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나이.폐경여부 입력하면 유방암 발병률 예측 가능

서울의대 유근영교수팀,자신의 암 위험을 자각적으로 인지함으로써 개인의 건강관리는 물론 국가나 사회 전체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한국인 여성의 개인별 유방암 발생률을 직접 계산할 수 있는 예측 도구가 국내 최초로 개발되었다.

본인 나이, 유방암 가족력, 초경연령, 첫 출산 연령, 폐경여부, 모유 수유여부, 경구피임약 복용여부, 육체활동량이나 비만도 등 유방암 위험 요인을 입력하면, 향후 유방암에 걸릴 확률을 알 수 있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박수경 교수, 국립암센터 박보영 박사가 책임연구자로 개발한 이 도구는, 서울의대 강대희, 유근영, 최지엽, 신애선 교수팀과 외과학교실 노동영, 한원식 교수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안세현 교수팀이 지난 13년간 공동연구를 통해 수행한 결과이다.

연구팀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유방암 환자 4,601명(비교군)과 건강한 일반인 4,647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유방암 위험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한국여성의 연령별 유방암 발생률을 고려하여, 50세 전후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50세 이하에서는 ▲ 정상인에 비해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자는  1.12배 ▲ 초경 연령이 17세 이상에 비해 13~16세는 1.44배, 13세 이전은 1.87배 ▲ 폐경 후에 비해 폐경 전은 1.74배 ▲ 첫 출산 연령이 24세 이전에 비해 24~30세는 1.16배, 31세 이상은 1.25배, 출산 미경험자는 1.08배 ▲ 모유 수유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에 비해 0~6개월은 1.25배, 모유 수유 미경험자는 0.93배 ▲ 경구 피임약 미경험자에 비해 유경험자는 1.24배 ▲ 주 1회 이상 운동하는 자에 비해 주 1회 미만인 자는 1.33배 유방암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50세 이상에서는 ▲ 정상인에 비해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자는 2.01배 ▲ 초경 연령이 17세 이상에 비해 13~16세는 1.53배, 13세 이전은 2.4배 ▲ 폐경 연령이 44세 이전에 비해 45~49세는 1.34배, 50~54세는 1.36배,  55세 이상은 1.62배, 폐경 전이면 2.5배 ▲ 임신 유경험자에 비해 무경험자에 비해 1.88배 ▲ 체질량지수가 25 미만에 비해 25~29.9는 1.16배, 30 이상은 2.28배 ▲ 경구 피임약 무경험자에 비해 유경험자는 1.52배 ▲ 주 1회 이상 운동하는 자에 비해 주 1회 미만인 자는 1.84배 유방암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50세 이상인 사람은 50세 이상 위험도만 계산하면 된다. 50세 이하인 사람은 50세 이하와 50세 이상 위험도를 각각 계산하면 된다. 

예컨대 45세 여성이 유방암 가족력이 없으면서, 초경 연령 12세, 폐경 42세, 출산, 모유 수유, 피임약 경험이 없으면서 BMI=26,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은 경우, 내원했을 때의 위험도는 2.50이고 50세 때의 위험도는 9.63이다.

위험도를 연구팀이 개발한 유방암 발생 절대위험도 추정치(별첨1)에 대입하면 유방암 발생률을 알 수 있다. 예컨대 30세 여성이 내원 시 위험도가 2, 50세 때의 위험도가 20이면, 유방암 발생률은 40세까지 0.35%, 50세 까지 3.31%, 60세 까지 8.81%, 70세 까지 11.16%, 80세 까지 12.12% 이다.  

연구팀은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한국형 유방암 예측도구’와 미국의 유방암  예측도구인 ‘게일모델’을 대규모 일반 인구 집단인 ‘한국인 다기관 암코호트(KMCC, 책임연구자 유근영 교수)’와 ‘국립암센터 코호트(KNCCC)’에 직접 적용하였다. 

두 집단에서는 일반인들이 유방암 위험 요인에 얼마나 노출되었고, 유방암이 얼마나 발생했는지 장기간 추적 관찰한 정보가 있어서, 예측 도구를 적용하면, 그 정확도를 알 수 있다.

