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테라큐민, 장노년층 기억력, 주의력 및 우울감 개선 효과 주목

테라큐민(커큐민)의 경도인지장애(MCI)를 포함한

 

‘테라큐민’의 경도인지장애(MCI)를 포함한 비치매 장노년층 기억력, 주의력 및 우울감 개선 효과가 국제 학술지를 통해 다시 한번 발표됐다. 테라큐민은 강황(울금)에서 추출한 커큐민의 단점인 낮은 체내 흡수율을 보완하기 위해 커큐민을 0.0005mm[1] 서브마이크론 입자 형태로 바꿔 체내 흡수율을 28[2] 높인 성분이다.

 

지난 19일 국제 학술지인 미국노인정신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온라인판 최신호에는 UCLA 노화연구소의 개리 W. 스몰(Gary W. Small) 박사 팀의 테라큐민(커큐민)의 경도인지장애(MCI)를 포함한 비치매 장노년층 기억력, 주의력 및 우울감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가 등재됐다.[3]

 

미국노인정신의학저널은 미국, 캐나다를 비롯한 전 세계 노인정신의학자 및 기타 헬스케어 전문가들이 회원으로 활동 중인 미국노인정신의학협회(AAGP, American Association of Geriatric Psychiatry)가 월간 발행하는 노인정신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다.

 

해당 연구는 작년 7월 런던에서 개최된 치매 연구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포럼인 2017 국제 알츠하이머 학회에서 테라큐민이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한 비치매 장노년층의 기억력, 주의력 및 우울감 개선 효과가 있다고 발표[4]되며 주목 받았다.

 

이 연구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있거나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51세에서 84세 남녀 총 40명을 대상으로 총 18 개월 동안 실시됐다. 피험자들은 ‘테라큐민(Theracurmin®, curcumin 90mg)’을 1 2회 섭취한 그룹과 같은 용량의 플라시보를 섭취한 그룹으로 나뉘어 6개월마다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주의력 및 우울감 측정 검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테라큐민 섭취군은 언어 및 시각 기억력 개선 효과는 물론 주의력 향상에도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플라시보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특히, 장기 언어 기억력(SRT Consistent Long-Term Retrieval scores) 측정결과와 주의력 결과는 플라시보 군과 비교해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우울감 평가 점수(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도 테라큐민 섭취군에서 개선된 반면 대조군은 좋아지지 않았다.

 

18개월 뒤 최종적으로 뇌의 단층 촬영(PET)을 통해 신경세포독성물질 형성에 대한 테라큐민(커큐민)의 영향을 평가했다. 신경세포 독성물질인 아밀로이드 플라그(amyloid plaque)의 양과 타우 단백질(tau protein tangle) 응집 현상이 증가하면 초기 알츠하이머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뇌 단층 촬영은 치매 진단을 위한 화학물질인 FDDNP를 사용했으며, FDDNP는 신경세포 독성물질과 결합하는 화학물질로 결합 정도를 분석해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테라큐민 섭취군은 뇌의 편도체 부위에서 신경세포독성물질과 FDDNP와의 결합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 시상하부 부위에서 테라큐민 섭취군에서는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플라시보군에서는 신경세포독성물질과 FDDNP와의 결합 수준이 증가함을 보여 두 군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의 편도체와 시상하부는 기억과 감정적 기능을 조절하는 부위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테라큐민(커큐민)이 기억력과 주의력 개선은 물론 기분을 좋게 하는 우울감 개선 효과의 가능성 또한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을 이끈 개리 W. 스몰(Gary W. Small) 박사는 UCLA 노화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저명한 정신과 의사이자 뇌 과학자이다. 170여 년 전통의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서 뽑은 과학기술 분야의 세계적 개척자 50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경희대한방병원 정원석 교수, 한의의료기관 감염관리 표준 매뉴얼 개발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정원석 교수가 이달 1일,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한의의료기관 감염관리 표준 매뉴얼’ 개발에 책임연구자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표준매뉴얼은 한의의료기관을 위한 최초의 정부 발행 감염관리 지침이다. 책임연구자인 정원석 교수를 비롯해 한의학전문가, 감염관리 실무자 등으로 구성된 개발위원회가 초안을 작성했으며, 감염관리 지침 개별 경력이 있는 감염내과 교수들의 검토를 거쳐 완성됐다. 매뉴얼에는 감염관리 일반지침은 물론 한의의료기관의 현실과 특성을 반영해 침, 부항, 뜸, 추나 등 주요 한의의료시술의 개요, 시술 시 감염 위험요인 및 감염예방 수칙 등이 담겨있다. 특히,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감염관리 관련 용어 정의도 함께 제시했다. 정원석 교수는 “감염관리는 의료 질 향상 및 환자·의료기관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의료안전의 필수요소로서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며 “침, 뜸, 부항 등 한의의료시술을 중심으로 진료가 진행되는 한의의료기관에 맞춤화된 만큼, 국내 한의원 및 한방병원 등의 감염관리 강화에 도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원석 교수는 경희대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진료과장, 한방비만학회 회장 및 사단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