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흐림동두천 -0.5℃
  • 맑음강릉 7.1℃
  • 구름많음서울 3.1℃
  • 흐림대전 3.1℃
  • 맑음대구 1.3℃
  • 맑음울산 4.7℃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4.4℃
  • 흐림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10.7℃
  • 흐림강화 2.6℃
  • 흐림보은 -1.2℃
  • 흐림금산 0.7℃
  • 맑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1.6℃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김승호 보령제약그룹 회장 자서전/48/우수한 치료의약품 생산의 의지

우리도 질적인 진정한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고, 그 방안으로 제시된 설계안이 신제품 개발 5개년 계획이었다. 해마다 최소한 5개 품목 이상의 우수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대메이커로서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제품을 보다 다양화시켜 급변하는 시장 경쟁 구도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표였다.


한국경제는 GNP성장률 마이너스 5.7%라는 심각한 퇴보 속에서 80년대를 맞았다.
70년대의 고도성장에 제동을 건 이 상황은 그동안 양적인 성장에 치중한 나머지 질적 성장에 소홀했다는 자성(自省)을 추구하는 뼈아픈 교훈이기도 했다.
우리도 질적인 진정한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고, 그 방안으로 제시된 설계안이 신제품 개발 5개년 계획이었다. 해마다 최소한 5개 품목 이상의 우수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대메이커로서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제품을 보다 다양화시켜 급변하는 시장 경쟁 구도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표였다.
우리는 우선 병원 영업의 활성화를 통해 치료제 시장을 개척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처방약품에 의존하는 기존의 영업구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국내에서 비처방약품인 OTC제품에 주력하다 보면 전체적으로 많은 수의 영업사원을 투입하고 관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취급품목도 다양해야만 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적은 규모의 시장을 놓고 대규모 우수 영업진을 소모해야 하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치료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항생물질의 개발과 생산에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상태였고, 그 시설도 완비되어 있어 본격적인 생산에는 별다른 지장을 받고 있지 않았다.
더구나 기술적인 면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기술을 인정받고 있는 브리스톨 마이어즈사와 제휴를 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 같은 여건을 바탕으로 80년대에 들어서자마자 우리는 OTC위주의 영업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 시도로 브리스톨 마이어즈사의 항생제 ‘듀리세프’를 완제품으로 수입했다.
듀리세프는 세파로스포린계 항생물질로서 경구용으로 되어 있었는데, 브리스톨 마이어즈사의 자회사인 미드 존슨사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10여개국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었다.
FDA의 공인을 받기도 한 듀리세프는 미국에서 발매되자마자 그 살균효과가 기존 경구용 세파계 항생물질보다 무려 10배 내지 1,000배 이상 강력한 것으로 밝혀져 일대 선풍을 일으킨 바 있었다.
아미킨과 듀리세프의 발매로 보령제약은 최신 항생물질을 보유한 치료제 메이커로 인정을 받았으며, 특히 그 탁월한 효능으로 기업 이미지를 크게 부각시키는 전기를 마련했다. 영업 면에서도 크게 활기를 띠게 되었음은 물론이다.



수출을 위해 출하되고 있는 겔포스.


듀리세프의 발매를 계기로 전문 치료의약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한 이 무렵, 특히 주목할 제품은 ‘메케이스’. ‘부몬’, ‘푸라티놀’, ‘BiCNU', 'CeeNU'등 일련의 항암제였다. 이들 제품은 모두 브리스톨 마이어즈사가 개발한 최신 특수약품으로서, 병원영업의 활성화와 치료제 메이커로서의 신뢰감 제고라는 두 가지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한 사업계획에 따라 완제품으로 수입 발매되었다.
한편 이 때 보령제약은 여러 종류의 피부 연고제를 연이어 생산 발매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를 실현하기도 했다. 1982년 3월부터 발매가 시작된 ‘데마겐’크림과 ‘웨스트코트’크림, ‘씨오’연고, ‘할로텍스’등은 이후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지명도 높은 약품이 되었다.
피부연고제는 소비자들이 손쉽게 구하고 부담 없이 사용하는 품목으로서 다른 제품에 비해 메이커의 지명도나 신뢰도에 대한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 일련의 제품이 발매 직후부터 하나같이 판매호조를 보인 것은 메이커에 대한 소비자들의 친근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었고, 그것은 대중적인 의약품을 만들어 소비자들과 밀접한 유대관계를 맺으려는 우리의 의도가 적중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약의 날 축사 통해.. "K-바이오 의약산업,과감한 정책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안전한 약,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내일’을 주제로 ‘제39회 약의 날 기념식’을 11월 18일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서울 종로구 소재)에서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정부·국회‧산업계·학계 등 약업 분야 종사자 약 300명이 참석해, 약의 날을 기념하면서 의약품의 공공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약업인들이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사회적 책무를 다짐하는 자리이다. 아울러 국내 제약산업의 수출 기반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격려하면서 윤석근 일성아이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동탑산업훈장, 의약품 유통질서 및 의약품 안정공급에 기여한 서영호 동부산약품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산업포장 등 의약품 안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게 총 43점의 훈·포장과 표창을 수여했다. 이번 행사에는 사전 부대행사로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의약품 안전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을 주제로 세미나 등을 개최하며, 약 바르게 알기 교육 등을 주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약사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한국규제과학센터,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25 제약바이오투자대전’ 개최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 인천관광공사(사장 유지상)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강경성, 이하 KOTRA)가 공동 주관하는 ‘2025 제약바이오투자대전’이 오는 12월 2일 인천 송도컨벤시아 프리미어볼룸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최신 투자 동향 공유를 위한 콘퍼런스와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위한 1:1 투자⸱수출상담회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콘퍼런스에는 제약바이오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심도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오전 세션은 미국 투자기업 플래그쉽 파이오니어링의 이병건 한국 고문이 ‘해외 VC 투자유치 전략’을 주제로 행사의 막을 올린다. 이어 KOTRA 이성호 팀장이 ‘제약바이오의 해외진출 전략’을, 사토리우스 김덕상 대표가 ‘외국인 투자유치 성공사례’를 발표한다. 제약바이오기업의 역할과 미래 성장전략을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셀트리온 권기성 수석부사장은 ‘글로벌 바이오산업을 선도하는 대기업의 역할’을, SK바이오사이언스는 ‘새로운 혁신 거점으로서의 미래 성장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오후 세션은 키움증권 허혜민 팀장과 유진투자증권 권혜순 수석전문위원이 ‘2026년도 투자환경의 변화와 제약⸱바이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