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에 거주하는 이모씨(52세)는 "올 초부터 갑작스런 짜증과 분노가 치밀면서 감정조절이 잘 안되고, 얼굴이 화끈거리면서 추웠다 더웠다가 반복돼 생활이 불편하다"고 호소한다. 더불어 " 수시로 바뀌는 감정변화 때문에 가족들과 말다툼의 횟수도 늘어나고 이로 인해 서운함도 커져 우울감에 빠지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이렇듯 중년의 사춘기인 갱년기가 되면 변덕스러운 감정변화와 다양한 신체적 변화에 혼란을 겪게 된다.
폐경과 함께 여성 호르몬의 분비량이 줄어들어 나타나는 갱년기,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얼굴과 목이 붉어지는 안면홍조와 열감을 꼽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발한, 피로감, 수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여성’으로써의 삶이 끝났다는 생각에 감정적으로 예민해지고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갱년기 증상은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질병은 아니다. 그러나 갱년기 증상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다
갱년기 증상을 극복하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호르몬 치료다. 이는 갱년기 증상의 원인이 여성 호르몬 부족이기 때문에, 폐경으로 결핍된 여성호르몬을 외부에서 보충해 주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호르몬 치료의 효과는 안면홍조를 치료하고 숙면을 돕고, 정신적 증상이 호전된다. 또한 근골격계, 비뇨생식기계 질환을 예방, 치료하고 피부 및 유방의 탄력을 유지시켜 준다. 특히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의 예방은 초기 폐경기에 호르몬 요법을 시행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여성들은 호르몬 치료에 대한 막연한 오해와 불안감으로 치료를 받지 않고 있다.
# 호르몬 치료를 하면 심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NO!!
호르몬 치료는 60세 이하, 폐경 후 기간이 10년 이내인 건강한 여성이 처음 시작할 경우 오히려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호르몬 치료를 하면 뇌졸중의 발생위험이 증가한다? NO!!
60세 미만의 건강한 폐경 여성은 뇌졸중 발생 위험도 자체가 매우 낮으며, 가족력이나 과거력, 동반 질환이 없는 사람은 안심해도 된다.
# 호르몬 치료를 하면 유방암 발생률 증가한다? NO!!
호르몬제를 5년 이상 복용 시 복용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약 1천 명당 1명꼴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가족력이나 과거력, 비만 등 유방암 위험인자가 없는 여성은 무시해도 될 정도의 수치이다.
조은여성의원(경기도 구리시 소재) 조영열 대표원장은 " 의학적으로 호르몬 치료는 분명 폐경 여성의 증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치료를 시작하는 데 두려움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다"며 "하지만 많은 연구를 통해 안정성이 확립된 상태이므로, 호르몬 치료에 있어 단점보다 장점이 많고 폐경 후의 삶의 질을 올리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되므로 갱년기의 증상들을 방치하지 말고 조기에 호르몬 치료를 받기를 권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