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여름철 식중독, 방심은 금물…“증상과 대응법 정확히 알아야”

최근 30대 여성 환자가 김밥과 샐러드를 먹은 뒤 심한 구토와 복통으로 내원했다. 환자는 “점심으로 먹은 도시락이 상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고 했다. 검사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으로 확인됐다. 환자는 심한 탈수로 입원 치료가 필요했다. 

이처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 병원 응급실을 찾는 환자 중 상당수가 식중독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섭취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세균 바이러스 또는 그들이 생성한 독소가 주된 원인이다. 대표적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구토 발열 근육통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감염 후 6~48시간 내 증상이 나타나며, 건강한 성인의 경우 2, 3일 이내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여름철에 특히 흔한 식중독 원인균으로는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이 있다. 병원성 대장균은 주로 덜 익힌 고기나 오염된 채소에서, 살모넬라는 덜 익힌 달걀이나 닭고기에서 검출된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실온에 방치된 김밥이나 샐러드 같은 즉석 음식에서 증식하기 쉬우며, 장염비브리오균은 생선회나 어패류, 젓갈 등에서 발생한다. 이 외에도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무조건 지사제 복용, 위험 초래할 수도

식중독에 걸렸을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 보충이다. 이온음료나 따뜻한 보리차 등 전해질을 보충할 수 있는 음료를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식사는 위장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죽이나 미음처럼 부드러운 탄수화물 중심의 식단이 도움된다. 반면 유제품이나 기름진 음식, 커피 등은 장을 자극하고 탈수를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식중독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도 위험할 수 있다. 지사제를 과도하게 복용하면 체내의 균과 독소 배출이 지연돼 오히려 회복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은 개인 위생과 음식 보관이다. 손에 묻은 세균은 2시간 이상 생존이 가능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만으로도 식중독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고, 상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살모넬라균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7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조리하면 대부분 사멸된다. 도마와 칼은 용도에 따라 분리 사용해 교차 오염을 막아야 한다.

식중독은 때때로 전염성을 가지기도 한다. 특히 노로바이러스처럼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경우, 환자 대변이나 구토물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어 가족 간 동시 감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럴 땐 같은 화장실을 사용한 뒤 철저한 손 씻기와 함께 수건 따로 쓰기, 음식 공유 금지 등의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필요에 따라선 격리 조치도 고려해야 한다.

좋은문화병원 소화기내과 여승현 과장 “특히 피가 섞인 설사, 의식 변화, 고열 등의 증상이 있거나 24시간 이상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어린이나 노인, 기저질환자 등은 탈수에 취약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심장 건강, 정확히 알고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천세종병원(병원장 이명묵) 장덕현 과장(심장내과)은 “증상이 없는데 건강검진에서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를 들으면 당황하기 마련”이라며 “심장에 문제가 있음에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는 만큼, 건강검진 결과 ‘심장 이상 소견’이라고 나왔다면 속히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12일 이같이 밝혔다. 건강검진에서 발견하는 심장 이상은 대표적으로 ▲혈압 이상 ▲흉부 방사선 이상(X-ray 촬영 후 심장이 커져 있는 것을 발견) ▲심전도 이상 ▲관상동맥(심장동맥) 칼슘 컴퓨터단층촬영(CT) 이상 등이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 같은 심장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심장내과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문제는 괜찮은 건지, 정밀검사가 필요한 건지 환자가 헷갈려 한다는 것이다. 망설이다 보면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늦어지게 되고, 심하게는 제때 치료할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반대로 정밀검사 후 정상으로 결과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상 소견이 나왔다면, 조건 없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이유다. ■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