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흐림동두천 6.0℃
  • 맑음강릉 12.1℃
  • 흐림서울 8.1℃
  • 맑음대전 4.0℃
  • 구름많음대구 5.7℃
  • 흐림울산 10.4℃
  • 구름조금광주 5.9℃
  • 흐림부산 11.8℃
  • 맑음고창 3.6℃
  • 구름많음제주 13.5℃
  • 맑음강화 6.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1.1℃
  • 구름많음강진군 5.5℃
  • 구름많음경주시 10.3℃
  • 흐림거제 10.3℃
기상청 제공

유방암 환자 10년새 2배 증가

2기 이내 유방암인 경우 생존율 90% 넘어, 조기발견 중요

유방암은 중년 여성들에게 가장 친숙하면서도 위험한 질환이다. 2012년 기준, 전 세계 유방암 환자수는 170만 명이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현재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 암 중에서도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환자가 많다. 환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로 한국유방암학회에 따르면 2000년 여성 인구 10만 명당 26.3명이던 유방암 환자 수는 2013년에 79.8명으로 13년 만에 3배나 늘었으며, 통계청의 암등록 통계에서도 유방암 발생자수가 2004 9215명에서 2014 18381명으로 약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매년 유방암 환자가 늘어나는 원인으로는 비만 인구 확대와 늦은 결혼, 고령 임신,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 등이 꼽히며, 최근에는 20대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매우 높아졌다는 조사결과도 있어 유방암은 이제 여자라면 누구나 걱정해야 하는 질병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유방암이 발견됐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는 없다. 0~4기로 구분되는 유방암은 2기 이내 발견할 경우 생존율이 90%가 넘어 일찍 발견한다면 완쾌될 가능성이 높다.

 

유방암은 엑스레이와 초음파를 이용한 ‘유방촬영’으로 선별한 뒤 세포 검사나 조직 검사로 진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유방암 선별에 있어 엑스레이와 초음파 둘 다 시행하게 되는데, 이는 유방에 미세 석회 즉 칼슘성분이 침착 되어 있을 경우 이 미세석회는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서만 식별이 가능하고, 우리나라 여성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치밀 유방의 경우 엑스레이 촬영으로는 허옇게만 보이고 종양의 유무를 판단할 수 없어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유방암 검진을 위해 엑스레이와 초음파 검사 둘 다 시행이 꼭 필요하다.

 

유방암 선별 뒤 세포 검사와 조직검사로 확진 하게 되는데, 주사기로 세포를 흡인해 검사하는 방식인 세포검사는 암세포를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직학적 특성을 판단하긴 어려워, 세포 검사로 유방암이 진단됐다 하더라도 유방 조직의 일부를 생검용 바늘로 떼어내 검사하는 조직검사를 겸해 확진 하는 게 좋다

 

이와 더불어 자가 검진도 하나의 진단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거울 앞에 서서 양팔을 옆으로 내린 상태에서 양쪽 유방의 크기, 모양의 변화, 종괴, 피부나 유두의 부종, 함몰 등에 대해 양쪽을 비교하고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린 상태와 양 허리에 댄 상태에서 살펴보면 된다. 자가 검진의 시기는 월경 시작 후 5~10일이 경과한 후가 가장 좋으며 폐경 후에는 한 달에 한번씩 자가검진을 하는 것이 좋다.

 

조영열 대표원장(산부인과 전문의)은 40세 이상 여성이라면 1년에 한번씩 엑스레이와 유방 초음파 검사를 통해 유방건강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유방암 예방을 위해 꾸준한 운동을 통한 적정 체중 유지가 필요하고 과음이나 흡연은 자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위험도 높은 식품에 정밀검사 집중... 검사업무 효율화 및 안전관리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위해도가 높은 수입식품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가공식품 중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을 내년 1월부터 수입 통관검사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은 ▲축적된 과거 부적합 내용, 원재료 등 ‘수입식품 검사 정보’ ▲기상, 수질 등 ‘해외 환경 정보’ ▲회수, 질병 등 ‘해외 위해정보’를 융합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하여 부적합 가능성(위험도)이 높은 식품을 통관 과정에서 자동으로 선별하는 모델이다 기술발전, 환경오염 등 식품안전 위협 요인이 복잡·다양해지고 수입식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식약처는 ’23년부터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7개 품목별** 위해요소의 특징을 반영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고위험 식품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하기 위해 ’24년 12월부터 가공식품 중 과자류·조미식품의 통관단계 무작위검사***대상을 선별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올해 개발된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은 12월까지 시범운영하면서 시스템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한 후 내년 1월부터 수입식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바이엘 코리아-종근당, "심장과 콩팥은 운명 공동체" 캠페인 전개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세계 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당뇨병 환자에서 심장-콩팥 합병증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리는 '심콩검진' 인식 증진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케렌디아가 2형 당뇨병 동반 만성 신장병 적응증에 이어 최근 만성 심부전 환자(LVEF 40% 이상) 대상 적응증까지 확대됨 에 따라 당뇨병 환자에서 심장과 콩팥의 통합적 관리 중요성을 알리고자 기획됐으며, 2024년부터 케렌디아의 공동판매를 맡고 있는 국내 파트너사인 종근당과 함께 진행했다. 바이엘 코리아와 종근당 임직원은 여의도공원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장과 콩팥은 운명 공동체, 당뇨병 합병증으로 심쿵 말고, 정기적으로 심(장)콩(팥)검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통해 당뇨병 환자에서의 정기적인 심장과 콩팥 검진의 필요성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렸다.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 조절의 문제만이 아닌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콩팥 질환, 망막 질환 등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데이터에 따르면, 말기 콩팥병 원인 질환의 48%를 당뇨병이 차지하고 있으며 , 심부전 환자의 65.5%가 당뇨병, 16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담낭절제술의 진화, 로봇수술,새로운 표준 되나 대부분 담낭질환은 증상이 거의 없이 진행된다. 통증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담낭에 돌(담석)이나 용정이 생긴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담낭질환으로는‘담석증, 담낭염, 담낭용종, 담낭암 등이 있으며, 치료를 위해서는 담낭 전체를 제거하는 ‘담낭절제술’ 이 시행된다. 담낭은 간. 담도, 혈관 등 주요 구조물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어, 수술 시 정교한 조작과 세밀한 시야 확보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기존 복강경수술의 한계를 보완한 로봇 수술이 확산되면서 수술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외과 이병모 전문의는 “로봇담낭절제술은 기존 개복 및 복강경수술의 단점을 보완한 차세대 수술법”이라며 “손 떨림 없는 미세 조작이 가능해 출혈과 합병증 위험을 최소화하고, 통증이 적으며 회복이 빨라 환자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고 전했다. 단순 소화불량 증상? 담낭 ‘이상 신호’일 수도담낭은 간 아래에 위치한 작은 주머니로, 담즙을 저장, 농축, 배출해 소화를 돕는다. 담낭이나 담관에 돌이 생기면 ‘담석증’, 담낭 벽에 혹이 생기면 ‘담낭용종’, 염증이 생기면 ‘담낭염’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염증이 반복되거나 만성화되면 ‘담낭암’으로 이어질 위험도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