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50~70대 여성, 암•치매 만큼 골다공증 골절 위험한 질환 인식

골밀도 관련 인지율은 혈압, 혈당 대비 낮고 골밀도검사 효과도 낮아
대한골대사학회,‘골절 예방’ 실효성 제고 위해 골다공증 유소견자 대상 적극적 사후관리 촉구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이수영∙이사장 하용찬)가 정책토론회를 열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을 제언했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54세, 66세 여성에게 제공하고 있는 골밀도검사로 골다공증을 발견한 국민들이 적극 치료에 나서게 하여 골절 예방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지난 18일 오후 3시, 제11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SSBH 2023)제34차 춘계학술대회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노인 골절 예방’ 선순환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 개선 토론회>의 두번째 세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학회는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골밀도검사 활성화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의 골다공증 사후관리 방안을 제언했다. 

-골다공증 고위험군 5070 여성 “골다공증 위험하지만 내 뼈 수치는 몰라”

정책토론회 세션2의 첫번째 연자로 나선 대한골대사학회 총무이사 이유미 교수(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및 골밀도검사 활성화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골다공증의 주요 유병층인 50~70대 여성 1,008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0.5%가 ‘골절’이 건강한 노후에 위험한 질병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암(92.5%), 치매(91.7%)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골다공증(82.8%) 위험 인식은 고혈압(82.8%), 당뇨병(84.5%)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골다공증 건강지표인 ‘골밀도(T-점수)’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 사람은 61.8%였고, ‘나의 골밀도 수치’ 인지율은 22.8%, 골밀도 정상범위 인지율은 21.3%에 불과했다. 이는 각각 혈압, 혈당 관련 인지율 대비 2~4배 낮았다. 또한 골밀도검사를 받아본 사람조차 10명 중 8명(82.7%)이 자신의 골밀도 수치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대국민 대상의 골밀도 수치 인식 제고 필요성과 적극적인 골다공증 치료 연계를 위한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또한, 자신의 골밀도(T-점수)를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들은 ‘골다공증 예방과 관리에 더 신경쓰게 됐다(62.7%)’, ‘골다공증 관리에 좋은 식이요법•운동에 노력하게 됐다(56.9%)’ 등 뼈 건강에 더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복수응답), 자기 골밀도(T-점수) 수치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줬다. 

그러나 ‘골다공증 치료에 노력하게 됐다(32.4%)’ 응답률은 비교적 낮게 나타나 검진 후 치료 필요성 및 치료 연계를 위한 적극적 안내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유미 교수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여성들은 암, 치매만큼 골절을 무서워하고 골다공증 관리가 혈압, 혈당만큼 중요하다고 여기면서도 정작 자신의 골밀도 수치(T-점수)를 몰라 골다공증 치료 기회를 놓쳐 골절 위험에 놓여있다”며 “따라서 골밀도검사 홍보, 교육 강화를 통해 자신의 골밀도(T-점수)를 정확히 인지시켜 뼈 건강 관리에 나서게 하고, 골다공증 발견 결과를 적극 치료와 연계하는 사후관리 강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올해 1월부터 골밀도 측정부위 및 골밀도(T-점수) 수치 결과 제공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국가건강검진 사업을 통해 54세 여성(2007년부터)과 66세 여성(2018년부터)에게 골밀도검사를 전액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골밀도검사 경험자 4명 중 1명(25.4%)는 이 국가건강검진 제도를 통해 골밀도검사를 받아본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특히 건보공단은 올해 1월부터 국가건강검진 결과통보서 서식개정을 통해 골밀도 측정부위 및 골밀도(T-점수) 수치를 결과통보서에 표기하여 수검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골밀도검사 결과가 골다공증 치료에 연계되도록 하는 활용도 확대에 나섰다. 이 같은 제도개선 효과에 대해 응답자들은 ‘골밀도 T점수가 기재된 결과통보서를 가지고 병의원 진료 시 검사 비용을 줄이게 될 것(87.2%)’, ‘뼈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수치로 파악하여 골다공증 치료•관리 의지가 높아질 것(86.9%)’이라며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또한 추가적인 제도 보완•개선 사항으로는 ‘골다공증 소견 시 질환 정보 및 치료 안내(54.6%)’와 ‘만성질환 사후관리 서비스처럼 지속적인 골다공증 치료 독려(53.2%)’ 등 적극적인 사후관리를 요청했다(복수응답).

