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용각산쿨,‘미세먼지에 효과' 마케팅 강화

보령제약,신규광고 모델로 배우 박진주 발탁 온에어

이번엔 미.소.룡이다.


보령제약(대표 최태홍)의 가래기침 해소 의약품 용각산쿨이 ‘미세먼지. 소탕엔. 용각산쿨 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새로운 광고를 온에어 했다.


이번 광고는 ‘황미용‘편의 뒤를 이어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으로 신선함을 준다. 깜찍한 모습의 ‘미.소.룡‘으로 등장하는 박진주와 기존 모델 이동휘의 조합은 절제된 위트와 스타일리시한 B급 감성이 묻어나 독특한 느낌을 준다..


미세먼지는 더 이상 봄철의 불청객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이어지며 기관지 질환 등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용각산쿨 신규광고는 환경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초점을 맞춰 미세먼지를 소탕하는 ‘미소룡‘ 캐릭터로 시선을 모으고 있다.


용각산쿨 신규광고 모델로 발탁된 배우 박진주는 ‘이소룡‘을 패러디한 ‘미.소.용‘ (미세먼지. 소탕엔. 용각산쿨)으로 완벽 변신했다. 미세먼지에 뒤덮여 괴로워하는 이동휘를 위해 용각산쿨 쌍절곤을 휘두르며 미세먼지를 깨끗하게 소탕한다. 미세먼지를 소탕하는 미소용 박진주의 모습은 보는 이를 웃음짓게 한다.


용각산쿨은 지난해 감각적인 패러디 광고를 통해 젊고 세련된 이미지를 전달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데 이어, 2차 광고 '황.미.용(황사. 미세먼지엔. 용각산쿨)‘편을 통해 용각산쿨의 효능과 효과를 감각적으로 전하며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보령제약은 배우 이동휘, 배우 박진주를 모델로 내세운 젊은 감각의 광고로 3040세대는 물론 잠재 고객인 20대에게 용각산쿨에 대한 브랜드 친밀도를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보령제약은 박진주 인터뷰 영상도 공개했다. 미소용 역할을 맡은 박진주는 “용각산쿨 모델이 되어 영광스럽다“고 소감을 밝히며, “목을 많이 쓰는 직업이라 용각산 쿨을 자주 먹고 있다. 목이 뻥 뚫리는 느낌을 주는 용각산 쿨을 앞으로 더 애용할 것 같다“며 용각산쿨에 대한 애정을 내비쳤다. 배우 박진주의 인터뷰 영상은 유튜브(https://youtu.be/PYhhbhIida0)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용각산쿨은 휴대가 간편한 1회용 스틱 포장의 과립형으로 간편하게 섭취 할 수 있으며 타액으로 쉽게 용해된다. 기존의 용각산보다 함량을 높인 길경가루, 세네가, 행인, 감초에 인삼과 아선약도 추가됐다. 순수 생약성분의 주성분들은 기관지 내부에서 점액의 분비를 높이고 섬모운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미세먼지로 자극 받은 목의 자정작용을 높이는데 탁월한 효능•효과를 가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