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어깨는 나이를 불문하고 시달리고 있다. 컴퓨터, 공부, TV시청 등을 할 때의 잘못된 자세, 스트레스, 노화 등이 현대인의 어깨에 고스란히 내려앉아 통증을 일으킨다. 이렇게 이런저런 이유로 어깨에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3대 질환은 회전근개 파열, 오십견, 석회화건염이다.
■ 내 어깨에 돌멩이가 있다?
이 중 석회화건염은 어깨에 돌멩이 같은 이물질들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어깨에 연결된 회전 근육 속에 칼슘이 침착해 결정이 생기는 것이다.
환자에 따라 증상 없이 석회가 생겼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아주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면서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많다. 특히 만성화되면 몇 개월씩 통증이나 불편이 이어지기도 한다.
급성석회화건염은 30~50세의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석회가 형성되거나, 석회가 흡수될 때 통증이 가장 심해진다.
반면 만성석회화건염은 50~60대에 주로 발생하고 팔을 움직였을 때 심한 통증을 나타내고 그 외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는 특징이 있다.
팔을 옆으로 들거나 들어서 돌리는 것이 어렵고, 어깨의 견봉 아래쪽을 누르거나 팔을 들 때 통증이 나타난다면 석회화건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때로 석회화건염이 심해지면 힘줄이 파열돼 팔을 들어 올릴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석회화건염은 칼슘 침착과 함께 퇴행성 변화 및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어깨 힘줄 세포괴사도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석회화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 관절의 과도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머리 위로 어깨를 들어 올리는 동작은 자제하고 가능한 어깨 높이 아래서 팔을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어깨 근육에 부담을 덜 수 있다.
■ ‘체외충격파+다발성천공술’ 병합 … 석회감소 효과 2배 이상 높아
석회화된 이물질의 크기는 보통 1~2.5cm 정도다. 석회가 발견됐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통증이 있을 때 치료를 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보존적 치료와 함께 ‘체외충격파’로 석회를 제거 및 흡수시키는 방법이나 바늘로 석회가 있는 부분을 찔러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급성통증을 완화시키는 ‘다발성 천공술’이 있다. 석회화건염 상태가 심하고 석회의 크기가 크거나, 염증으로 건이 끊어진 경우, 6개월 이상의 비수술 치료에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거나 응급실에 내원해야 할 정도의 급성통증이 왔을 때에는 어깨 관절 부위에 작은 구멍을 내고 관절 내시경 수술을 하기도 한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 교수는 “모든 수술은 수술에 따른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급적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하지만 아직까지는 석회화건염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적정 체외충격파 에너지수준 등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노규철 교수는 치료효과를 가장 높일 수 있는 비수술 치료법을 찾기 위해 다발성천공술만 시행했을 때와 다발성천공술과 체외충격파를 병행했을 때의 치료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6개월 이상 어깨통증으로 내원한 석회화건염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그룹1 - 체외충격파 고에너지+다발성천공술(20명) ▲그룹2 - 체외충격파 저에너지+다발성천공술(21명) ▲그룹3 - 단독 다발성천공술(20명)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체외충격파와 다발성천공술을 함께 병합으로 시행한 그룹1과 그룹2가 다발성 천공술 단독으로만 시행한 그룹3과 비교할 때 석회의 크기가 2배 이상 더 많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룹1,2’ 치료 후 석회크기 감소 평균값이 22.5mm, 그룹3의 석회크기 감소 평균값은 9mm였다. 감소비율로 따져보면 ‘그룹1,2 : 그룹3’의 크기감소 비율이 ‘81:36’으로 2배 이상 큰 차이가 났다.
어깨관절 운동범위와 통증정도, 근력을 나타내는 값인(미국정형외과견주관절점수-ASES, 한국정형외과견주관절점수-KSES, 콘스탄트점수-Constant score)도 그룹1,2에서 그룹3에 비해 크게 높아 어깨관절 운동성 개선 및 통증 감소효과도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규철 교수는 “석회화건염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회전근육손상 여부를 고려해 치료를 병행해야 하므로 석회에 의한 염증을 치료하는 것과 동시에 손상된 회전근육의 강화운동을 환자 스스로 꾸준히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