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분당서울대병원,간단한 초음파 검사만으로 ‘난소암 수술’ 난이도 예측

김기동교수팀,초음파 활용해 씨딩 유형 분류, 확인된 씨딩 형태 바탕으로 실제 수술에서의 종양 부담과 수술 복잡도 확인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기동 교수팀이 진행성 난소암에 대해 수술 전 초음파 검사만으로도 종양 부담(크기와 수)과 수술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초음파 영상에서 확인되는 ‘더글라스와 난소암에서 "더글라스와(Douglas' pouch)"는 복강 내 자궁과 직장 사이의 공간을 가리킨다. 난소암이 복강 내로 전이될 때 더글라스와에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진단 및 병기 설정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씨딩(Seeding, 종양이 씨를 뿌리듯 퍼져 자라는 양상) 유형’에 따라 추가적인 장수술의 여부까지 결정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확인해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인암 환자에서 최적의 진료 방향을 잡기 위해서는 수술 난이도를 예측하고 추가적인 장수술의 필요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영상검사로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한다. 하지만 난소암은 복강 내 작은 종양이 널리 퍼져 있는 경우가 많아, 기존 영상검사만으로는 미세한 종양을 모두 확인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종양에 대한 완전 절제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이에 대한 수술을 계획했으나 실제로는 씨딩이 광범위해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반대로 모든 종양에 대한 완전 절제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 큰 종양만 제거하고자 수술을 계획했으나 예측과 달리 실제로는 씨딩이 많지 않아 모든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로 변경해 진행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김기동 교수팀은 초음파를 활용해 수술 난이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는 국내 3개 병원에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성 난소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85명을 대상으로 수행됐으며, 수술 전 초음파 촬영을 바탕으로 씨딩의 형태에 따라 ▲씨딩 없음 ▲망상결절형(작은 종양 결절들이 망처럼 퍼짐) ▲장막판형(종양이 넓게 퍼졌지만 얇음) ▲덩어리형(종양이 넓고 크게 퍼짐) 등의 네 단계로 분류했다.
 
이후 실제로 수술을 하면서 사전에 확인된 씨딩의 형태에 대해 종양 부담과 수술 복잡도를 점수화 했다. 종양 부담은 복강을 13개 구역으로 나눈 뒤 각 구역의 병변 크기에 따라 0~3점(고득점일수록 부담, 39점 만점)을 부여해 종양 부담을 평가하는 지표이며, 수술 복잡도는 주변 장기에 종양 침범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수술 난이도를 예측하는데 활용한다.

연구 결과, 수술 전 초음파에서 관찰된 씨딩 유형의 단계가 높을수록 실제 수술 중 확인된 종양 부담과 수술 복잡도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씨딩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군의 평균 종양 부담 점수는 4.7점, 수술 복잡도는 2.3점이었지만, 덩어리형 씨딩이 확인된 환자군에서는 각각 12.5점, 5.6점으로 2배 이상 높게 확인됐다.

아울러 난소암에서는 장기에 침범한 복강 내 모든 종양을 제거해야 하므로 직장절제술과 같은 장수술이 동시에 시행될 수 있는데, 씨딩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군에서는 추가적인 장수술 시행 비율이 33%인 반면, 씨딩이 관찰된 환자군의 장수술 비율은 61%로 씨딩 유무만으로도 장 수술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기동 교수는 “초음파 검사는 외래 진료 중에도 즉시 시행할 수 있는 진료 접근성이 높은 검사”라며, “초음파로 더글라스와 내 씨딩 유형의 확인을 통해 수술 난이도와 추가적인 장수술의 필요성을 예측한다면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 종양외과학 학술지인 ‘유럽종양학회지(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