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 연구..한국 '척추손상' 미국 '파킨스병' 주력

식약처,심장, 뼈, 신경계 질환에 대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개발 동향 분석 나타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연구와 관련된 국내·외 논문을 분석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동향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www.ncbi.nlm.nih.gov/pubmed)에 그 간 등재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에 대한 학술 문헌 중 심장질환 312건, 뼈질환 168건, 신경계질환 171건을 대상으로 질환별 임상수행 국가, 주요 적응증 등을 분석한 것이다. 
 

심장·뼈·신경계 질환에 대한 국가별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논문수를 살펴보면 미국(106건), 독일(71건), 이탈리아(40건)의 순이며, 우리나라는 36건으로 4위다.

심장질환의 경우 독일(63건), 미국(40건), 네덜란드(22건) 등의 순이었으며, 한국은 8건으로 11위였다.
 

 

뼈질환의 경우 미국(27건), 이탈리아(23건), 일본(19건), 한국(18건)등의 순이었으며, 신경계질환의 경우 미국(39건), 영국(17건), 중국(15건), 인도(11건), 한국(10건) 등의 순이었다.
 

 

질환 별 논문을 살펴보면 심장질환의 연구는 만성심근경색(149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급성심근경색(127건), 협심증(20건), 확장심근병(20건)순으로 많았으며 심장초음파(56%)와 자기공명영상(MRI, 37%)을 주로 사용하였다.
 

 

뼈질환에 대한 연구는 선천적 유전질환(33건), 골결손(31건) 등이  많았으며 ‘05년 이후에는 골관절염의 연구가 활발했으며, 같은 기간 한국은 8건, 미국은 2건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국내 연구가 활발했다.  

 

신경계질환의 경우 파킨슨병(60건), 척수손상(36건) 등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04년 이전에는 파킨슨병이 연구가 활발했으나, ’05년 이후에는 척수손상 등이 주요 연구대상 이었으며 한국은 척수손상(40%)과 뇌졸중(20%) 연구가 많은 반면, 미국에서는 파킨슨병의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평가원은 이번 동향보고서를 통해 국내·외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여 국내 연구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며, 향후에도 줄기세포치료제와 관련된 제도 및 연구개발 동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 ‘식욕억제제’ 등으로 광고 하다 덜미.. 324억 원 상당 판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누리소통망(SNS) 등에서 일반식품을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비만치료제로 불법 광고하여 판매한 5개 업체 대표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유튜브 등 누리소통망(SNS)에서 인플루언서가 과·채가공품 등 일반식품을 비만 치료, 식욕억제 등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확인하고 정확한 위반 경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 결과 피의자들은 인플루언서의 블로그,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비만치료제)’, ‘식욕억제제’, ‘체지방 감소’ 등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처럼 부당 광고하고, 해당 광고에 판매사이트가 연결되도록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2024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324억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의자들은 개인 SNS에 특정 제품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노려 인플루언서에게 ‘한 달에 7kg 감량’, ‘초강력 식욕억제’ 등 광고 키워드를 전달하고 해당 키워드를 활용해 자신의 체험 후기인 것처럼 영상 등을 제작하여 게시하도록 하는 수법으로 불법 광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