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글로벌 성공신화 쓰고 있는 ‘ 카나브정’..한국의 자랑

보건복지부 신약 연구개발(R&D) 지원 힘입어국내 신약(신약후보물질) 대규모 기술 수출 등 글로벌 진출 성과 올려

2015[BIO & MEDICAL KOREA]주간(week)(‘ 15.4.8∼10) 계기에 보건복지부 신약 개발 분야의 해외진출 성과를 분석한 결과,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국내 제약사들이 개발한 신약(신약후보물질)이 해외에서도 충분한 기술적·경제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규모 신약의 기술 수출(공급 및 유통권리 포함) 실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우수한 약효를 가진 국내 신약개발과제를 발굴, 비임상·임상시험 단계별로 집중 투자함으로써 국산 신약의 제품화 및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자 신약개발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간 보건복지부 신약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개발된 신약 및 신약후보물질로써, ‘ 13년부터 ’ 15.3월 현재까지 기술 수출된 사례는 총 15건, 이에 따른 기술료 수입은 계약금(upfront)과 마일스톤(milestone)을 포함해 최대 10억 9820만달러(약 1조 1,914억원 규모, ‘ 15.4.6 환율 1,084.90원 적용시)*에 이르는 등 신약개발의 성공 및 해외진출 성과가 점점 가시화되고 있다.


기술 수출에 성공한 15개 과제에 지원한 보건의료 R&D예산(‘ 00∼’ 14년)은 총 178억원이며, 참고로 최근 3년(‘ 13∼’ 15년)간 신약개발지원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1,825억원이다.


대표적인 기술수출 사례로는 금년 1사분기 중 신약개발 R&D예산 지원을 받아 후속 개발된 국내 신약후보물질은 2건으로, 2월에는, [시스템통합적항암신약개발사업단]과 한미약품㈜이 공동 개발한 항암신약물질(포지오티닙, Poziotinib)이 미국의 항암제 개발전문 제약사인 스펙트럼 파나수티컬즈에 기술 수출되었고, 3월에는, 한미약품㈜이 미국의 다국적 제약사인 일라이릴리와 면역질환표적치료제 라이센스 및 협력계약을 체결해 최대 6억 9,000만 달러 규모(’ 15.3.19일 한미약품 배포 보도자료 기준, running royalty 제외금액)의 기술수출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또한, ㈜보령제약이 개발한 고혈압치료제인 ‘ 카나브정’ 은 우수한 효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의 성공 신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대표적인 신약이다.


멕시코 등 중남미, 러시아에 이어 중국 시장 진출에도 성공하여 누적기준 2억불 기술수출계약(‘ 11년∼현재, 5건)을 달성하였다.


한편, ㈜일양약품이 개발한 놀텍정(장궤양), 슈펙트(백혈병)는 터키·러시아·중국 등으로, ㈜안국약품이 개발한 시네츄라시럽(기관지염)은 미국으로 각각 수출되었고, ㈜제넥신이 개발한 자궁경부전암 치료제 후보물질(GX-188E)은 중국으로 기술 이전되었으며,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단(복지부·산업부·미래부 공동투자)을 통해 선정된 큐리언트社의 다제내성결핵 치료제와 파멥신社의 뇌암 치료제는 각각 러시아와 중국으로 기술 수출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보건복지부 지원 신약개발기술의 해외 기술(제품)수출 현황 (‘13~’15년)

연번

업체명

계약일

제품(물질)

적응증

상대국/

기술수출사

지원기간

지원금액

1

보령제약

'13.1

카나브정

고혈압

러시아/

알팜(R-Pharm)

(1) '00.6'04.4

(2) '05.5'09.3

(1) 9억원

(2) 21억원

2

'13.7

카나브정

고혈압

멕시코/

Stendhal

3

'14.1

카나브정

고혈압

중국/

글로리아

4

안국약품

'13.6

시네츄라시럽

기관지염

미국/

Gravity Bio

(1) '08.5'10.3

(2) '10.5'11.3

(1) 4억원

(2) 1억원

5

일양약품

'13.9

놀텍정

위궤양

UAE/

라이프파마

(1) '98.10'01.4

(2) '01.5'05.5

(1) 8억원

(2) 13억원

6

'14.2

놀텍정

위궤양

터키/

ABDI IBRAHIM

7

'13.10

슈펙트

백혈병

중국/

양주일양제약

(1) '06.5'08.3

(2) '08.11'12.10

 

(1) 6억원

(2) 37억원

 

8

'14.3

슈펙트

백혈병

터키/

ABDI IBRAHIM

9

'14.5

슈펙트

백혈병

러시아/

알팜(R-Pharm)

10

제넥신

'14.6

GX-188E

자궁

경부전암

중국/

BioSciKin

‘12.12‘14.10

8억원

11

한미약품

(항암신약

개발사업단)

'14.8

포지오티닙

(Poziotinib)

폐암

중국/

루예제약

‘12.5현재

37억원

12

'15.2

포지오티닙

(Poziotinib)

폐암

미국/

스펙트럼

파마수티컬즈

13

한미약품

‘15.3

HM71224

류마티스

관절염

미국/

일라이 릴리

'10.12'12.10

8억원

14

큐리언트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14.1

Q203

다제내성

결핵

러시아/

Infectex

'13.5'14.12

8억원

15

파멥신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14.10

tanibirumab

뇌암

중국/

Shenyang Sunshine Pharmacentical

'13.1'14.12

18억원



신약개발은 성공 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평균 10∼15년의 긴 개발기간이 소요되며 실패율이 높고 투자 회수기간이 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기술이전 성과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신약연구개발 결과가 국내·외에서 시장가치를 인정받아 기술수출계약 등 기술사업화 성과가 확대되면 신약 연구개발 경험 축적 및 개발 역량 강화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기술료 수입을 통한 신약개발 재투자로의 지속적 선순환구조가 형성되어 연구개발 성과가 급속히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보건의료 R&D는 1조원 투자 시 3조원 이상의 GDP 상승효과가 있어 투자효과가 타 R&D 분야보다 높기 때문에(국회예산정책처, 2013),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보건의료 R&D를 지속가능한 신성장 분야로 인식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보건의료 R&D는 ‘ 13년 기준 국가 총 R&D의 7.1%(1조 2천억원)수준이며, 그 중 신약개발 등에 투자되는 보건복지부 R&D 비중은 2.6%에 불과하므로 ’ 글로벌 제약강국 도약‘ 및 ’ 국민건강 증진‘ 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R&D 투자비율 확대를 전략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보건복지부 배병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신약개발 R&D 성과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는, 이전단계의 연구성과물이 다음 연구개발단계(TRL)로 연계되어 후속지원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건의료 R&D 전략지도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신약개발 R&D 협의체] 등 범정부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부처 간 정보교류 및 성과 연계를 확대하고, 신약개발 R&D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