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출산여성, 미출산 여성에 비해 유방암 생존율 '높아'

해운대백병원 유방센터 이정선 교,출산력 분석을 통한 유방암 생존율 국내 첫 규명

유방암에 걸렸을 때 자녀 2-3명 출산한 여성이 출산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 치료 후 생존율이 최대 61%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유방센터 이정선 교수(사진)와 부산백병원 임상시험센터 오민경 교수팀이 1993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유방암학회에 등록된 유방암환자 29,167명을 분석한 결과 폐경 전•후 유방암을 치료받은 환자들의 출산한 자녀 수와 첫 분만 나이에 따라 생존율에 차이를 보였다.


폐경 전 유방암 환자 중 자녀를 1명 출산한 여성이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유방암 치료 후 생존율이 53% 증가했고, 2명 출산 시 61%, 3명 출산 시 42%, 4명 출산 시 10% 증가했다. 하지만 5명 이상 출산여성은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오히려 33% 생존율이 감소됐다.


폐경 후 유방암이 진단된 여성에서는 출산한 여성이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2명 출산 시 1.4%, 3명 출산 시 25% 생존율이 증가했으나 1명 출산 시 34%, 4명 출산 시 0.8%, 5명 이상 출산 시 62% 생존율이 감소했다. 자녀 출산 수에 따른 유방암 생존율 첫 분만 나이도 유방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다.   

자녀 출산 수에 따른 유방암 생존율


폐경 전에 유방암을 치료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출산한 여성이 출산하지 않은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20세 이전에 첫 분만을 한 여성이 56% 생존율이 증가했으며, 20-24세 57%, 25-29세 62%, 30세 이상 63% 생존율이 높았다. 폐경 후에는 첫 출산 나이가 25-29세 일 때 16.6% 생존율이 증가했으나 나머지 연령에서는 생존율이 감소했다.


첫 분만 나이에 따른 유방암 생존율


모유수유(수유력)는 폐경 전•후 환자 모두 유방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성의 생식인자들인 수유력, 출산한 자녀수, 첫 분만나이, 진단 당시 나이와 첫 분만 시 나이 사이의 간격 등은 유방암 발병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치료 이후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보고는 이번 연구결과가 처음이다.


해운대백병원 유방센터 이정선 교수는 “미산력 자체가 위험요소라기 보다는 출산력이 예방적인 인자라고 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이런 효과는 폐경 후에는 점차 사라져 폐경 후 발생하는 유방암 환자들에서 출산력이 2-3명의 자녀를 출산한 여성에서는 생존율 증가의 효과가 있으나 다산력의 여성은 오히려 삶의 질을 나쁘게 만들어 유방암 특이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부산백병원 임상시험센터 오민경 교수는 “유방암 발병에 미치는 이러한 생식인자들은 치료 이후에도 폐경 전•후에서 미치는 영향은 다르지만 중요한 위험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다"며, ”점차 산업화되고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이 늘어나고, 초혼 나이 및 첫 분만나이가 늦어지는 우리사회에서 이런 생식인자의 변화가 향후 발생하는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여성건강국제학술지(BMC Women's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