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협, 제23차 바이오의약품 포럼 개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정책 분석, 각 분야 전문가들 의견 공유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전망하고 라이센스 인·아웃 및 투자유치 전략을 조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오는 11일 오전 10시,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07호에서 제23차 바이오의약품 포럼을 개최한다. ‘글로벌 바이오 신약개발을 위한 License in/out 및 투자유치 전략’을 주제로 한 포럼은 BIO KOREA 2018 컨퍼런스의 주요 세션으로 개최된다.

 최근 제약기업과 바이오벤처간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는 등 제약·바이오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벤처 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 등 유망분야에 대한 License in/out 전략과 투자 활성화가 중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협회는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세계 헬스케어 시장과 주요 관심국가의 정책을 분석하고, 유망분야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동향과 전망 주제의 첫 번째 세션은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분석의 트렌드 소개(Michael Chen 머크) 발표를 시작으로 △캐나다의 헬스케어 동향(Jean De Serres 팔라딘 랩) △건강한 세계를 위한 파트너링 : 학계와 바이오텍의 콜라보레이션을 바라보는 제약의 견해(Yuan-Hua Ding 화이자)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어 오후에는 ‘글로벌 헬스케어 라이센싱&투자 전략’을 주제로 두 번째 세션이 진행된다. △CFDA 개혁:중국에서 해외거래 상승 열풍에 미치는 영향(Cedric Bisson, Teralys Capital 파트너) △성공적인 벤처 투자를 위한 팁(Kevin Lin, Fortune Venture Capital Co.Ltd) 등이 발표될 예정이며 두 세션 모두 장은현 대표(Stassets Investment)가 좌장을 맡는다.

 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의 헬스케어 동향과 라이센싱 및 투자전략까지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관계자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석을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