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서울대병원 뇌졸중 소식지 50호 발간

신경과 윤병우 교수 비롯, 01년 9월 첫 뇌졸중 소식지 발간 후, 뇌졸중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는 길잡이 역할 해와

빨리 오래 걸으면 뇌졸중 발병위험이 낮아질까? 영국 런던대학 Barbara J Jefferis 박사가 약 12년 동안 평균 68.3세 남성 3,435명을 대상으로 평소 운동량과 뇌졸중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오래 길게 걸을수록 뇌졸중 발병 위험률이 최대 34% 낮았습니다. 빠르게 걷는 사람은 천천히 걷는 사람에 비해 최대 38% 위험률이 낮았습니다. 따라서 걷기는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각자의 몸 상태를 고려하여, 가능한 범위 안에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이 뇌졸중 환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담은 ‘뇌졸중 소식지’가 지난 3월 발행 50회째를 맞았다. 

이 소식지는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윤병우 교수를 비롯한 의료진이 뇌졸중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2001년 9월 처음 발행됐다.

그 후, 매년 4차례씩 한 회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 발간되어, 뇌졸중 환자들의 길잡이가 되어 왔다. 창간호는 단색 인쇄에 작은 잡지책 정도의 크기였는데, 06년 4월부터는 현재 크기로 사이즈를 늘렸고, 06년 10월 컬러인쇄를 시작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또한 2003년 11월에는 뇌졸중 소식지를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뇌졸중 소식지 홈페이지(www. stroke-letters.or.kr)를 개설하였다. 뇌졸중 소식지 접속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4월 18일 현재 199,664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곧 2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병우 교수는 “뇌졸중 관련 다양한 소식을 지면으로 통해 나누고 싶다는 작은 소망에 시작된 뇌졸중 소식지가 어느덧 50호까지 발간되었다. 소식지가 큰 도움이 되었다며, 외래에 오셔서 인사하는 분들, 한글자 한글자 정성을 담아 감사 편지 보내는 분들이 계셨다” 며 “변함없는 관심과 애정에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다양하고 알찬 내용을 담은 소식지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뇌졸중 소식지 50호에는 1. 윤병우 교수 인사말 2. 뇌졸중학회 이사장 정진상 성균관의대 교수 축하글 3. 소식지 발자취 4. 서울대 간호대 최스미 교수가 추천하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식사 5. 뇌졸중 진단과 치료 6. 궁금합니다. 1)장애등급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2)혈액검사가 있어 금식하면 혈압약도 먹지 않아야 하나요? 7. 대처수상 8. 뇌졸중임상시험센터 9. 최신 지견 10. 애독자 편지로 구성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당뇨병 환자라면 1년 1회 소변·혈액검사로 신장 확인해야”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가 19일 2형 당뇨병 동반 만성신장병 바로 알기 사내 질환 교육 진행을 하고 질환의 인식 제고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 알리기에 나섰다. 이번 행사에서는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성래 교수가 연자로 참여해 ‘2형 당뇨병, 그리고 예고 없이 찾아오는 만성신장병’이라는 주제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신장병의 조기 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김성래 교수는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신장병 환자가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말기신장병까지 진행될 경우, 당뇨병 신장질환 1단계(eGFR ≥90 mL/min/1.73㎡) 환자에 비해 모든 사망 및 심혈관계 질환 사망 위험이 최대 7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며,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뿐 아니라 정기적인 소변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신장 질환을 조기 발견해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알부민뇨는 신장 손상의 초기 지표로 추정사구체여과율이 양호하더라도 나타날 수 있어, 당뇨병 환자라면 매년 최소 1회 이상 두 가지 검사를 함께 받아야 하고, 이미 만성신장병 진단을 받았다면 질병의 진행 상태에 따라 연간 2-4회 지속적인 추가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