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제약ㆍ약사

알츠하이머성 치매藥 시장 큰 폭 증가.. 2천억 눈앞

연평균 성장률 13.8%로, 처방액 1801억원에 달해 도네페질 계열이 84.9% 점유 눈길

알츠하이머성 치매 약물이 2천억시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이 13.8%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2014년 처방액만도 1801억원에 이르고 있다. 특히 도네페질 계열이 84.9% 점유하고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 완화제 사용량이 비용 기준으로 연평균 두 자릿수씩 증가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처방액은 사상 처음으로 1800억원대를 넘어서 조만간 2000억원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팜스코어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토대로 최근 5년간(2010년~2014년) 알츠하이머성치매 증상 완화제(리바스티그민은 2014년 자료분만 확인 가능하여 제외) 사용금액을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사용현황

                                                                                                                       (단위 ;천원)

성별

연령별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0-2014년 CAGR

남성

10세미만

633

878

0

265

705

2.7%

10_19세

11,368

11,312

8,899

6,819

7,183

-10.8%

20_29세

37,801

45,517

47,178

43,167

45,359

4.7%

30_39세

146,252

155,769

139,970

144,077

145,975

0.0%

40_49세

619,591

662,226

638,670

645,541

688,680

2.7%

50_59세

2,197,606

2,574,006

2,545,681

2,721,113

3,063,162

8.7%

60_69세

6,872,638

7,924,204

7,421,866

7,577,924

8,521,188

5.5%

70_79세

14,895,294

18,178,971

18,777,307

20,822,293

23,681,157

12.3%

80세이상

9,680,577

12,362,854

13,094,402

15,180,582

18,537,533

17.6%

소계

34,461,760

41,915,736

42,673,974

47,141,782

54,690,942

12.2%

여성

10세미만

70

82

0

2

269

40.2%

10_19세

7,266

6,125

5,799

5,953

3,953

-14.1%

20_29세

28,841

29,856

21,684

22,544

31,046

1.9%

30_39세

71,851

70,844

62,956

66,090

76,212

1.5%

40_49세

352,314

365,369

356,664

358,906

393,018

2.8%

50_59세

1,726,875

2,006,375

1,997,298

2,102,490

2,329,948

7.8%

60_69세

8,794,982

10,009,758

9,179,930

8,903,625

9,650,408

2.3%

70_79세

31,334,585

38,337,863

39,517,984

43,043,189

48,364,125

11.5%

80세이상

30,446,455

39,925,395

44,250,389

52,295,005

64,589,184

20.7%

소계

72,763,239

90,751,667

95,392,703

106,797,803

125,438,163

14.6%

합계(리바스티그민 제외)

107,224,999

132,667,403

138,066,677

153,939,585

180,129,105

13.8%

 

 

 

 

 

 

우울증 치료제 계열별 사용현황

 

 

성분별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0-2014년 CAGR

도네페질(donepezil)

77,375,423

99,604,565

108,093,617

127,156,369

152,965,022

18.6%

메만틴(memantine)

14,888,557

16,968,992

15,831,965

14,725,374

15,984,793

1.8%

갈란타민(galantamine)

14,961,018

16,093,846

14,141,096

12,057,842

11,179,290

-7.0%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심평원 코드 미등록

6,500,090

합계(리바스티그민 제외)

107,224,999

132,667,403

138,066,677

153,939,585

180,129,105

13.8%

분석결과, 지난해 기준 처방액(원내+원외)은 전년(1539억원) 보다 17.0% 증가한 1801억원에 달했다. 5년 전인 2010년(1072억원)과 비교하면 68.0% 증가한 금액이다. 한해 평균 처방액은 1424억원이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13.8%였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증상 완화제는 크게 도네페질(donepezil), 메만틴(memantine),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등 4가지 계열의 약물이 있다.


대표적인 약물은 도네페질이다. 이 약물의 지난해 처방액은 1530억원으로 전체 시장의 84.9%를 점유했다. 2010년 72.2%였던 점유율이 연평균 18.6%씩 증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도네페질 성분의 오리지널 제품은 에자이사의 '아리셉트'라는 약물이다.


이어 메만틴(8.9%), 갈란타민(6.2%) 순으로 처방액이 많았다. 리바스티그민은 2014년 통계만 확인이 가능한데다가 사용량도 미미해 이번 집계에서 제외했다.


연령별로는 남성은 70대(43.3%), 여성은 80세 이상(51.5%)에서 처방 비중이 높았다. 특히 여성은 80세를 넘으면서 약물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 사용 비중도 남성(30.4%)보다 여성(69.6%)에서 압도적으로 높았다.


최성규 수석연구원은 "치매는 아직 치료제가 없어 질환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완화제를 사용하고 있다"며 "인구 고령화와 맞물려 앞으로 관련 약물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피할 수 없는 더위, “물·그늘·휴식으로 온열질환 예방해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5월 2일(금)부터 5일(월)까지 청주시 농업기술 센터에서 개최되는 “2025 청주시 도시농업 페스티벌”에 폭염 대비 온열질환 예방수칙 홍보부스를 운영한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온열질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80.1%가 논밭 등 야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상청 3개월 전망에 따르면, 5월, 6월, 7월 기온 모두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여름철을 앞두고 야외활동과 농작업이 많아지는 시기에 농업인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제적으로 예방수칙을 안내하고자 현장 홍보를 실시한다. 페스티벌 기간 동안 홍보부스를 운영하여, 온열질환 예방수칙이 부착된 생수와 홍보물을 제공하고, QR코드를 통해 카드뉴스 형태의 예방수칙을 안내한다. 또한 기후보건 인식도 조사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온열질환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실천을 유도할 계획이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물), ▲시원한 곳에서 지내며(그늘),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용인세브란스병원 ,성별 따른 심장혈관 최소 절개 시술법 안전성 입증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김용철‧이오현‧노지웅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박사 연구팀은 최소 절개 시술법인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해 시술을 받은 환자의 성별에 따른 시술 부위 합병증 발생을 비교해 결과를 발표했다.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손등의 작은 혈관을 통해 시술하는 방법으로, 시술 후 혈관 폐색 위험이 낮고 지혈이 쉬워 출혈 등 시술 부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해 여성은 남성에 비해 심장혈관 스텐트 시술 후 출혈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더 나아가 이번 연구는 스너프박스 접근법에서 성별에 따른 안전성을 대규모 데이터 기반으로 비교해 실질적인 임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연구팀은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해 스텐트 삽입술을 포함한 심장혈관 시술을 받은 4,608명을 분석했다. 분석에는 국내 14개 병원이 참여한 대규모 다기관 등록 데이터(KODRA)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 전체 시술 부위 이상 반응 발생률은 여성(7.5%)이 남성(4.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다변량 분석 결과 여성은 시술 부위 출혈 및 합병증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됐다. 다만 대부분은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