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실험동물의 현재와 전망’국제 심포지엄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식‧의약 안전평가를 위한 실험동물 개발‧활용에 대한 최신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실험동물의 현재와 전망’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오는 11월 24일 프레지던트 호텔(서울시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일곱 번째를 맞는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연구자 등에게 실험동물에 관한 최신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실험동물 대학, 연구소, 산업계 등 전문가 100여명이 참여한다.


참고로 안전평가원은 ‘14년 질환모델동물 개발에 착수하여 의약품 개발 및 평가에 활용 가능한 폐암, 비만, 당뇨병 등 질환모델 34종을 개발하였다


세계 질환모델 마우스 시장규모는 ‘13년 6억 달러(약 6천억원)에서 ’18년 8억 달러(약 8천억원)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보건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실험동물은 연간 약 2백만 마리(‘15년 기준)이다.


국제 심포지엄 주요내용은 ▲최신 영상기법을 이용한 동물모델의 평가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동물모델 개발 ▲세계 실험동물시장의 현재와 변화 ▲의약품 효능 검색을 위한 실험동물 역할 등이다.


특히 사람의 병이나 질병을 진단하는데 사용하는 MRI나 CT 같은 영상장비를 이용하여 동물이 살아있는 상태로 약물 등에 의한 독성 발생여부, 질병 진행 정도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평가하는 실험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3세대 유전자가위기술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4세대 ‘Cpf1효소 장착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질환모델 동물 개발에 대한 내용도 발표된다.


안전평가원은 이날 행사에서 이번 심포지엄은 최신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실험동물에 대한 최신 동향을 파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실험동물을 활용한 국내 식‧의약품 평가 기술이 한 단계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실험동물의 현재와 전망

(The Present and Perspective of Laboratory Animal)

시 간

주 제

연 자

10:00 ~ 10:30

‘30

등록

(Registration)

 

10:30 ~ 10:40

‘10

인사말씀

(Greeting)

손 여 원 원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Yeowon Sohn

(Director General of NIFDS)

10:40 ~ 11:20

‘40

의약품 안전성 평가와 실험동물

(Safety Evaluation of Drug and Laboratory Animal)

한 범 석 교수

(호서대학교)

Beom-Seok Han(Hoseo University)

11:20 ~ 12:00

‘40

의약품 효능 검색을 위한 실험동물의 역할

(Roles of Laboratory Animal for Drug Efficacy Evaluation)

송 창 우 박사

(안전성평가연구소)

Chang-Woo Song(Korea Institute of Toxicology)

12:00 ~ 13:30

‘90

점심시간(Lunch Break)

13:30 ~ 14:10

‘40

세계 실험동물 시장의

현재와 변화

(Current and Changes of Global Laboratory Animal Markets)

Richard Charnsun Lee

(Technical Director,

Hylasco Biotechnology)

14:10 ~ 14:50

‘40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변형 동물모델 개발

(Generation of Animal model by Cpf1 Mediated Gene Targeting)

백 인 정 교수

(서울아산병원·울산의과대학교)

In-Jeoung Baek(Asan Medical Center·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14:50 ~ 15:20

‘30

휴 식(Coffee Break)

15:20 ~ 16:00

‘40

최신 영상기법을 이용한

동물모델의 평가

(Evaluation of Animal Model using Non-invasive Imaging Technology)

김 충 용 센터장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Choong-Yong Kim(DGMIF)

16:00 ~ 16:40

‘40

실험동물 활용의 패러다임 전환

- 실험동물자원은행

New Paradigm of Laboratory Animal Use

- Laboratory Animal Resources Bank

김 미 경 연구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Mi-gyeong Kim(NIFDS)

16:40 ~ 17:00

‘20

질의 및 토론

Question and Discussion

정 면 우 과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Myeon-Woo Chung(NIFDS)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