임상을 통해 확인했다. 기존 신경호르몬 차단 중심의 치료와 다른 기전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고위험 환자군을 위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종근당 김영주 대표는 "종근당은 심혈관계 질환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베르쿠보®의 국내 단독 판매를 통해 만성 심부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위암 예방 하려면 절주나 금주 햐야...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음주량 늘면 "위암 위험 껑충" 비음주자가 술을 마시기 시작하거나 기존 음주자가 섭취량을 늘리는 등의 음주 행태 변화가 위암 발생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절대적 음주량뿐만 아니라 음주량 변화 역시 주의깊게 관찰·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위암 예방에 중요한 메시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소화기내과 최용훈 교수·국립암센터 암진료향상연구과 장지은 박사)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를 토대로 40세 이상 성인 31만192명을 하루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경도(남성 15g·여성 7.5g 미만) △중등도(남성 15~29.9g·여성 7.5~14.9g) △고용량(남성 30g·여성 15g 이상)으로 분류하고, 평균 약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현재 알코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음주량 증가는 명백한 위암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금주 혹은 절주는 발병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비음주자가 새롭게 음주를 시작할 시 가벼운 수준으로 즐기더라도 위암 위험이 14% 가량 증가(상대위험도 1.14)했으며, 반대로 중등도의 음주자는 경도 수준으로 줄일 경우 발병 위험이 20% 가량 감소(상대위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