 ‘게일모델’을 한국인에게 적용한 결과, 유방암 환자군보다 정상인에서 유방암 발생률이 더 높게 산출됐다. 즉 한국인의 유방암을 예측 하는데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반면 ‘한국형 유방암예측도구’를 적용한 결과 유방암 환자군이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유방암 발생률이 산출되었다.

1989년 미국국립암연구소(NCI)에서 서구인의 개인별 유방암 예측 도구인 '게일(Gail)의 Breast Cancer Prediction Model' 이 발표된 이후,  한국의 유방암 연구진도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형 유방암 예측 도구'를 만들려고 하였지만 충분한 크기의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워 10여 년을 기다려 왔다.

유근영 교수는 “이 연구는 최근에 국립암센터 연구진에 의해 발표된 ‘한국인 암의 위험요인 기여위험도(PAF)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한국인 사망원인 1위인 암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획기적인 이정표가 되는 업적으로 한국의 암 예방 연구가 이미 선진국 수준에 올라 있음을 보여주는 개가이다” 라고 말했다.

국가암정보센터 통계에 의하면 2011년 한해 15,942명의 여성이 유방암에 걸렸다. 여성에서 발생한 전체 암 중 14.8%를 차지하며 갑상선암(31.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유방암은 예방과 함께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국제적 권위의 전문학술지인 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내원연령

기간

50세위험도

내원시 위험도

1

2

5

10

-

 

30

10

 

0.18

0.35

0.88

1.74

-

 

 

20

 

1.67

3.31

8.07

15.49

-

 

 

30

1

1.96

3.59

8.34

15.73

-

 

 

 

10

4.51

6.10

10.72

17.91

-

 

 

 

20

7.27

8.81

13.29

20.26

-

 

 

 

50

15.05

16.46

20.54

26.89

 

 

 

 

100

26.54

27.74

31.23

36.67

-

 

 

 

144

35.27

36.32

39.37

44.11

-

 

 

40

1

2.09

3.72

8.46

15.84

-

 

 

 

10

5.75

7.32

11.88

18.97

-

 

 

 

20

9.66

11.16

15.51

22.29

-

 

 

 

50

20.38

21.69

25.50

31.43

 

 

 

 

100

35.35

36.39

39.43

44.18

-

 

 

 

144

46.00

46.86

49.36

53.25

-

 

 

50

1

2.14

3.77

8.51

15.89

-

 

 

 

10

6.27

7.83

12.36

19.41

-

 

 

 

20

10.64

12.12

16.43

23.13

-

 

 

 

50

22.49

23.77

27.46

33.22

 

 

 

 

100

38.62

39.61

42.48

46.97

-

 

 

 

144

49.78

50.57

52.87

56.47

-

 

40

10

 

0.42

0.83

2.07

4.11

-

 

 

20

1

0.71

1.13

2.36

4.39

-

 

 

 

10

3.32

3.72

4.92

6.89

-

 

 

 

20

6.13

6.52

7.69

9.60

 

 

 

 

50

14.07

14.43

15.49

17.23

-

 

 

 

100

25.78

26.09

27.00

28.49

-

 

 

 

144

34.69

34.96

35.75

37.06

-

 

 

30

1

0.84

1.26

2.49

4.51

-

 

 

 

10

4.58

4.98

6.17

8.11

-

 

 

 

20

8.57

8.95

10.08

11.94

-

 

 

 

50

19.50

19.84

20.83

22.45

-

 

 

 

100

34.77

35.03

35.83

37.13

 

 

 

 

144

45.64

45.86

46.51

47.58

-

 

 

40

1

0.90

1.31

2.55

4.57

-

 

 

 

10

5.11

5.51

6.68

8.62

-

 

 

 

20

9.57

9.94

11.07

12.90

-

 

 

 

50

21.66

21.98

22.94

24.52

 

 

 

 

100

0.42

0.83

2.07

4.11

-

 

 

 

144

0.71

1.13

2.36

4.39

-

 

 

 

144

49.49

49.69

50.29

51.28

-

 

내원연령

기간

 

1

10

20

50

100

144

50

10

 

0.25

2.44

4.82

11.61

21.85

29.84

 

20

 

0.36

3.51

6.90

16.33

29.90

39.94

 

30

 

0.40

3.96

7.75

18.22

32.97

43.60

60

10

 

0.14

1.39

2.75

6.70

12.83

17.79

 

