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소비자들이 콘택트렌즈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콘택트렌즈의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보는 일반 콘택트렌즈나 컬러콘택트렌즈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부작용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주요내용은 ▲콘택트렌즈 올바른 사용방법 ▲콘택트렌즈 관리방법 ▲부작용 및 신고방법 등이다.
〈콘택트렌즈 올바른 사용방법〉
콘택트렌즈는 장시간 착용하면 각막에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각막이 붓거나 상처가 생기기 쉽고, 세균 등에 감염될 수도 있으므로 정해진 시간 내로 착용해야 한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는 먼저 손을 깨끗이 닦고 사용하고, 다른 사람이 착용했던 렌즈를 사용하게 되면 세균 감염 등으로 눈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돌려쓰지 말아야 한다.
물 등에 접촉할 경우 미생물에 의한 바이러스 등 각종 병원균의 감염 확률이 높아지므로 수영이나 목욕 시에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바른 처방을 위해 시력 검사, 눈의 질환 여부 등에 대해 안과 전문의의 진단을 받은 후 구매해야 한다.
〈콘택트렌즈 관리방법〉
콘택트렌즈 세척 및 보관 시 사용하는 렌즈 세척액이나 관리용액은 해당 사용 목적으로 허가된 제품을 사용하고, 한 번 사용했던 관리용액은 재사용하지 않는다.
세척 시 먼지 등 이물을 제거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대한 살균‧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용 세척액을 2~3방울 떨어뜨린 후 렌즈의 앞뒤 면을 부드럽게 문질러 세척해야 한다.
렌즈케이스는 흐르는 물로 매일 깨끗이 세척하고, 뚜껑을 열어둔 상태에서 완전히 자연 건조시켜 사용하며, 최소 3개월에 한번 교체해 주는 것이 적절하다.
-전국 16개 종합병원에 운영 중인 '의료기기 안전성정보 모니터링센터'
연번 | 지역 | 기 관 명 | 센터장 |
1 | 서울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최영득 |
2 | 삼성서울병원 | 함태수 | |
3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이흥만 | |
4 | 부산 | 부산대학교병원 | 권재영 |
5 | 대구 | 영남대학교병원 | 김성호 |
6 | 인천 | 인하대학교병원 | 김규성 |
7 | 광주 | 전남대학교병원 | 이지범 |
8 | 울산 | 울산대학교병원 | 고상훈 |
9 | 경기 |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권범선 |
10 | 아주대학교병원 | 원예연 | |
11 |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 이유경 | |
12 | 강원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 | 김성훈 |
13 | 충북 | 충북대학교병원 | 최의성 |
14 | 충남 | 단국대학교병원 | 김석곤 |
15 | 전북 | 전북대학교병원 | 고명환 |
16 | 전남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정용연 |
〈부작용 및 신고방법〉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눈이 불편하거나 충혈, 따가움, 이물감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렌즈를 즉시 제거하고 안과전문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통증, 충혈, 이물감, 염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면 인터넷이나 전화, 서면으로 식약처에 신고할 수 있다.아울러 전국 16개 종합병원에 운영 중인 「의료기기 안전성정보 모니터링센터」를 통해서도 부작용 신고를 할 수 있다.
식약처는 이번 안전사용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안전하고 올바른 콘택트렌즈의 사용에 도움이 될 것이며,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반드시 정해진 관리 방법과 주의사항을 꼼꼼히 읽어본 후 사용할 것을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