이 교수는 올해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한골대사학회는 향후 골다공증 건강지표에 대한 국민 인식을 혈압, 혈당 수준으로 높일 수 있도록 ‘골밀도(T-점수)’ 인지 제고에 총력을 기울여 골다공증 건강지표인 골밀도(T-점수) 인식 향상 캠페인에 나설 것”이며 “정부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골밀도검사의 골절 예방 실효성이 높아지고, 골다공증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 정책 지원이 강화되도록 정책 제언과 자문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제도개선 환영, 그리고 골다공증 유소견자 대상의 사후관리 제언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김하영 교수(울산의대 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는 ‘초고령사회 국민 뼈 건강 지키는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사후관리 방안’을 제언했다. 올해 1월부터 시행된 결과통보서 개정사항에 대해 김 교수는 “골다공증 여부의 질환 소견과 함께 ‘골밀도(T-점수) 수치’와 ‘골밀도 측정부위’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이 정확한 본인 뼈 점수를 인지할 수 있게 됐다”며, “지난해 학회의 정책 제안과 자문 의견들을 적극 검토하여 신속히 개정을 추진해주신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복지부에 감사드린다”고 그 의의와 과정을 설명했다. 

또한 김 교수는 검사결과 ‘질환 발견’ 후 신속히 ‘치료로 연계’돼야 건강검진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서식개정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골다공증 사후관리 강화’방안을 제언했다. 김 교수는 “검사결과 뼈 점수(T-점수)를 알게 됐다고 해도 환자들이 다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골밀도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낮은 상황에서, 수검자가 질환 소견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때까지 지속적인 안내와 치료 독려를 해주는 사후관리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국가검진에서만 가능한 매우 중요한 건강증진 서비스로서 골다공증 사후관리가 있어야만 건강검진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고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골다공증 사후관리 방안을 다각도로 제언했다. 서식개정 안착을 위한 후속과제로 △검진기관 및 치료현장에 개정사항 안내, △검진기관 인력 교육, △서식개정 효과 모니터링 및 분석을, 골다공증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단기과제로는 △골다공증 유소견자 대상 사후관리 문자 발송 및 검사결과지 수령 안내 △대국민 및 수검자 대상의 골밀도 T점수 홍보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중장기 과제로는 △골다공증 유소견자 대상 검사결과지 일괄 제공, △국가건강검진 설명의사제 시행 시 골다공증 포함 등을 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치은염이나 치주염 예방 하려면...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알란토인류 등 함유 치약 도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6월 9일 ‘구강보건의 날’을 맞아 구강에 자주 사용하는 의약외품인 치아미백제, 구중청량제, 치약의 올바른 선택과 사용법, 주의사항 및 온라인 부당광고 사례 등 안전사용 정보를 안내한다. 치약미백제, 구중청량제 및 치약은 제품의 형태에 따라 사용법이 다르므로 제품의 용기·포장이나 첨부문서에 기재된 용법·용량과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한 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할 때 효능·효과에 관한 거짓·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의약외품’ 표시와 식약처에 허가(신고)된 제품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미백제> 치아미백제는 착색 또는 변색된 치아를 미백기능이 있는 물질(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퍼옥사이드)을 이용해 원래의 색 또는 그보다 희고 밝게 만들어주는 제품으로, 겔제, 첩부제, 페이스트제 등이 있다. 겔제는 치아에 흐르지 않을 정도로 바른 후, 제품마다 정해진 시간동안 겔이 마르도록 입을 다물지 말고 기다렸다가 30분 후에 물로 헹궈낸다. 첩부제는 박리제(치아부착면에 붙은 필름)를 떼어내어 치아에 부착했다가 제품 설명서의 사용시간에 맞춰 제거하며, 페이스트제는 적당량을 칫솔에 묻혀 칫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