20

 

0.20

1.97

3.88

9.35

17.58

24.02

 

 

<보충설명>

 

한국인 유방암 발생 위험도 평가 모델 개발

 

□ 배경
 ○ 개인의 암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은 고위험군을 선정하고, 이들의 예방 및 진단을 시행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
- 미국에서는 고위험군의 유방암 예방을 위해 35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Tamoxifen, Raloxifen 등을 이용한 화학적 예방(chemoprevention)을 하는 것을 권유하고 있음
-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암 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고위험군의 기준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

 ○ 미국에서는 Gail 등이 1989년 개발한 유방암 발생 위험도 평가 도구가 화학적 예방요법을 시행하는 기준으로 이용되고 있음
- Gail 모델에서 5년 위험도 ≥ 1.7%일 때 화학적 예방요법 권장
- Gail이 개발한 모델은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 웹페이지에 게시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음 (http://www.cancer.gov/bcrisktool/)
 

1)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Breast Cancer Preventive Medication (2013)

 2)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Breast Cancer Preventive Medication (2013)

 3)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Guidelines for Breast Cancer Risk Reduction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델 개발의 중요성 
 ○ 타 인종에 Gail 모델을 적용했을 때의 한계점
- Gail 모델은 미국인의 유방암 발생의 위험인자, 유방암 발생률/사망률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타인종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우리나라 여성에게 Gail 모델을 적용해 보았을 때 유방암 환자군의 위험도가 정상 여성보다 낮게 나오는 경향을 보여, 이용에 적절하지 않았음

 ○ 따라서 한국인에서 유방암 발생의 위험인자, 유방암 발생률/사망률을 이용하여 유방암 발생 위험도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
- 이는 한국인에서 유방암 발생의 고위험군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예방/검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반임
- 개발된 모델은 다른 한국인 인구집단에서 적용하여 일반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델의 개발
 ○ 한국인에서 유방암 발생의 위험인자, 유방암 발생률/사망률을 이용
- 유방암 발생의 위험인자: 서울 유방암 환자-대조군 연구의 역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선정
 ※ 서울유방암 환자-대조군 연구: 1994~2007년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에서 시행된 유방암 환자-대조군 연구
 ※ 한국여성의 연령별 유방암 발생률을 고려, 50세 전/후로 나누어 선정
- 유방암 발생률: 중앙암등록본부의 2009년 5세 간격 여성 유방암 발생률
- 유방암 사망률: 통계청의 2009년 5세 간격 전체 사망률 및 유방암 특이 사망률
 ○ Gail 모델에서 적용한 absolute risk probability를 추정하는 통계 방법 사용

□ 모델의 결과
 ○ 한국인에서 선정된 유방암 발생의 위험인자 및 위험도의 크기
- 50세 미만

  

 

오즈 비

유방암의 가족력 (1도 가족 중)

 

 

없음

1

 

있음

1.12

초경연령

 

 

<13세

1.87

 

13-16세

1.44

 

≥17세

1

폐경여부

 

 

폐경 전

1.74

 

폐경 후

1

첫 출산 연령

 

 

출산 경험 없음

1.08

 

<24세

1

 

24–30세

1.16

 

≥31세

1.25

모유 수유 기간

 

 

 

없음

0.93

 

0~6개월

1.25

 

>6개월

1

경구 피임약 사용

 

 

없음

1

 

있음

1.24

운동

 

 

주 1회 미만

1.33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1

· 위험도 크기의 범위: 1~10.81                                                         

 

- 50세 이상

 

오즈 비

유방암의 가족력 (1도 가족 중)

 

 

없음

1

 

있음

2.01

초경연령

 

 

<13세

2.40

 

13-16세

1.53

 

≥17세

1

폐경연령

 

 

폐경 전

2.50

 

<44세

1

 

45–49세

1.34

 

50-54세

1.36

 

≥55세

1.62

임신 경험

 

 

없음

1.88

 

있음

1

체질량지수

 

 

<25

1

 

25–29.9

1.16

 

≥30

2.28

경구 피임약 사용

 

 

없음

1

 

있음

1.52

운동

 

 

주 1회 미만

1.84

 

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1

· 위험도 크기의 범위: 1~143.81

 

