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심평원

중년층 ‘재활치료’ 급증..레이저치료가 가장 많아

심평원 분석결과,‘재활저출력레이저치료’ 가 약 214만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간헐적견인치료-골반견인’, ‘파라핀욕’ 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재활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재활치료(단순재활치료, 전문재활치료)’에 대해 분석한 결과,진료인원은 2009년 약 401만 7천명에서 2013년 약 484만 6천명으로 5년간 약 82만 9천명(20.6%)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4.8%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9년 약 4,784억원에서 2013년 약 7,781억원으로 5년간 약 2,997억원(62.6%)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2.9%로 나타났다

표1. <재활치료> 성별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09년~2013년)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진료인원

()

4,017,048

4,275,362

4,531,804

4,717,595

4,846,429

1,644,842

1,757,793

1,862,404

1,949,462

2,018,689

2,372,206

2,517,569

2,669,400

2,768,133

2,827,740

총진료비

(천원)

478,392,456

555,362,112

617,270,676

699,610,642

778,072,515

234,311,899

274,851,614

306,760,235

351,265,444

392,132,138

244,080,556

280,510,498

310,510,441

348,345,198

385,940,376


최근 5년간 '재활치료’ 진료인원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남성 대비 여성 진료인원의 비율은 약 6:4 정도로 여성 진료인원이 약간 많았으나, 해가 지날수록 격차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재활치료>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변화율 (2009년~2013년)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성비(남성대비여성)

1.44

1.43

1.43

1.42

1.40

-

점유율

40.9%

41.1%

41.1%

41.3%

41.7%

-

59.1%

58.9%

58.9%

58.7%

58.3%

-

전년대비 증가율

-

6.4%

6.0%

4.1%

2.7%

4.8

-

6.9%

6.0%

4.7%

3.6%

5.3

-

6.1%

6.0%

3.7%

2.2%

4.5


'재활치료’ 진료인원을 연령구간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50대 24.1%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18.4%, 60대 15.6%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미만 구간들은 모두 10% 이하로 점유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동안 전 연령구간의 진료인원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대는 50대로 5년간 33만 4천명(3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성별 진료인원은 여성이 조금 더 많지만 30대까지는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3. <재활치료>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09년~2013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09

