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평원)은 5월 12일(화) 국민건강보험법령으로 관리되고 있는 2014년 말 기준 우리나라 요양기관(병․의원 등) 현황 통계를 발표하였다.
이번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심평원의 요양기관 수와 행정자치부의 지방자치단체별 인구수 및 면적 등을 연계 분석하였으며,특히, 지방자치단체 간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양기관 창업을 준비하는 의료인들에게 개원지역 선택에 유용한 정보로 제공·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양기관 계열별 현황
2014년 요양기관 수는 총 86,629개소로 2013년 대비 1,658개소(1.95%↑)가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종별은 의원으로 33.47%(555개소)를 차지하고 있다.
한방병원은 2014년 증가율(8.96%↑)이 2013년 증가율(5.47%↑)보다 3.49%p 상승하여 증가세가 확대되는 반면, 요양병원은 2014년 증가율(8.52%↑)이 2013년 증가율(11.70%↑)보다 3.17%p 하락하는 등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요양기관의 49.72%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집중되어 있으며, 요양기관 수가 가장 많은 서울특별시 강남구(2,761개소)는 가장 적은 경상북도 울릉군(10개소)에 비해 약 276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자치지역별 요양기관 계열별 현황
계 | 의 과 | 치 과 | 한의과 | 약 국 | 기 타 | |||||
서울 | 8,029 | (37.78%) | 4,704 | (22.14%) | 3,551 | (16.71%) | 4,933 | (23.21%) | 34 | (0.16%) |
부산 | 2,503 | (39.46%) | 1,200 | (18.92%) | 1,104 | (17.41%) | 1,500 | (23.65%) | 36 | (0.57%) |
대구 | 1,782 | (38.45%) | 816 | (17.61%) | 837 | (18.06%) | 1,171 | (25.27%) | 28 | (0.60%) |
인천 | 1,533 | (38.20%) | 804 | (20.03%) | 613 | (15.28%) | 997 | (24.84%) | 66 | (1.64%) |
광주 | 1,026 | (38.69%) | 573 | (21.61%) | 381 | (14.37%) | 655 | (24.70%) | 17 | (0.64%) |
대전 | 1,112 | (39.27%) | 510 | (18.01%) | 499 | (17.62%) | 689 | (24.33%) | 22 | (0.78%) |
울산 | 643 | (37.89%) | 357 | (21.04%) | 286 | (16.85%) | 387 | (22.80%) | 24 | (1.41%) |
세종 | 83 | (35.17%) | 36 | (15.25%) | 32 | (13.56%) | 67 | (28.39%) | 18 | (7.63%) |
경기 | 6,650 | (37.35%) | 3,628 | (20.38%) | 2,732 | (15.34%) | 4,452 | (25.00%) | 344 | (1.93%) |
강원 | 799 | (33.83%) | 353 | (14.94%) | 339 | (14.35%) | 625 | (26.46%) | 246 | (10.41%) |
충북 | 885 | (35.01%) | 369 | (14.60%) | 376 | (14.87%) | 632 | (25.00%) | 266 | (10.52%) |
충남 | 1,136 | (33.84%) | 489 | (14.57%) | 487 | (14.51%) | 843 | (25.11%) | 402 | (11.97%) |
전북 | 1,255 | (35.34%) | 512 | (14.42%) | 510 | (14.36%) | 871 | (24.53%) | 403 | (11.35%) |
전남 | 1,059 | (32.94%) | 434 | (13.50%) | 370 | (11.51%) | 782 | (24.32%) | 570 | (17.73%) |
경북 | 1,400 | (33.25%) | 605 | (14.37%) | 616 | (14.63%) | 1,027 | (24.39%) | 562 | (13.35%) |
경남 | 1,766 | (35.79%) | 812 | (16.45%) | 760 | (15.40%) | 1,183 | (23.97%) | 414 | (8.39%) |
제주 | 363 | (36.05%) | 175 | (17.38%) | 161 | (15.99%) | 244 | (24.23%) | 64 | (6.36%) |
특히, 11개 요양기관 종류중 6개 종류(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의원, 약국)에서 강남구가 요양기관 수 1위를 차지하였으며,요양병원은 경상남도 김해시(28개소), 한방병원은 광주광역시 북구(24개소)가 각각 최다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상북도 울릉군에는 보건기관 및 한의원을 제외한 의원 및 치과의원이 없어 의료혜택이 취약한 것으로 (인구 1만명당) 2014년 요양기관 수는 16.88개소이며, 기초자치지역 중 최다는 대구 중구 66.74개소, 최소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8.92개소로 확인되었다.
시지역 평균은 15.16개소로, 군지역 17.57개소 및 구지역 18.52개소는 물론, 전체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다지역 대비 최소지역의 편차가 시지역은 12.05개소로, 군지역 16.62개소 및 구지역 57.85개소 보다 오히려 작아 군 및 구지역에서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였다.
2014년 요양기관 밀도는 0.86으로, 우리나라 면적 1㎢당 요양기관이 0.86개소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초자치지역 중 대구광역시 중구는 1㎢당 요양기관 74.50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밀도가 가장 높은 반면,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 인제군과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1㎢당 요양기관 0.03개소가 분포하였다.
심평원 박영자 자원기획부장은 “이번에 발표한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시군구 단위의 세분화된 기본통계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국민, 요양기관, 정부 등에 도움이 되는 보건의료자원 통계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