50세 전/후 위험도의 크기를 이용한 유방암 발생 절대위험도 추정치

내원연령

기간

50세위험도

내원시 위험도

1

2

5

10

-

 

30

10

 

0.18

0.35

0.88

1.74

-

 

 

20

 

1.67

3.31

8.07

15.49

-

 

 

30

1

1.96

3.59

8.34

15.73

-

 

 

 

10

4.51

6.10

10.72

17.91

-

 

 

 

20

7.27

8.81

13.29

20.26

-

 

 

 

50

15.05

16.46

20.54

26.89

 

 

 

 

100

26.54

27.74

31.23

36.67

-

 

 

 

144

35.27

36.32

39.37

44.11

-

 

 

40

1

2.09

3.72

8.46

15.84

-

 

 

 

10

5.75

7.32

11.88

18.97

-

 

 

 

20

9.66

11.16

15.51

22.29

-

 

 

 

50

20.38

21.69

25.50

31.43

 

 

 

 

100

35.35

36.39

39.43

44.18

-

 

 

 

144

46.00

46.86

49.36

53.25

-

 

 

50

1

2.14

3.77

8.51

15.89

-

 

 

 

10

6.27

7.83

12.36

19.41

-

 

 

 

20

10.64

12.12

16.43

23.13

-

 

 

 

50

22.49

23.77

27.46

33.22

 

 

 

 

100

38.62

39.61

42.48

46.97

-

 

 

 

144

49.78

50.57

52.87

56.47

-

 

40

10

 

0.42

0.83

2.07

4.11

-

 

 

20

1

0.71

1.13

2.36

4.39

-

 

 

 

10

3.32

3.72

4.92

6.89

-

 

 

 

20

6.13

6.52

7.69

9.60

 

 

 

 

50

14.07

14.43

15.49

17.23

-

 

 

 

100

25.78

26.09

27.00

28.49

-

 

 

 

144

34.69

34.96

35.75

37.06

-

 

 

30

1

0.84

1.26

2.49

4.51

-

 

 

 

10

4.58

4.98

6.17

8.11

-

 

 

 

20

8.57

8.95

10.08

11.94

-

 

 

 

50

19.50

19.84

20.83

22.45

-

 

 

 

100

34.77

35.03

35.83

37.13

 

 

 

 

144

45.64

45.86

46.51

47.58

-

 

 

40

1

0.90

1.31

2.55

4.57

-

 

 

 

10

5.11

5.51

6.68

8.62

-

 

 

 

20

9.57

9.94

11.07

12.90

-

 

 

 

50

21.66

21.98

22.94

24.52

 

 

 

 

100

0.42

0.83

2.07

4.11

-

 

 

 

144

0.71

1.13

2.36

4.39

-

 

 

 

144

49.49

49.69

50.29

51.28

-

 

내원연령

기간

 

1

10

20

50

100

144

50

10

 

0.25

2.44

4.82

11.61

21.85

29.84

 

20

 

0.36

3.51

6.90

16.33

29.90

39.94

 

30

 

0.40

3.96

7.75

18.22

32.97

43.60

60

10

 

0.14

1.39

2.75

6.70

12.83

17.79

 

20

 

0.20

1.97

3.88

9.35

17.58

24.02

 

모델의 타당도 검증

- Korean Multi-Center Cohort (KMCC)와 국립암센터 검진자 코호트에서 연구 입적 당시 암이 발생하지 않은 여성을 추적한 자료 (암등록자료와 머지)에서 본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함

- 두 코호트 모두에서 본 모델이 한국인에게 적용하였을 때 예측도가 좋음을 확인함

 

□ 임상에서의 이용방법

웹페이지 이용

- 미국의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www.cancer.gov/bcrisktool/) 와 같은 웹페이지 개발

- 환자의 위험인자를 입력하여 개인의 유방암 발생 절대위험도 추정치 산출

 

진료실에서 직접 산출

- 인이 내원하였을 당시의 연령 확인

· 50세 미만인 경우 3페이지 표의 오즈비에 따라 50세 미만의 위험도, 4페이지 표의 오즈비에

  따라  50세 이상의 위험도 산출

· 50세 이상인 경우 4페이지 표의 오즈비에 따라 50세 이상의 위험도 산출

· 예: 45세 여성이 유방암 가족력이 없으면서, 초경연령 12세, 42세 폐경, 출산, 수유, 피임약 경험이 없으면서 BMI=26이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은 경우

