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루틱스(Biorootics, 대표 김지안)가 “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한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제조방법”(특허등록번호: 제10-2832263호)이 최근 특허청으로부터 특허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개발 특허를 획득한 이 회사는 최근 미르존몰약연구소에서 회사명을 바이오루틱스(생명의 뿌리를 연구한다는 의미)로 변경했다. 본격적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11년 동안 사용하던 상호를 변경하고, 사람, 식물, 동물에 이르기까지 사업분야를 확장해 가고 있다.
바이오루틱스 김지안 대표는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특허를 통해 환경분야와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몰약은 감람과 식물인 '콤미 포라 미르라'(C. myrrha)라는 나무의 껍질에 상처를 내 채취한 천연 수지의 일종이다. 아라비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동부 아프리카 해안이 원산지로서, 미르라(Myrrha)라고도 불리는 몰약(학명 Commiphora myrrha)은 통증완화 작용과, 혈액순환의 개선, 항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바이오루틱스는 몰약을 추출하고 발효한 몰약복합추출액(MHS-90) 개발에 성공하여 식품원료, 화장품원료, 농사용 몰약미생물비료를 개발하였고 여기에 관한 특허를 이미 획득한 바 있다.
탄소흡수식물인 케나프(Kenaf·양마)는 세계 3대 섬유 작물이다. 케나프는 아마존 우림 지역과 같은 열대우림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식물이며, 이산화탄소 흡수가 소나무보다 최대 9배 높아 대표적인 친환경 식물로 알려져 있다. 잎의 조단백질(Crude Protein) 함량이 29%로 소고기보다 높다. 폴리페놀도 풍부하여 항암, 항염, 항산화, 노화방지, 당뇨 예방 효과가 높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케나프는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한다. 즉,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기에서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탄소를 잡아두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