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갑상선 결절,목 쉬고 이물감 느껴지면 의심해 봐야

목 앞 부위 튀어나오고 물이나 음식물 삼킬 때 불편하면 갑상선 결절 의심해 볼 수 있어

박모씨(57세)는 얼마 전부터 목이 아프고 목소리가 변하기 시작했다. 단순 목 감기로 생각하고 감기약을 먹었으나 특별한 차도가 없었다. 그러던 중 최근 거울을 보다 목에 작은 혹이 생긴 것을 발견했고 목 앞 부위에 작은 덩어리가 만져졌다. 깜짝 놀라 병원을 찾은 박씨는 갑상선 양성 결절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보통 증상 없이 목 앞쪽에 혹이 만져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약 10%의 갑상선 결절 환자에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 없이 목이 쉬거나 물이나 음식물을 삼킬 때 뭔가 걸리는 느낌이 있다면 갑상선 결절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결절 위치나 크기에 따라 기도를 심하게 누르며 호흡이 힘들어지기도 하고 마른 기침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갑상선은 목 중앙에 위치한 작은 기관으로 호르몬을 분비해 몸의 대사과정을 촉진하고 적절히 유지시키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한다. 갑상선에 종양이 생기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고 5mm 이상의 종양이 발견되면 세침검사 혹은 조직검사를 통해 양성인지 암인지를 구분한다.

양성 결절이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경우는 없으나 커지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치료를 서두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결절이 크고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술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특히 1cm 이상의 증상 있는 결절은 더 크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크긱가 커질수록 시술 회수가 늘어나고 기도, 식도, 후두신경과 가까워져 시술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지정 외과전문병원 민병원 김종민 대표원장은 “암으로 진단 되면 반드시 수술을 해야 하지만 양성 결절일 경우에는 종양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 고주파 혹은 레이저치료,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여 진행하게 된다”며, “악성이 아닐 경우 신체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불편함을 느끼고 외관상으로 목 부위가 안 좋게 보여질 경우 고주파 및 레이저로 쉽게 당일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비수술 치료로 결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주파 및 레이저치료는 초음파로 부위 확인 후 약 1mm 정도의 작은 관을 넣어 고주파나 레이저 열로 종양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결절만 태우기 때문에 정상 갑상선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어 치료 후에 갑상선호르몬제를 복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또한 부분 국소 마취로 치료가 가능해 부담이 없으며 시술 시간(20분 이내)과 회복 기간(시술 후 1시간 내 귀가) 또한 짧은 것이 장점이다.

만약 갑상선 암일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이면 전이와 재발이 되는 특성상 고주파나 레이저 시술이 아닌 제거술을 시행한다. 고주파나 레이저로 시술해도 암세포가 임파선이나 혈액으로 퍼졌을지도 모르기 때문.

김종민 대표원장은 “고령이나 심장 쇠약과 질환 등으로 전신 마취가 불가능한 갑상선 암 환자의 경우만 호흡 곤란을 막기 위해 고주파 및 레이저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를 하지만 필요시에는 결국 수술을 하게 된다”며 “이전에는 절개술을 시행했지만 최근 1cm 미만의 암에서는 내시경 수술을 통해 0.5mm에서 1cm 정도만 절개해 수술하기 때문에 흉터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양성결절은 반드시 한 가지 방법만으로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환자의 상태와 기호, 결절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와 상이를 통한 치료 방향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보안의 시작은 나, 신뢰의 완성은 우리'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보보호 사내 슬로건 공개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21일(목) 전사 차원의 정보보호 의지를 담은 신규 사내 슬로건 '보안의 시작은 나, 신뢰의 완성은 우리'를 공개하며, 보안문화 고도화에 본격 나섰다. 이번 슬로건은 임직원 모두가 회사의 핵심 기술과 정보를 지키는 주체임을 인식하고, 각자의 역할에서 정보보호를 실천하도록 독려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특히 개인의 작은 부주의가 회사 전체의 정보보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환기시키고, 보안을 단발성 캠페인이 아닌 지속 가능한 조직문화로 정착시키자는 취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이처럼 보안의식을 내재화하고 전사적인 보안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이유는 회사가 보유한 기술이 국가 차원의 보호가 필요한 핵심 전략 기술이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서 2021년 '1만 리터 이상의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른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으로 지정됐다. 이어 2023년에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상 국가첨단전략기술 보유 기업으로도 지정되며, 대한민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주권을 담당하는 핵심 기업으로 공인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임직원 독려와 더불어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