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불룩한 눈 밑·꺼진 눈 밑 ‘나는 노안일까’ ..,고민 전에 살펴보는 눈 밑 주름

노안으로 보이는 이유 다양해…눈 밑 주름은 가장 부각되는 노화 흔적

아직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또래보다 ‘나이 들어 보인다’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있다. 흔히 이러한 얼굴을 노안(老顔)이라 하는데, 어렸을 때의 나이 들어 보이는 얼굴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오히려 나이를 먹은 후에는 젊어 보일 수 있다는 자조 섞인 농담도 들을 수 있다.


노안으로 보이게 하는 요소는 주름, 얼굴형, 피부 등 다양한데, 눈물 고랑, 인디언 주름과 같은 눈 밑 주름은 실제 나이보다 더 들어 보이게 만든다. 특히 눈 밑 주름은 볼처짐과 함께 정면에서 봤을 때 부각되기 때문에 가장 두드러지는 노화의 흔적이기도 하다.


사람마다 노화의 진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눈 밑 주름 때문에 실제보다 더 나이 들어 보인다면 노화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눈 밑 주름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그에 따라 대처 방법도 달라진다.


눈 밑이 두툼하게 볼록해져서 그늘이 지는 것은 눈 밑의 안와지방을 둘러싸는 안와격막이 노화현상으로 인해 약해지면서 지방이 밀려 나와 점차 축적되기 때문이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기면 피곤해 보이는 인상이 되기 쉽고 본래의 모습과 달라지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눈밑지방재배치를 통해 불필요한 지방을 눈 밑 뼈 위쪽으로 재배치해 눈 밑을 매끈하게 만들 수 있다.


눈 밑에 지방 주머니가 생긴 단계에서 더 노화가 진행되면 눈 밑 피부가 탄력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늘어지고 눈물 고랑 및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에는 하안검수술로 개선할 수 있다. 아래 눈꺼풀의 속눈썹 뿌리 쪽을 절개해 늘어진 피부를 당기고, 눈 밑에 볼록하게 쌓인 지방은 적당히 제거 및 재배치해 주름, 지방, 피부톤 등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볼 중앙 부분의 지방이 처지면 눈 밑은 볼륨이 꺼지고 팔자주름 옆으로 주름이 생기면서 팔자주름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이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개선할 수 있는데, 피부 조직을 끌어올려 고정하는 보형물로 처진 지방 조직과 근막을 당겨 고정하면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릴 수 있다.


눈 밑에 주름이 생기면서 처지는 등 눈 밑의 노화와 볼 부분의 조직의 노화가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면 최근에는 중안면부 리프팅으로 볼 중앙의 볼륨을 살리면서 동시에 눈 밑 부분의 꺼진 부분을 개선하기도 한다. 눈 밑 지방주머니 및 피부 늘어짐과 볼 처짐 현상이 같이 일어난다면 하안검수술과 중안면부 리프팅을 동시에 진행해 하안검수술 시 간혹 생기는 아래 눈꺼풀 뒤집힘 등의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성형외과전문의인 반재상 대표원장은 “눈 밑 주름은 중안면부에서 두드러지는 부위라 많은 분들이 젊을 때부터 관리하는 눈가 주름, 이마 주름 못지않게 신경 쓰이는 부위”라며 “눈 밑 지방주머니가 더 커지는 등 노화가 많이 진행되기 전에 본인의 상태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