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식약처와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이 ’17년도 수행한 연구개발사업(R&D) 성과를 홍보·확산하기 위하여 ‘우수성과 전시 및 발표회’를 3월28일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 후생관(충북 오송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ㅡ 주요 식·의약 안전기술 목록

성과발표회는 식약처와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이 수행한 연구과제의 우수한 성과를 공유하여 식의약 안전관리에 활용하고 식의약 안전관리 방향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마련되었다.
평가원은 식품과 의료제품의 과학적 평가를 통해 국민이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관리 기술개발, 인체에 사용하는 제품의 종합적 위해평가, 독성·약리·임상 평가기술 개발 등 다양한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내용은 ▲식약처와 시도보건환경연구원의 ’17년도 우수성과에 대한 시상 ▲R&D 주요성과 및 ‘18년 연구추진방향 소개 ▲분야별 포스터 및 홍보관 전시 ▲‘4차 산업혁명, 식품·의약품 인사이트’ 주제로 한 초청강연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 지난해 개발된 주요 식의약 안전기술은 ▲식중독 유발 미생물 동시검출법 개발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 선제적 평가기술 개발 ▲오남용 우려 신종마약류 선제적 안전관리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등이다.
병원성대장균(5종), 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 등 총 17종(35개 유전자)의 세균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하여 평창동계올림픽 등 각종 국제행사 식재료 사전검사나 식중독 원인조사 시 신속하고 정확히 검사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복강경 기반 로봇수술기, 정밀치료용 Vision 영상장치 등 신개발 의료기기 8개 품목에 대한 안전성 및 성능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였다.
메톡세타민, 메치오프로파민 등 새롭게 등장하는 신종 마약류가 실제 의존성이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함으로써 WHO가 이들 물질을 ‘UN마약류’로 지정하여 전 세계에서 통용을 금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체조직모델’을 활용한 ‘안자극 평가법’을 개발하여 화장품 등에 사용하는 새로운 원료의 안전성 평가에 토끼 등 동물 대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