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탈북 청소년, 국내보다 정신질환 위험 1.3배 높아

홍민하 교수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우울증·ADHD 등 정신질환 발병 위험 커

북한이탈 아동·청소년이 국내 아동·청소년보다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이 1.3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홍민하 교수 연구팀은 15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우울증, ADHD 등 주요 정신질환 발병률이 북한이탈 아동·청소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JAMA)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JAMA Network Open’ 2025년 5월호에 게재됐다.

북한이탈 아동·청소년, 정신질환 위험 1.3배 높아
홍민하 교수 연구팀은 북한이탈 아동·청소년 1,618명과 국내 아동·청소년 30만8천여 명의 15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 아동·청소년이 국내 아동·청소년보다 정신질환 발병 위험이 약 1.3배 더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주요우울장애(MDD), 양극성장애, 불안장애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됐다. 성별·연령·소득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일관된 경향이 나타났다.

북한이탈 및 국내 아동·청소년… 최대 15년 추적 관찰 
‘Psychiatric Health Risks in North Korean Refugee Youths Resettled in South Korea’ 연구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민하 교수 및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루겸 박사, 경희대학교병원 이상민 교수, 울산대학교 오인환 교수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NHIS)의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활용한 전국 단위 코호트 연구로, 2007년~2010년 사이 북한이탈 아동·청소년과 국내 일반 아동·청소년을 각각 추출해 성별, 연령을 기준으로 1:10 비율로 매칭한 뒤 최대 15년간 두 집단 간 정신질환 발생 양상을 추적 관찰했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부터 성인 초기까지의 정신건강 경과를 장기간 분석해 정신질환의 발생 양상을 비교했다.

환경적 요인에 따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구조적 위험 확인
연구팀은 2022년 성인 북한이탈주민 대상 분석에서 국내 일반 성인보다 정신질환 위험이 약 2.1배 높다는 결과를 JAMA Network Open에 발표한 바 있다. 이어진 이번 아동·청소년 대상 연구는 동일한 언어·민족적 배경을 지닌 집단 내 비교를 통해, 이주 이후 환경적 요인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검증한 국내 최초의 대규모 코호트 분석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크다. 특히 정착 초기 2년뿐 아니라 15년 이상 경과 시점까지도 정신질환 발생 위험의 격차가 유지된다는 점은, 일시적 적응 문제가 아닌 구조적인 위험 요소임을 시사한다. 이는 단기적 의료 접근이나 일회성 적응 지원만으로는 정신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난민 아동·청소년 위한 장기 정책 근거로 활용 기대 
정신건강의학과 홍민하 교수는 “북한이탈 아동·청소년은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지만, 전혀 다른 사회·정치 환경에서 성장한 배경으로 인해 정신건강 측면에서 누적된 취약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며 “이번 연구는 환경 요인이 실제 정신질환 발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사례로, 향후 난민 아동·청소년을 위한 의료·교육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민하 교수는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을 전문으로 진료하며,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을 비롯한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이번 연구는 북한이탈 아동·청소년 집단의 정신질환 발생 양상을 시간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체계화한 첫 분석 결과로, 국내에서는 대규모 자료 기반의 정량적 접근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전증, 로봇 수술 급여로 전환 하면.."200명 젊은 뇌전증 환자 생명 구할 수 있어" 약 10-15년 전부터 중증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유일한 완치술인 뇌전증 수술은 로봇이 필요하게 되었다. 정부(보건복지부 4대와 산자부 4대)는 2021년부터 뇌수술 로봇의 도입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여 현재 7개 상급종합병원들이 그 혜택을 보았다. 반면 서울대어린이병원과 강남베드로병원은 병원 자체 자금으로 구입하여 총 9개 병원들이 뇌수술 로봇을 보유하고 있다. 이 병원들 중 7개가 뇌전증 로봇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강남베드로병원, 고대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어린이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이대목동병원, 해운대백병원 [가나다 순]). 뇌전증 로봇 수술은 머리에 1mm 직경의 구멍을 뚫고 10-30개 뇌심부전극(SEEG 전극)을 삽입하여 뇌전증병소를 찾은 후 병소절제수술을 통하여 중증 난치성 뇌전증의 완치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수술전 검사들 (뇌파검사, 뇌 MRI, 뇌 PET, 비디오뇌파검사, 와다검사, 신경심리검사, fMRI 검사)은 필수 급여인데 유독 로봇 사용료만 비급여로 환자가 약 500 - 750만원을 내야 한다. 약 50% 이상의 중증 뇌전증 환자들은 온갖 검사들을 받고나서 마지막 관문인 로봇 수술의 고비용으로 수술을 포기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