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암예방 가능하다’인식 크게 향상 됐지만,생활습관 개선은 숙제

암예방의 날 맞아 서울대 방영주 교수에 훈장 등 100명에 대해 시상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3. 21일(화) 10시 「제10회 암 예방의 날」 기념식(장소: 중소기업중앙회 대회의장)을 개최하고, 관련 유공자 및 종사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암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건강 생활 실천을 다짐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행사에서는 방영주 서울대학교 교수(근정훈장), 백승운 성균관대학교 교수(근정포장) 및 박흥규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근정포장)를 비롯한 총 100명에게 시상*이 이루어졌다.
  

방영주 서울의대 교수는 신규 항암제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 수행, 수술 후 보조화학요법 연구 등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위암 치료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아 근정훈장을 수상하였다.

 

간암의 신규 치료법 도입 등 간암 치료와 임상 연구를 위해 노력해온 백승운 성균관의대 교수와, 유방암 치료와 연구, 교육, 유방암 인식개선 및 생존자 관리에 기여한 박흥규 가천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각각 근정포장을 수상하였다.

 

또한 국립암센터(원장 : 이강현)는, 「제10회 암 예방의 날」을 맞이하여, 그동안 수행해온 ‘암예방 인식 및 실천 행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에 따르면 암예방이 가능하다는 인식은 지난 10년간 크게 개선되었고 예방 수칙을 실천하고 있는 경우의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국민 암예방 수칙 인식 및 실천 행태 조사 연도별 조사 설계 및 개요

년도

모집단

표본크기

표본추출방법

표본추출기준

표본오차

조사방법

조사 기간

조사기관

2007

전국(제주 제외)의 만 19이상 남녀

1,000(유효표본)

연도별로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역별, 성별, 연령대별, 인구비례에 의한 표본수 할당 후 무작위 추출

2007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 (통계청, 200612월 기준)

95% 신뢰수준

± 3.1%

가구 방문을 통한 1:1 면접조사

2007111~19

한국갤럽

2008

1.003(유효표본)

2008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 (통계청, 200712월 기준)

20081212~ 31

2009

1.004(유효표본)

2009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 (통계청, 200812월 기준)

20091221~2010112

2010

전국의 만 19이상 남녀

1,006(유효표본)

2010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 (통계청, 200912월 기준)

20101215~ 201115

한국리서치

2012

1,000(유효표본)

2012년 주민등록 인구 통계 (통계청, 201112월 기준)

95% 신뢰수준

± 3.2%

20121022~ 1112

현대리서치

2014

1,200(유효표본)

20149월 주민등록 인구 통계

95% 신뢰수준

± 2.8%

20141113~ 1212

매트릭스

2016

1,200(유효표본)

20166월 주민등록 인구 통계

95% 신뢰수준

± 2.9%

201675~ 84

 ‘암은 예방이 가능하다’ 는 인지율은 2007년 53.0%에서 2016년 66.8%로 늘었고, ‘암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의 실천을 결정하였거나 이미 구체적인 노력을 하는 경우’인 암예방 실천률*도 2007년 39.3%에서 2016년에는 49.9%로 증가하였다.


2007년 제정하여 작년 음주 및 예방접종 부분을 개정한 ‘국민암예방수칙’에 대한 인지도와 신체활동과 절주*, 식이를 제외한 10대 수칙 항목별 실천률도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암예방수칙 항목별 실천률 변화

수칙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2

2014

2016

담배를 피우지 말고,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도 피하기

77.0

78.0

76.9

79.4

75.6

81.3

77.6

채소와 과일을 충분하게 먹기

67.83)

71.6

68.1

75.4

71.0

72.5

69.3

다채로운 식단으로 균형잡힌 식사하기

54.8

60.7

65.1

66.5

58.0

60.1

음식을 짜지 않게 먹기

78.03)

74.1

77.1

76.8

73.9

72.4

78.3

탄 음식을 먹지 않기

92.4

92.3

93.1

86.6

91.7

87.8

암예방을 위해서는 하루 한두 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기1)

69.1

61.3

60.3

65.0

57.2

60.4

56.4

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하기

55.1

46.3

54.0

61.9

65.0

61.6

54.0

자신의 체격에 맞는 건강 체중 유지하기

59.6

74.7

75.6

84.7

73.2

76.7

74.3

예방접종 지침에 따라 B형 간염과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받기2)

52.9

61.4

54.7

59.8

62.7

65.8

59.5

성매개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안전한 성생활 하기

25.4

54.7

58.4

57.6

50.6

54.2

54.8

암 예방을 위한 10대 수칙인 ‘국민암예방수칙’ 인지도는 상승하여 2007년 45.6%에서 2016년 68.5%까지 증가하였다.그러나 신체활동 실천율은 2007년 55.1% 대비 감소하여 2016년 54.0%로 나타났다. 특히 구체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실천율의 절반 수준인 25.7%에 불과하여 실천의지는 높으나 실행과 유지는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주의 경우에도 실천율이 2007년 69.1% 대비 2016년 56.4%까지 감소하여 음주에 대한 예방 수칙을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실천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항목에서 균형잡힌 식사를 하는 분율은 연도별 차이가 있으나 2008년 54.8%에서 2016년 60.1%로 증가하였고, 음식을 짜지 않게 먹는 분율도 2008년 74.1%에서 2016년 78.3%로 증가하였으나,

  

채소나 과일을 충분하게 먹는 비율은 2008년 71.6%보다 낮아져 2016년 69.3%로 나타났으며, 탄 음식을 먹지 않는 비율도 2008년 92.4%에서 2016년 87.8%로 낮아져 실천을 위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