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척골 긴 한국인에 많은 팔 통증, 회전 스트레스 주의해야



 

한국인이라면 팔 통증에 유의해야 한다.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했을 때 새끼손가락 아래 팔에 위치하는 뼈를 척골(자뼈), 엄지손가락 아래 팔 뼈를 요골(노뼈)이라 부르는데 척골과 요골은 길이가 비슷할수록 이상적이라고 본다. 척골보다 요골이 긴 서양인의 경우 키엔벡 병이 발생하기 쉽고, 반대로 요골보다 척골이 긴 동양인의 경우 척골충돌증후군이 생기기 쉽다.

 

한국인은 해부학적으로 척골이 길어, 긴 척골이 손목뼈와 부딪혀서 통증이 생기는 척골충돌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강진우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척골충돌증후군으로 손목의 압박을 느끼는 사람이 의외로 많은데, 누구나 겪는 요통에 빗대어 손목의 허리 통증이라고 불릴 만큼 흔하다”며 “척골이 긴 경우 새끼손가락 아래 손목뼈가 유난히 튀어나와 보인다”고 설명했다.

 

걸레나 행주를 비틀어 짜거나 문고리를 돌려 열다가 아프다면 척골충돌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가스레인지를 켜거나 음료 뚜껑을 돌려 따는 등 손목을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서도 이상을 느끼게 된다. 손목을 비틀 때 척골과 손목뼈가 가까워지면서 비정상적인 충돌이 반복되어 통증이 잇따른다. 방사선 검사로 척골과 손목뼈 간의 거리를 측정해 충돌 위험을 확인할 수 있지만 척골과 손목뼈 사이가 넓더라도 손등이 보이게 돌리는(회내전:pronation) 동작 시 충돌 가능성이 있어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얼나 그라인딩 테스트(Ulnar Grinding Test)는 그라인더를 돌리듯이 손목을 회전시킬 때 통증의 유무를 확인해 척골충돌증후군 질환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긴 척골이 문제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로 척골단축술이 필요하다. 척골면이 요골면의 길이와 비슷해지도록 미리 계획한 길이만큼 척골 간부에서 잘라낸 후 금속판으로 단단히 고정시킨 뒤 추후 뼈가 붙으면 고정 기구를 제거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충돌부를 초음파로 확인하며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치료로도 통증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강진우 원장은 “척골충돌증후군 환자 중 척골단축술을 단행하는 경우는 약 10% 내외”라며 “깁스나 보호대를 사용하면서 악화를 막을 수 있는데 정확한 원인을 몰라 병이라는 생각을 못하고 넘기다가 손목을 돌리지 못하거나 심한 통증이 생긴 뒤에야 병원을 찾는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최보윤 의원 ,국민이 체감하는 ‘ 진짜 의료혁신 ’ 정책 대안 모색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진짜 의료혁신 토론회를 오는 8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첨단기술의 발전이 의료 현장에 가져오는 변화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의료 행위의 변화를 주제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되며, 의료 현장에서 AI와 데이터, 디지털치료제가 진료 도구로 자리잡아가는 현실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주제발표에는 강은경 카카오헬스케어 상무이사가 더 나은 가치를 위한 의료마이데이터를, 김광준 에이아이트릭스 대표가 환자 예후 예측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토론에는 좌장으로 최호진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교수가 참여하며, 강성지 웰트 대표가 디지털치료제가 바꾸는 진료 패러다임을, 선재원 나만의닥터 대표가 의료마이데이터로 여는 맞춤형 비대면진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김용식 퍼즐 AI 대표와 김은정 국회입법조사처 조사관, 신채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다양한 관점에서 의료혁신의 방향을 논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