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외품...염모제.박카스 생산 급증 '눈에 띄네'

식약처,‘14년 의약외품 생산실적 1.6조원 발표 전년 대비 7%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2014년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1조 6,578억원으로 ‘13년(1조 5,451억원)에 비해 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증가세는 외모와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염모제와 생리대의 생산실적이 급증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14년 의약외품 시장규모도 1조 4,587억원으로 전년도 1조 2,965억원보다 13%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8%의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치약제, 염모제 등 4개 품목이 대부분을 차지 ▲금연보조제와 보건용 마스크 큰 폭 상승 ▲생산실적 1위 업체는 아모레퍼시픽, 품목은 박카스디액 등이었다.

 

< 치약제, 염모제 등 4개 품목이 대부분을 차지 >
미용과 위생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치약제, 염모제, 내복용제, 생리대 등 상위 4개의 생산실적이 1조 1,866억원으로 전체의 71.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히 염모제 생산실적은 2,698억원으로 ‘13년(2,057억원)에 비해 31%나 급증했으며, 생리대도 2,421억원으로 ’13년(1,968억원)에 비해 23%나 급증해 생산실적 증가를 이끌었다.

생산실적이 가장 많은 치약제(4,281억원)는 4% 증가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내복용제제(2,466억원)도 2% 증가했다.
 

< 금연보조제와 보건용 마스크 큰 폭 상승 >
생산실적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금연보조제로서 5억원에서 12억원으로 140%나 증가했고, 그 뒤로 마스크는 41억원에서 90억원으로 120%(수술용 37%·보건용 197%), 치아미백제 등 구강 위생에 사용하는 제제는 39억원에서 66억원으로 69%나 급증했다.

봄철에 잦은 황사와 미세먼지 등에 대비하고 금연하려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이러한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생리대의 경우 ‘13년(1,968억원)에 비해 지난해 2,421억원으로 23% 증가한 반면, 수입실적은 ’13년, 34,778천달러에서 지난해에는 29,836천달러로 14%나 감소하여 수입제품이 국내제품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생산실적 1위 업체는 아모레퍼시픽, 품목은 박카스디액 등 >
국내 생산실적 1위 품목은 동아제약(주)의 ‘박카스디액’(1,744억원)이며, ‘죽염 오리지널고 치약’(573억원), ‘려자양윤모두피모근진액’(425억원) 순으로 많았다.

참고로 ‘박카스에프액’과 ‘박카스디액’은 지난 ‘11년에 일반의약품에서 의약외품으로 전환되었으며, 지난해 343억원이 생산된 ‘박카스에프액’을 포함하면 박카스 전체로는 2,087억원이었다.

업체별 생산실적 1위부터 4위까지의 순위는 지난해와 ‘13년에 변동이 없었으며 (주)아모레퍼시픽(3,327억원), 동아제약(주)(2,651억원), 엘지생활건강(2,431억원), 유한킴벌리(1,202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업체의 생산실적은 58%에 달했다. 

식약처는 국민 위생·보건과 관련하여 인구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등으로 의약외품의 생산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좀 더 안전한 의약외품 제조를 위한 품질기준 설정,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한 지원 정책 등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의약외품에 대한 우수한 품질과 안전 확보로 대외 신인도를 향상시켜 수출이 증가하고 기업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1. 연도별 국내 의약외품 시장규모

(단위 : 억원, %)

구분

생산

수출

수입

무역수지

시장규모

수입점유율

시장증가율

2010

11,559

2,028

1,249

779

10,780

12

7

2011

12,816

3,417

1,455

1,962

10,854

13

1

2012

13,204

3,537

1,714

1,823

11,381

15

5

2013

15,451

4,191

1,705

2,486

12,965

13

14

2014

16,578

3,739

1,748

1,991

14,587

12

13

* 무역수지 : 수출-수입

* 시장규모: 생산+수입-수출

* 수입점유율 : 시장규모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율

* 시장증가율 : 전년대비 시장규모 증가


2. 연도별 의약외품 생산실적

(단위: 개소, 억원, %)

구분

업체수

증감률

품목수

증감률

생산금액

전년대비

성장률

2010

355

4

5,365

9

11,559

12

2011

338

-5

5,848

9

12,816

11

2012

296

-12

4,561

-22

13,204

3

2013

393

33

7,203

58

15,451

17

2014

381

-3

6,587

-9

16,578

7

* 업체수 : 제조업체중 생산실적을 보고한 업체

 



3. 품목별 생산실적

(단위 : 억원, %)

구분

품목

13

14

전년대비 증감율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합계

15,450

100.00

16,579

100.00

7

1

치약제

4,097

26.52

4,281

25.82

4

2

염모제(탈색, 탈염포함)

2,057

13.31

2,698

16.27

31

3

내복용제제

2,421

15.67

2,466

14.87

2

4

생리대

1,968

12.74

2,421

14.60

23

5

탈모방지제

1,705

11.04

1,249

7.53

-27

6

붕대, 반창고 등 위생용품

1,070

6.93

1,223

7.38

14

7

가정용 살충제

803

5.20

812

4.90

1

8

구중청량제

485

3.14

544

3.28

12

9

방역용제제(살충제,살서제)

178

1.15

191

1.15

7

10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외용소독제

186

1.20

166

1.00

-11

11

연고제, 카타플라스마제, 스프레이파스

115

0.74

131

0.79

14

12

마스크

41

0.27

90

0.54

120

13

욕용제

71

0.46

88

0.53

24

14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122

0.79

84

0.51

-31

15

구강위생 등에 사용하는 제제(치아미백, 의치세척, 소독용제제 등)

39

0.25

66

0.40

69

16

땀띠.짓무름용제

12

0.08

15

0.09

25

17

금연보조제

5

0.03

12

0.07

140

18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

7

0.05

10

0.06

43

19

기타 유사물품 등

31

0.21

9

0.05

-72

20

액취방지제

7

0.05

8

0.05

14

21

제모제

22

0.14

8

0.05

-64

22

구강청결용 물휴지

8

0.05

7

0.04

-13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