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뒤늦은 조치?....정제대두유 함유 주사제, 정맥 투여 후 사망 사례, 폐혈관 내 지방축적 등 부작용 경고

식약처,‘스모프리피드20%’주사제 사용상의 주의사항 변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처장 류영진)은 경구 등으로 영양공급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영양공급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제대두유 함유 주사제 ‘스모프리피드20%주’ 등 49개 품목의 허가사항(사용상의 주의사항)에 ‘약물 투여 후 미숙아 사망 사례가 문헌으로 보고되었다’고 경고하는 내용 등을 반영하여 변경허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허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해당 약물에 대한 경고 문구 및 ‘스모프리피드20%주’ 변경허가 신청 사항 등을 검토한 결과, 해당 내용은 정제대두유 함유 주사제에 공통적인 주의사항에 반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허가가 변경되는 사항은 ▲‘미숙아 및 저체중 영아는 정맥 내 지질 제거율이 낮아 지질액 주사 시 혈장 중 유리지방산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정제대두유 단일주사제를 심각한 호흡기질환을 가진 미숙아에게 정맥 투여한 후 사망한 사례가 문헌으로 보고되어 있고, 부검결과 폐혈관 내 지방축적이 확인되었다’이다.


참고로 올해 1월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고는 시트로박터프룬디균에 오염된 주사제를 사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해당 약물의 부작용과는 무관하며, 부검 시 모든 아이들의 폐혈관에서 지방축적(지방색전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들이 안전한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변경허가 등의 안전조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제대두유(정제콩기름, 대두유 포함) 함유 주사제 49개 품목

연번

제품명

업체명

제조/수입

허가일자

1

스모프리피드20%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6.04.07

2

폼스리피드20%

()엠지

제조

2014.07.31

3

리피션에프20%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14.08.22

4

오마프원리피드주

씨제이헬스케어()

제조

2014.12.03

5

인트라리피드10%(정제대두유)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1.11.14

6

인트라리피드20%(정제대두유)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1.11.15

7

리포피드주사10%(정제대두유)

동국제약()

제조

1997.03.24

8

리포피드주사20%(정제대두유)

동국제약()

제조

1997.12.03

9

리피드엘씨티10%(정제대두유)

()엠지

제조

2005.01.28

10

리피드엘씨티20%(정제대두유)

()엠지

제조

2005.01.28

11

리피션10%(정제대두유)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12

리피션20%(정제대두유)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13

리포엠씨티주사10%

동국제약()

제조

1999.04.22

14

리포엠씨티주사20%

동국제약()

제조

1999.04.01

15

리포푼딘엠씨티10%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04.10.25

16

리포푼딘엠씨티20%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04.10.25

17

리피션엠시티10%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18

리피션엠시티20%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19

리피드엠씨티10%

()엠지

제조

2007.06.15

20

리피드엠씨티20%

()엠지

제조

2007.06.15

21

리피뎀주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10.09.17

22

클리노레익20%주사(플라스틱백)

()박스터

수입

2003.07.07

23

콤비플렉스엠시티플러스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10.16

24

콤비플렉스엠시티페리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10.16

25

뉴트리플렉스리피드스페셜주사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05.11.04

26

뉴트리플렉스리피드페리주사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05.07.15

27

뉴트리플렉스리피드플러스주사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05.11.4

28

콤비플렉스엠시티스페셜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10.16

29

콤비플렉스엠시티페리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10.16

30

콤비플렉스엠시티플러스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10.16

31

엠지티엔에이주

()엠지

제조

2005.01.20

32

엠지티엔에이주페리

()엠지

제조

2005.01.20

33

카비벤주(Kabiven Inj.)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1.07.25

34

카비벤페리페랄주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1.07.25

35

콤비플렉스리피드센트랄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8.03.14

36

콤비플렉스리피드페리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37

콤비플렉스리피드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06.04.05

38

스모프카비벤주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8.12.23

39

스모프카비벤페리페랄주

프레지니우스카비코리아()

수입

2009.09.11

40

오마프원주

씨제이헬스케어()

제조

2015.02.24

41

오마프원페리주

씨제이헬스케어()

제조

2015.02.24

42

위너프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13.09.30

43

위너프페리주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제조

2013.09.30

44

폼스티엔에이주

()엠지

제조

2015.01.27

45

폼스티엔에이페리주

()엠지

제조

2015.01.27

46

뉴트리플렉스오메가스페셜주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16.04.28

47

뉴트리플렉스오메가플러스주

비브라운코리아()

수입

2016.04.28

48

페리올리멜엔4이주

()박스터

수입

2012.06.05

49

올리멜엔9이주

()박스터

수입

2012.06.05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다산제약,리포좀 기술 개발 이어 특수제형 의약품 연구 개발 탄력 받나 주식회사 다산제약(대표이사 류형선)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KBIOHealth, 이사장 이명수)과 8월 27일 다산제약 아산공장에서 특수 제형 의약품의 공동연구 및 활성화를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체결식에는 다산제약의 류형선 대표이사, 정인성 생산본부장, 김수진 제조기술실장, 류호준 개발본부장을 비롯해 KBIOHealth의 이명수 이사장, 김지훈 바이오공정개발부 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연구 인프라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첨단·특수제형 의약품 공동연구 및 타당성 평가 ▲공동개발 및 국내외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이전 및 생산 인프라 활용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나노의약품, 장기지속형 주사제 등 특수 제형 의약품 분야와 더불어 다산제약의 DDS 고유 기술을 활용한 펩타이드 의약품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사업화를 적극 추진한다. 양사는 이러한 기술 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상호 이익을 도모하고, 첨단 의약품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상용화에 기여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 류형선 대표이사는 “KBIOHealth와의 협력을 통해 다산제약의 연구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박익성 신임 부천성모병원장 취임..."뇌혈관우회로수술 분야 권위자" 박익성 교수(부천성모병원 신경외과)가 제22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장에 임명됐다. 신임 병원장의 임기는 2025년 9월 1일부터 2년이다. 박익성 신임 병원장은 1991년 가톨릭의대를 졸업하고 동(同) 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삼성의료원에서 전임의를 마치고 2000년 3월부터 가톨릭의대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주립대학에서 교환교수로 근무했으며, 하루 평균 100여명의 뇌종양, 뇌혈관질환, 안면신경마비 환자를 진료하고 눈썹 절개 미세침습 뇌동맥류 수술과 뇌혈관우회로수술을 2천여례 집도하며 미세침습적 뇌혈관수술, 뇌혈관우회로수술 분야 권위자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대한뇌혈관외과학회와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필수의료 붕괴 현실 속에서 응급중증 뇌혈관전국망 TFT위원장을 맡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신속한 치료를 위한 ‘국가 단위 뇌졸중 신속치료 전문가 네트워크’사업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공로로 2023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현재도 국가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국가적 차원의 심뇌혈관 관리정책 수립에 힘쓰고 있다. 박 병원장은 환자안전과 의료질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