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부작용..항암제, 해열진통제, 조영제 순 발생

식약처,2014년 의약품 안전성 정보 보고 동향 분석 14개 성분제제 298개 제품의 선제적 안전조치

식약처는 2014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한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는 총 183,554건이라고 밝히고,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해 전문가 및 소비자에 의약품 사용 중 발생한 안전성 정보 보고를 당부하였다.


지난해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 보고건수는 18만3천여건이었으며, 보고된 정보를 근거로 14개 성분제제, 298개 제품의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4년에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의약전문가, 일반 사용자 등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보고한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는 183,554건이라고 밝혔다.
 

최근 보고건수는 74,657건(‘11년), 92,375건(’12년), 183,260건(‘13년)이며, 지난해 보고건수는 ’13년과 비슷했다.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보고건수

12,796

27,010

64,143

74,657

92,375

183,260

183,554


보고된 부작용을 효능군 별로 분류해보면 상위 5개의 보고건수가 전체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순위는 ‘13년과 동일했다.

구분

제조(수입)업체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의료기관

약국

소비자

기타

합계

보고건수

58,196

118,544

4,167

103

2,389

155

183,554

비율(%)

31.7

64.6

2.3

0.1

1.3

0.1

100


 


‘항악성종양제’가 29,577건(16.1%)으로 가장 많고, ‘해열진통소염제’ 22,912건(12.5%), ‘X선 조영제’ 14,572(7.9%), ‘항생제’ 13,286건(7.2%), ‘합성마약’ 11,365건(6.2%) 등의 순이었다.
 


증상별 보고건수는 ‘오심(헛구역질)’ 28,141건(15.3%), ‘가려움증’ 16,868건(9.2%), ‘두드러기’ 15,014건(8.2%), ‘구토’ 14,929(8.1%), ‘어지러움’ 14,256건(7.8%), ‘발진’ 12,081건(6.6%), ‘설사’ 6,768건(3.7%)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의약품 효능군별 보고현황(상위 10개)                                                               (단위 건)

순위

2013

2014

효능군*

보고건수(%)**

효능군*

보고건수(%)**

1

항악성종양제

23,628(12.9)

항악성종양제

29,577(16.1)

2

해열.진통.소염제

16,650(9.1)

해열.진통.소염제

22,912(12.5)

3

X선조영제

13,970(7.6)

X선조영제

14,572(7.9)

4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항생제

11,491(6.3)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항생제

13,286(7.2)

5

합성마약

9,851(5.4)

합성마약

11,365(6.2)

6

최토제, 진토제

8,909(4.9)

기타의 화학요법제

5,619(3.1)

7

백신류

7,059(3.9)

소화성궤양용제

5,492(3.0)

8

기타의 화학요법제

5,178(2.8)

정신신경용제

4,591(2.5)

9

혈압강하제

4,562(2.5)

진해거담제

4,056(2.2)

10

기타의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4,066(2.2)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4,013(2.2)



상위 10개 증상은 ’13년과 동일했으며 일부 순서의 변동만 있었다.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를 보고한 주체별로 살펴보면 전국 27개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118,544건(64.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제약사 58,196건(31.7%), 의료기관 4,167건(2.3%), 소비자 2,389건(1.3%), 약국 103건(0.1%) 등의 순이었다.



안전센터 및 소비자의 보고건수 증가는 지난해 안전센터가 5곳 신설되어 정보 수집이 증가했고 국민인식 개선과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홍보에 따라 소비자의 참여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약국, 보건소 등 전국 단위를 담당하는 중앙센터(2개소) 및 해당 권역 내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권역센터(종합병원, 25개소)로 운영되고 있다.

-증상별 보고현황(상위 10개)                                                                                     (단위 건)

순위

2013

2014

증상명

보고건수(%)*

증상명

보고건수(%)*

1

NAUSEA(오심)

26,417(14.4)

NAUSEA(오심)

28,141(15.3)

2

VOMITING(구토)

15,236(8.3)

PRURITUS(가려움증)

16,868(9.2)

3

PRURITUS(가려움증)

15,113(8.2)

URTICARIA(두드러기)

15,014(8.2)

4

URTICARIA(두드러기)

12,991(7.1)

VOMITING(구토)

14,929(8.1)

5

DIZZINESS(어지러움)

12,838(7.0)

DIZZINESS(어지러움)

14,256(7.8)

6

RASH(발진)

11,766(6.4)

RASH(발진)

12,081(6.6)

7

DIARRHOEA(설사)

6,541(3.6)

DIARRHOEA(설사)

6,768(3.7)

8

GRANULOCYTOPENIA

(과립백혈구감소증)

6,086(3.3)

HEADACHE(두통)

6,214(3.4)

9

HEADACHE(두통)

6,045(3.3)

GRANULOCYTOPENIA(과립백혈구감소증)

6,044(3.3)

10

DYSPEPSIA(소화불량)

5,054(2.8)

DYSPEPSIA(소화불량)

5,862(3.2)


식약처는 지난해 수집한 국내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바탕으로 48개 성분제제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과 의약전문가로 구성된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자문 등을 거쳐 조영제인 ‘요오딕사놀’ 등 14개 성분제제(298개 제품)에 대하여 허가사항 변경 지시와 지속적 모니터링 등의 선제적 안전조치를 취한바 있다.


또한 안전성 정보를 국민들이 쉽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14년 7월부터 안전관리원 홈페이지를 통해 ‘실마리 정보 알리미’를 공개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더욱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맞춤형 그래프를 이용한 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의약품 부작용 보고건수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보고의 충실도를 올리기 위해 관련 지침을 운영하여 질적 성장도 강화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