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어깨충돌증후군이란?

머리 위로 팔 들어 올릴 때 바늘로 쿡쿡 쑤시는 듯한 어깨통증 느껴지면 어깨충돌증후군 의심해 봐야

지난 주말 거래처 사람들과 골프를 즐기던 사업가 윤모씨(43세)는 스윙을 할 때마다 어깨 통증이 느껴져 중도에 라운드를 포기했다.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단순 근육통이라 생각한 윤모씨는 골프를 나가지 않는 것은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도 어깨 사용을 자제하며 휴식을 취해왔다.
                  
하지만 나아지기는커녕 어깨를 들어 올리기만 해도 삐걱삐걱 소리가 나고 밤에는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어깨 통증이 심해져 결국 병원을 찾았다. 진단결과 ‘어깨충돌증후군’이었다.
 
최근 윤모씨처럼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크고 작은 부상을 당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특히 야구, 골프, 테니스 등 대부분의 스포츠가 어깨를 많이 사용하게 돼 이로 인한 어깨관절 질환 환자도 급증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어깨질환이 어깨충돌증후군이다.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의 볼록한 부분인 견봉과 팔의 위쪽 뼈인 상완골 사이가 좁아지면서 어깨를 움직일 때마다 어깨힘줄이 충돌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를 방치하면 뼈 사이에 있는 힘줄까지 손상될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어깨충돌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팔을 머리 높이, 또는 머리 위로 들어 올릴 때 어깨를 바늘로 쿡쿡 쑤시는 듯한 통증이다. 때문에 옷을 입거나 벗을 때 또는 샤워를 할 때 등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게 된다.
 
또 팔을 움직일 때마다 어깨 속에서 무언가 걸리는 듯한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낮보다 밤에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 심한 경우 윤모씨처럼 잠을 이루기 힘들다.
 
어깨충돌증후군 치료는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달라지는데 초기에는 운동요법이나 보존요법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 힘줄이 파열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봐야 한다.
 
어깨충돌증후군의 대표적인 수술로는 관절내시경 수술이 있다. 이 수술법은 말 그대로 관절의 손상부위에 작은 내시경 카메라를 삽입해 손상부위를 눈으로 보면서 치료하는 수술이다. 내시경을 통하여 관절의 손상 부위를 확인하고 통증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최소침습으로 수술이 이루어져 흉터가 거의 없고 감염이나 출혈로 인한 합병증 발병 위험도 낮아 고령이나 만성질환 환자에게도 부담 없는 수술법이다. 수술 시간도 20분 내외로 짧아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참튼튼병원 노원지점 정재현원장은 “최근 스포츠 활동이 많아지면서 어깨질환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어깨충돌증후군은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방치하여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어깨뼈와 힘줄이 지속적으로 충돌하면 힘줄이 손상돼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다른 어깨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