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김승호 보령제약그룹 회장 자서전/02/약(藥)과의 첫 인연

대창약방(大昌藥房). 약과의 첫 인연이 시작된 곳



"간혹 형이 잠시 외출을 해서 나 혼자 약방을 지키는 때면 마치 나 자신이 훌륭한 약사가 되어 아픈 사람들을 위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양 짐짓 어깨가 으쓱해지기도 했다."


나는 일제의 탄압이 극심했던 1932년 1월 6일 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죽청리에서 3남 1년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인 죽청마을은  작은 산골이었다.

아버님은 전형적인 선비기질을 지닌 분으로 대를 물려 내려온 적지 않은 논밭에 농사를 짓고 있어서, 내가 어렸을 때까지만 해도 집안 살림이 그리 궁핍한 편은 아니었다.

그런데 내가 웅천국민학교에 입학할 무렵 갑자기 가세가 기울어져 살림이 어렵게 되었다. 아버님이 전답을 팔아 양조장을 인수했는데, 애당초 선비 기질만 지녔을 뿐 사업에는 경험이 없던 아버님이었기에 곧 실패를 하고 만 것이었다.

한번 기운 가세는 쉽게 되살아나지 않았고, 그 때문에 나를 비롯한 우리 형제들은 항상 배고픔을 느끼며 자랐다.

끼니를 거르는 일도 다반사였는데, 특히 산길을 따라 10리나 멀리 떨어진 학교를 오가는 동안에는 배가 고파 그 자리에 주저 앉아버리고 싶은 때도 많았다.

그 즈음 나와 나이 터울이 컸던 형(김영제:金永濟)이 흐트러진 가세를 수습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그 방안이 바로 약국개업이었다. 웅천면 신작로 변에 단층 양철집을 얻어 문을 연 형의 대창약방(大昌藥房). 그 곳이 바로 나와 약과의 첫 인연이 시작된 곳이었다.


학교에서 돌아온 나는 거의 매일같이 쪼르르 약방으로 달려가 진열대에 놓여진 약품들을 구경하곤 했다.
비록 몇 안 되는 약들인데다 그나마 모양새나 품질이 조악하기 그지없는 것들이었다. 그러나 그 약들이 바로 사람들의 아픈 곳을 낫게 해주는 것들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어린 내 눈에는 그 하나 하나가 모두 소중하고 대견스러운 것들로 보였다.

나는 여러 종류의 약들이 제각기 어떤 치료 용도로 쓰이는지 꼬치꼬치 캐물어서 때론 형을 귀찮게 하기도 했다. 특히 간혹 형이 잠시 외출을 해서 나 혼자 약방을 지키는 때면 마치 나 자신이 훌륭한 약사가 되어 아픈 사람들을 위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양 짐짓 어깨가 으쓱해지기도 했다.

약업(藥業)과의 인연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이듬해에 나는 서울로 올라 와 숭문학교에 입학을 했다. 이 때 거처로 정한 곳이 집안 형(김인호 : 金仁浩)이 운영하고 있던 약국 2층 다다미방이었다. 후일 백제약국 자리가 된 종로 5가의 홍성약국(鴻城藥局)이 바로 그 곳이었다. 집안 형은 일찍이 고향을 떠나 서울에서 약국을 운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수업이 끝난 후 나는 틈틈이 가게에 나가 약국 일을 거들었다. 비록 약품상자를 나르거나 사소한 심부름을 하는 정도였고, 잘 해봐야 값을 외워 둔 단순한 약들을 파는 정도였다. 그러나 약을 접하는 내 마음가짐만은 옛날 대창약방에서와는 사뭇 달랐다.

약품의 종류나 오가는 손님이 그만큼 많아서 내 호기심이나 궁금증도 그만큼 커졌고, 약의 중요성이나 그 약을 만들고 지어 파는 일의 가치도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었다.
요컨대 어린 시절의 대창약국이 내게 약에 대한 호기심을 일깨워주었다며, 사춘기를 보낸 홍성약국은 내게 그 의미를 접하게 해준 셈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침체된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단비 내리나...KIMCo, 157억원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유안타와 공동 운용 재단법인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IMCo재단)이 제약사들과 손잡고 오픈이노베이션 펀드를 조성, 침체된 제약·바이오 투자 시장에 상생형 성장 전략을 제시한다. KIMCo재단은 유안타인베스트먼트와 공동으로 한국벤처투자가 주관하는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의 최종 운용사(GP)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총 157억원 규모로 결성되는 이번 벤처투자조합은 15개 국내 제약사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민간 출자자로 참여한 국내 최초의 제약사연합 출자 기반 바이오 특화 펀드다. 여기에 모태펀드가 특별출자자로 참여하면서 민관 협력 구조를 갖추었다. 이번 펀드는 지속되는 투자 경색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바이오벤처를 지원하고자, 제약사들이 주도적으로 초기 바이오벤처를 발굴·육성하겠다는 산업계의 의지에서 출발했다.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참여 제약사들과의 전략적 협업 및 연계를 통해 유망 기술의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 바이오 생태계의 혁신을 실질적으로 이끌고자 하는 기대를 바탕으로 이번 펀드 조성에 나서게 되었다. 공동 운용사로 선정된 KIMCo재단과 유안타인베스트먼트는 각각 제약산업에 대한 전문성과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 그리고 벤처 투자 및 펀드 운용의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고대안산병원, 경기도와 ‘의료기기 핸즈온네트워킹’ 행사 개최 연구중심병원 지정으로 국내 연구개발(R&D) 선도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병원장 서동훈)이 29일 경기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 ‘핸즈온네트워킹 행사’를 진행했다. 경기도 의료기기 개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열린 의료기기 전시 및 설명회로, 도내 의료기기 업체와 연구자가 교류하며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이주한 연구부원장과 김재영 의료산업기술개발지원센터장,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산업본부 이종석 본부장, 경기도의회 김철진 의원, 안산시 허남석 부시장, 도내 의료기기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기반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기기, 혈액 샘플에서 혈액세포와 골수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혈액 처리 장치, 치아 교정용 세라믹 자가결찰 브라켓 등 5개 업체의 제품 설명과 시연이 진행됐다. 특히 이번 행사에 참여한 의료진이 개발된 제품을 직접 체험하며 장단점을 평가하고, 기술 보완 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피드백을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이주한 연구부원장은 “오늘 이 자리는 단순한 전시회가 아닌 의료기기 개발에 열정을 쏟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