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메디쎄이, 강현귀 국립암센터 교수 초청 사내 강연 진행

척추 임플란트 제조업체 메디쎄이(대표이사 성경수)는 최근 강현귀 국립암센터 교수(희귀암·육종암센터 정형외과 /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 이사장)을 본사로 초청해 ‘환자의 희망을 담은 3D 프린팅 골 재건 수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강연은 강현귀 교수가 집도한 메디쎄이의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골 재건 임플란트(제품명: MCB, Medyssey Custom Bone)를 활용한 수술 내용과 환자의 예후를 직접 들어볼 수 있는 자리였다. 

강현귀 교수는 강연에 이어 MCB에 대한 기술적 피드백을 제공했으며 메디쎄이와 협력 중인 절단골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 개발 내용도 공유했다. 강현귀 교수가 2016년부터 집도한 MCB를 활용한 수술은 100례가 넘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장기 이식 후 30년 이상 생존,조사결과 봤더니... "면역억제제 복용·규칙적 운동·스트레스 관리’ 철저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민상일)는 지난 14일 제일제당홀에서 ‘함께 한 30년, 다시 쓰는 생명의 이야기’를 주제로 장기이식 수술 후 30년 이상 건강하게 삶을 이어온 환자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오랜 기간 안정적인 삶을 유지해온 환자와 보호자를 초청해 그들의 노력을 격려하고, 이식 환자들에게 이식 후에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상을 지속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기이식은 기능이 저하된 장기를 건강한 장기로 대체해 생명을 회복시키는 고난도 의료기술로, 기증자의 결단과 의료진의 전문성, 환자의 꾸준한 관리가 더해질 때 안정적인 치료 성과를 낸다. 많은 이들이 장기이식 후 이식받은 장기의 기능 유지 기간을 10~15년 정도로 인식하고 있지만, 서울대병원에서 30년 이상 건강한 삶을 이어온 환자들의 사례는 장기이식이 단기적 생명 연장을 넘어 수십 년 동안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임을 보여준다. 서울대병원은 1969년 신장이식을 시작으로 1988년 간이식, 1994년 심장이식, 1996년 폐이식을 성공하며 국내 장기이식 분야의 발전을 선도해왔다. 이후 1998년 국내 최초 뇌사자 분할 간이식, 2008년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