내원시 위험도: 1×1.87×1×1.08×0.93×1×1.33 = 2.50

50세의 위험도: 1×2.40×1×1.88×1.16×1×1.84 = 9.63

- 관찰 기간에 따른 유방암 발생 절대위험도 추정치 확인

· 50세 미만인 경우: 내원 당시 연령, 내원 시 위험도, 50세의 위험도 이용

· 50세 이상인 경우: 내원 당시 연령, 50세의 위험도 이용

· 유방암 발생 확률을 5페이지 표에서 찾음

· 예: 30세 여성이 내원시 위험도가 2, 50세의 위험도가 20이면

40세 까지 유방암 발생 위험도: 0.35%

50세 까지 유방암 발생 위험도: 3.31%

60세 까지 유방암 발생 위험도: 8.81%

70세 까지 유방암 발생 위험도: 11.16%

80세 까지 유방암 발생 위험도: 12.12%

 

□ 기대효과

한국인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의 고위험군을 선정하는 기초자료로 이용

고위험군 중 암 발생 예방을 위한 의료적 처치(예방적 화학요법 등)가 필요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 (Clinical trial)의 기준으로 사용 가능

일반 여성에서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가 유방암 발생의 위험도 상승에 기여하는 정도와, 이 중 감소 가능한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통합하여 보여줌으로써 생활습관 교정 시 달성 가능한 정량적 목표의 형태로 제시해 줄 수 있음.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부곡병원 임상연구비, 도마..."임상연구비 3억 원 지원받고 ‘짜깁기 논문’ 27건… 실제 임상연구는 2건뿐"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보건복지위원회)은 15일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국립부곡병원이 국민 세금으로 지원받은 임상연구비를 짜깁기 논문에 썼다”며 “복지부가 이를 방관했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임상연구란 사람을 대상으로 의학적·보건학적 중재나 관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라며 “하지만 부곡병원은 환자도, 실험도, 통계도 없이 기존 논문을 복사·붙여넣은 단순 문헌고찰을 임상연구라 속였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부곡병원은 최근 4년간 29건의 임상연구 과제를 수행했다며 복지부로부터 총 3억1000만원을 지원받았지만, 실제 임상연구로 볼 수 있는 과제는 단 2건뿐이었다”며 “나머지 27건은 대학생 리포트 수준의 짜깁기 연구였다”고 비판했다. 또 “연구계획을 취합한 사람은 원장 이태경, 심의위원장은 의료부장 서상수로 두 사람이 서로의 과제를 승인하고 매년 2000만원가량 인건비를 챙겼다”며 “심사와 수혜를 동시에 하는 전형적인 ‘셀프 승인·셀프 수령’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도 문제”라며 “문헌고찰은 원칙적으로 IRB 대상이 아니지만, 부곡병원 IRB는 이를 모두 임상연구로 승인했고 위원 명단에 의료부장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영상의학회, 산업통상부 장관 표창 수상 대한영상의학회(회장 정승은)가 지난 14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세계 표준의 날’ 기념식에서 단체표준화 부문 산업통상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지난 20여 년간 의료영상 분야의 품질관리와 표준화 체계 구축을 선도하며, 환자 안전과 진단 품질 향상, 의료데이터 상호운용성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특히 대한의학회 산하 단체 중 최초로 표준화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해 관심을 높였다. 이 상은 그동안 주로 산업계나 기술 표준 분야의 단체에 수여되어 온 점을 고려할 때, 의료계의 표준화 활동이 국가 산업표준 체계 안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대한영상의학회는 지난 2004년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을 설립해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 제도를 정립했으며, 이후 ‘영상 진단 정당성 가이드라인’, ‘조영제 유해반응 다학제 지침’, '표준판독소견서 가이드라인', ‘KRCDI 기반 진단영상검사 표준용어 세트’ 등 다양한 단체표준을 제정·보급해 왔다. 또한 ‘모범수련병원 인증제’와 ‘국가암검진 영상품질평가’ 사업을 통해 영상 품질과 검사 신뢰도를 높였다, ‘진단참고수준 설정’과 '진단용 방사선안전관리책임자교육'을 통해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