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지역에 공장을 둔 제약사들이 퍼슨( 대표 김동진) 천안 공장에서 국회 보건복지위 이명수위원장을 초청,제약 산업 발전 간담회를 가졌다.
동아제약,중외제약,동성제약 등 20여 군데 충청권 제약사들은 이날 생동, 일반약 허가시 안전성.유효성 첨부 문제를 비롯해 보건복지부가 다음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약가 인하 등 최근 현안을 놓고 깊이 있는 대화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중소제약사들은 생동등 3가지 현안 모두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냈지만, 그가운데서도 일반약 허가시 안유 자료 첨부와 약가 인하 문제에 대해 깊은 우려와 보완이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복수의 관계자가 전했다.
특히 약가인하와 관련 아직 정부안이 확정 고시된 것은 아니지만 알려지고 있는 내용대로라면 "중소제약회사들은 너무 힘든 경영환경에 직면하게될 것" 목소리가 많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약가 인하 안은 현재 오리지널 의약품의 53.55%까지 약가를 보장해주는 정책을 정부가 내세우는 3가지 조건을 충족했을 경우에만 보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33.55%까지 인하한다는 것이다.
세가지 조건 가운데 한가지만 충족하면 복제의약품의 약가를 오리지널 의약품의 33.55%로 낮추고, 두가지만 충족했을 경우에는 이를 43.55%로 떨어뜨리겠다는게 보건복지부의 새 약가정책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중소제약사들은 제네릭의 경우 생물학적 동등성시험을 제약사가 직접 수행하고, 원료의약품을 등록 및 등록한 원료의약품을 사용해 의약품을 제조할 때만 현행 약가인 53.55%를 보장해준다는 새약가정책 3가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선 공장 증설 등 막대한 설비 투자가 이뤄져야데 당장 이 조건들의 충족은 힘든 상황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매출 6백억을 기록한 한 중소제약사의 경우 정부안을 적용해 시뮬레이션을 돌려본 결과 실제 매출액이 1백20억 줄어든 결과를 얻었다.
이는 정부가 1년의 유예기간을 둬 제약사들이 준비할수 있는 시간을 준다고 하더라도, 실제 단계별 약가가 인하 되면 중소제약사들의 경우 발등의불을 끄고 경영정상화의 길을 모색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해석이다.
물론 중소제약사 마다 생동품목,위수탁 품목과 원료의약품등록 건수등이 다를수 있지만 대부분의 제약사들이 같은 처지의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라는게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