2010

2011

2012

2013

2009

2010

2011

2012

2013

0~ 9

77,330

79,923

81,968

85,796

93,063

1.9%

1.8%

1.8%

1.8%

1.9%

45,203

47,400

48,072

49,653

53,197

2.7%

2.6%

2.5%

2.5%

2.6%

32,127

32,523

33,896

36,143

39,866

1.3%

1.3%

1.2%

1.3%

1.4%

10~ 19

297,763

313,096

330,139

343,975

339,051

7.2%

7.1%

7.1%

7.1%

6.8%

185,216

195,070

203,308

208,271

199,545

11.0%

10.8%

10.7%

10.4%

9.7%

112,547

118,026

126,831

135,704

139,506

4.6%

4.6%

4.6%

4.8%

4.8%

20~ 29

321,135

327,191

337,862

349,840

365,237

7.8%

7.5%

7.3%

7.2%

7.3%

164,971

169,325

174,067

179,555

188,128

9.8%

9.4%

9.1%

9.0%

9.1%

156,164

157,866

163,795

170,285

177,109

6.4%

6.1%

6.0%

6.0%

6.1%

30~ 39

509,698

533,035

554,603

569,892

586,325

12.4%

12.1%

11.9%

11.7%

11.8%

249,655

263,803

273,967

284,554

296,369

14.9%

14.7%

14.4%

14.2%

14.3%

260,043

269,232

280,636

285,338

289,956

10.7%

10.4%

10.2%

10.0%

10.0%

40~ 49

817,029

859,952

885,740

906,356

918,003

19.9%

19.6%

19.0%

18.7%

18.4%

326,150

345,147

359,376

373,500

386,354

19.4%

19.2%

18.9%

18.7%

18.7%

490,879

514,805

526,364

532,856

531,649

20.2%

19.9%

19.2%

18.7%

18.3%

50~ 59

865,121

965,166

1,071,827

1,157,929

1,199,447

21.0%

22.0%

23.0%

23.9%

24.1%

306,361

342,520

380,706

413,741

435,336

18.3%

19.0%

20.0%

20.7%

21.1%

558,760

622,646

691,121

744,188

764,111

23.0%

24.0%

25.2%

26.1%

26.3%

60~ 69

672,547

710,285

743,158

768,079

778,731

16.4%

16.2%

16.0%

15.8%

15.6%

234,873

251,369

265,972

277,861

284,995

14.0%

14.0%

14.0%

13.9%

13.8%

437,674

458,916

477,186

490,218

493,736

18.0%

17.7%

17.4%

17.2%

17.0%

70세 이상

551,544

602,475

646,045

670,450

697,410

13.4%

13.7%

13.9%

13.8%

14.0%

165,605

183,598

199,610

210,625

222,721

9.9%

10.2%

10.5%

10.5%

10.8%

385,939

418,877

446,435

459,825

474,689

15.9%

16.2%

16.3%

16.1%

16.3%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율임.

전체 환자수(표1)는 조건 별로 중복이 제거된 실인원수이지만,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재활치료> 연령별 진료인원(2009, 2013년)

 '재활치료’ 진료행위별 진료인원 순위를 보면 2013년 기준으로 ‘재활저출력레이저치료[1일당]’이 약 214만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간헐적견인치료-골반견인’, ‘파라핀욕[1일당]’ 순으로 나타났다.

표4. <재활치료> 진료행위별 진료인원 순위 (2009년~2013년)

진료행위

2009

2010

2011

2012

2013

재활저출력레이저치료[1일당]

1,521,027

1,708,247

1,855,238

2,004,781

2,139,976

간헐적견인치료-골반견인

819,176

872,912

930,609

968,561

978,621

파라핀욕[1일당]

654,556

712,557

743,342

755,840

754,897

간헐적견인치료-경추견인

453,022

494,613

559,210

593,605

598,143

근막동통유발점주사자극치료[1일당]

507,464

559,942

584,080

552,522

523,840


최근 5년간 '재활치료’를 받은 진료인원의 주상병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남녀 모두 ‘기타 등병증’, ‘기타 연조직 장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등병증, 연조직 장애 외에 ‘손목 및 손의 손상’이 높았으며, 여성은 ‘관절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성의 경우 과격한 운동이, 여성의 경우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 등이 원인인 것으로 추측된다.

표5. <재활치료> 진료인원 성별 주상병(중분류) 상위 순위 (2009년~2013년)

성별

주상병(중분류)

2009

2010

2011

2012

2013

남성

기타 등병증

500,180

535,369

577,718

605,993

620,021

기타 연조직 장애

320,255

357,337

374,310

386,725

395,902

손목 및 손의 손상

194,240

201,634

205,124

210,999

209,421

척추병증

102,877

115,885

132,041

143,989

150,065

발목 및 발의 손상

86,737

92,438

101,580

111,478

116,312

여성

기타 등병증

746,969

792,886

858,654

890,077

887,020

기타 연조직 장애

538,866

588,426

610,432

614,301

609,703

관절증

265,387

272,220

291,345

306,002

307,973

척추병증

193,567

215,377

243,199

258,722

263,653

윤활막 및 힘줄 장애

160,011

168,146

180,693

191,709

200,621


‘재활치료‘는 질병·외상 등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의 신체적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이다.재활치료는 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단순재활치료와 전문재활치료로 자료를 산출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고영진 심사위원은 “외상 등으로 인해 신체에 장애, 통증이 발생할 경우 약물이나 수술로만 효과를 보기보다는 적당한 재활치료를 받는 경우 훨씬 좋은 경과를 얻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