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퇴행성관절염, 젊은 세대도 주의 필요..."20-30대 환자수 급증"

유전, 비만 등의 이유도 있지만, 젊은층의 퇴행성관절염은 격렬한 운동도 원인

퇴행성관절염이라고 하면 보통 노년기에나 생기는 질환으로 알고 있는데 최근 들어 젊은층도 주의해야하는 질환으로 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7년 3,763,950명이었던 환자 수는 2018년에는 3,874,622명으로, 2019년에는 4,042,159명으로 증가했다. 그 중,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 수가 2019년 689,937명으로 70% 이상을 차지한다. 이것이 원래 일반적인 현황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8년자료에 따르면 20-30대 환자수가 185,375명에서 2019년에는 197,246명으로 1만 명 이상 증가하며 이제 젊은층도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이루고 있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찢어져 뼈가 노출되거나 무릎 관절 주변 염증에 의한 변형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로 인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관절인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 척추관절 등에 많이 생긴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 통증이 심화된다.

노인의 발병률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이유는, 노화와 연관된 변화가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연골에 노화현상이 일어나 탄력성이 감소하게 되는데,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무릎 주변의 근육이 남성에 비해 약하고 가사 일을 하면서 무릎에 무게가 많이 실리면서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젊은 층에서의 퇴행성 관절염 발생 원인은 유전, 비만 등이 있다. 그 중, 격렬한 운동이 원인이 되어 퇴행성 관절염을 진단받는 경우도 많다. 다이어트와 건강을 목적으로 운동을 시작했으나, 점차 격렬한 운동을 하면서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기 때문이다. 

정형외과 전문의인 임종준 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은 노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증이 나타났을 때 병원을 바로 찾아 정밀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며 “운동을 하는 20~30대의 경우 과도한 운동은 무릎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운동 전 올바른 스트레칭을 통해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