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고려대 의대, 美 예일대와 공동포럼... 의사과학자 양성 등 협력 확대 논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편성범)과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이 10월 28일(화) 본관 320호 강의실에서 ‘기초 및 임상 신경과학’ 주제로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고려대학교 개교 12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된 고려대-예일대 공동포럼은 지난해 의료정보학에 이어 올해는 신경과학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포럼은 양교의 공동연구 방향을 구체화하고 글로벌 협력체계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개최됐다.

행사에는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낸시 브라운(Nancy J. Brown) 학장, 앤서니 콜레스키(Anthony Koleske) 연구부학장, 스테판 스트릿매터(Stephen M. Strittmatter) 카블리연구소 소장, 에밀리 길모어(Emily J. Gilmore) 응급 신경과장, 넨아드 세스탄(Nenad Sestan) 유전자편집센터장, 임장후(Janghoo Lim) 유전학대학원과정 공동책임자 등 예일대 학장단과 리더급 연구진이 참석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김동원 총장, 윤을식 의무부총장, 편성범 의과대학장, 황선욱 연구부학장, 노지훈 생리학교실 교수, 김정빈 신경과 교수, 한기훈 뇌신경과학교실 교수, 선웅 해부학교실 교수 등 주요 보직자 및 교수진이 함께했다.

행사는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신경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교육 협력 방안을 폭넓게 다뤘다. 고대의대 의학교육학교실 박현미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개회식에서는 김동원 총장의 축사, 윤을식 의무부총장의 환영사와 낸시 브라운 학장의 개회사가 이어졌다. 

세션 1에서 낸시 브라운 학장은 기조강연을 통해 “의학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과정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라며 “예일대와 고려대가 함께 진행 중인 임상 및 연구 실습과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은 미래 의사과학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훌륭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션 2에서는 △강성훈 교수(고대구로병원 신경과) △스테판 스트릿매터 교수(예일대 신경과학/뇌과학) △노지훈 교수(고대의대 생리학교실) △에밀리 길모어 교수(예일대 신경과/신경외과) △김정빈 교수(고대안암병원 신경과)가 퇴행성 뇌질환과 뇌전증을 중심으로 임상 신경과학 분야의 주요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이어진 세션 3에서는 △앤서니 콜레스키 교수(예일대 의대 연구부학장) △한기훈 교수(고대의대 뇌신경과학교실) △넨아드 세스탄 교수(예일대 유전자편집센터장) △선웅 교수(고대의대 해부학교실) △임장후 교수(예일대 유전학대학원과정 공동책임자)가 시냅스 회로, 뇌질환 핵심 분자, 뇌 오가노이드 등 기초 신경과학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한편, 포럼에 앞서 열린 실무회의에서 양교는 공동포럼의 연례화에 합의했으며, 2028년 의과대학 100주년 기념 포럼에서 다룰 연구 주제 확장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고려대 의대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단에 예일대 책임 교수가 연내 방문하여 의사과학자 양성 체계에 관하여 자문하기로 했다.

이어 Scientific short talks 교류 행사에서 발표한 △박진우 교수(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김치경 교수(고대구로병원 신경과) △백설희 교수(고대안산병원 신경과) △김은하 교수(고대의대 뇌신경과학교실)의 신경과학 분야 최신 성과를 바탕으로 예일 의대와의 공동연구를 촉진하기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험생,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 시 안구건조증 유발과 함께 눈 피로 증가할 수 있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약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랜 기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비롯해 학생들은 장시간 책이나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눈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학생이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여가시간뿐 아니라 공부에도 이용하면서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전반적으로 늘고 있다. 실제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22년 진행한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시간은 1일 약 8시간으로 2019년 대비 1.8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빽빽한 글자가 적힌 책이나 전자기기 등을 장시간 집중해서 보게 되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안구 표면이 건조해져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거나 심해질 수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뻑뻑함을 비롯해 안구 표면 손상, 심한 이물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근거리 작업 시에는 눈 안쪽의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는 조절근이 계속 수축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눈이 몰려있는 상태가 지속되며 눈 피로가 증가할 수 있다. 특히 흔들리는 버스나 지하철 안에서 책을 읽으면 눈이 망막에 초점을 맞추려는 조절운동을 계속하기 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밤에 스탠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